제 7장 T세포의 인식 2012-09-07 T 세포 수용체 (TCR) • APC 표면의 펩티드-MHC 복합 체를 인식하는 수용체 • 클론화된 수용체 – 서로 다른 특이성을 갖는 T 세포 클론은 서로 다른 TCR을 발현함 • TCR, CD3, TCR complex • 부속분자 – TCR 신호전달을 용이하게 ** – ‘제2신호’ 전달 – 부착분자 : APC에 안정적 결합 – T-APC간 면역학적 시냅스 형성 T 세포 수용체 • 와 폴리펩티드 사슬의 이형2량체 • V 영역 - 다양성 - 3CDRs • C 영역 • 막간 부위 • 세포질 부위 • MHC-peptide 인식에 있어 TCR의 역할 – CDRs : MHC-peptide 복합체의 인식 • CDR3 : MHC-peptide 중앙에 위치, 다양성 – MHC-peptide 내의 1-2개의 아미노산 잔기가 TCR과 접촉 – 저-친화력 결합 APC에 대한 T 세포의 안정화 위해 부속분자 요구 – 면역학적 시냅스 – MHC 제한, CD4 / CD8 공조수용체 발현 TCR 복합체의 CD3과 단백질 • TCR 과 비공유결합 – T 세포가 항원 인식 신호전달 기능적 활성 화 유도 • CD3 : , , chains – 세포외 영역 : Ig domain – 막간 부위 – 세포질 영역 : ITAM (티로신-x-x-류신 배열) • chain – 세포외 영역, 막간 영역, 세포질 영역 (3 ITAMs) • CD3 및 단백질의 기능 – TCR이 항원을 인식하면, CD3과 사슬이 T 세포의 세포 질 내로 신호를 전달하여 기능적 활성화를 유도함 • 항-CD3 항체 : 항원 특이성과는 무관하게 혼합된 T 세포 집단 내 의 모든 T 세포를 활성화시킴 다클론성 활성자 (polyclonal activator) • T 세포가 항원 인식 세포 내 Lck, Fyn과 같은 Src 가계 키나아 제에 의한 CD3과 단백질의 세포 미부의 ITAMs 내에 있는 티로 신 잔기의 인산화 (LckCD4, CD8 미부와 결합, Fyn CD3와 물리적으로 연결) 인산화된 티로신은 ZAP-70와 결합 ZAP-70 키나아제가 사슬에 부착하면 신호전달이 시작됨 T 세포에서 유전자 발현이 변화됨 * TCR 복합체가 발현되기 위해서는 구성요소가 모두 합성되어 야함 T 세포 수용체 • 음성 T 세포의 아형에서 발현됨 • 와 사슬과 구조가 유사 • T cell – 전체 T 세포의 5% 미만 – 상피조직 : 상피내림프구 – 50% 이상 – 기능 잘 모름 • Non-classical Class I MHC-유사 분자에 의해 제시됨 • MHC 결합 항원 인식 않음 • MHC 제한 없음 T 세포의 공조수용체 및 동시자극수용체 • T 세포 활성화와 분화에 관여 (그림 7-7) • 공조수용체 (coreceptor) – TCR 신호전달을 도와주는 역할 – MHC 분자를 인식하여 T 세포의 항원 수용체와 동일한 복합체를 인식함 • 동시자극수용체 (costimulatory receptors) – T 세포에 활성화 신호를 전달하나, APC 표면의 MHC가 아닌 제3의 분자를 인식함 CD4 와 CD8 : MHC-제한 T 세포 활성화에 관여하는 공조수용체 1) 구조 – CD4 • 4 세포 외 Ig domain • 2 N-말단 Ig domain : class II MHC 2 결합 – CD8 • CD8 + CD8 • 1 세포 외 Ig domain : class I MHC 3 결합 2) CD4/CD8 기능 ① CD4- class II MHC, CD8-class I MHC 결합 ② T 세포가 MHC-peptide complex 인식할 때 발생하는 초기 신호반응에 참여 – ③ Lck 라 불리는 T 세포-특이 Src 가계 티로신 키나아 제에 의해 신호전달 기능이 매개됨 CD4 분자 :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의 수용체로 작용 CD28 가계의 동시자극수용체 및 억제수용체 • CD28 – 전문 APCs 표면의 동시자극자 (B7-1, B7-2) 와 결합 T 세포 활성화에 대한 두번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주요 수용체 – 미감작 T세포 활성화 • CTLA-4 (CD152) – B7 분자의 두번째 수용체 – CD28과 구조적으로 상동 – T 세포 활성화 억제 T 세포 반응을 종결시킴 CD28, ICOS : 활성화 신호 전달 CTLA-4, PD-1 : T 세포 반응 억제 CD2와 SLAM 가계의 동시자극수용체 • CD2 가계의 분자들 − T 세포와 NK세포의 활성화에 중요 역할 − 성숙 T 세포, 가슴샘 T 림프구, NK 세포에 존재 − 배위자: LFA-3 or CD58 − 세포간 부착분자, 신호전달자 기능 • SLAM – CD2 단백질 가계에 속하는 단백질들 – 세포질 미부에 ITSM 모티프 존재 : ITIM과 유사 – SH2 영역을 지닌 SAP 어댑터를 통하여 Fyn과 연결 – T, NK, B 세포에서 동시자극수용체로 작용 – 2B4 : CD48과 결합, ITSM 모티프 T 세포의 기타 부속분자 • CD44 – 활성 T 세포, 기억 T 세포에서 더 많이 발현됨 – 히알루론산 (hyaluronate)과 결합 감염부위의 혈관 밖 조직에 T 세포를 잔류시키는 기능, 염증부위와 점막조직에서 활성 T 세포 및 기억 T 세포가 상피에 결합하도록 함 • CD40L (CD154) – 활성화된 CD4+ T 세포 표면에 발현 – B 림프구, 큰포식세포, 수지상세포, 내피세포에 발현되는 CD40와 결합 세포 활성화 • FasL (CD95) – Fas와 결합하여 세포자멸사 유도 : 항원에 반복적으로 자극 받을 때 T 세포 제거에 중요 (활성화 유도 세포자멸사) – CTL이 표적을 죽이는 기전 제공
© Copyright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