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 C IEC 60092-350(잠정표준안).doc

KSKSKSKS
KSKSKSK
KSKSKS
KSKSK
KSKS
KSK
KS
KS C IEC60092-350
선박용 전기설비-제350부 : 선박 및 해
양 구조물용 전력, 제어, 계기 케이블의
일반구조 및 시험 방법
KS C IEC60092-350:2011
지 식 경 제 부
기술표준원
XXXX년 XX월 31일 개정
http://www.kats.go.kr
KS C IEC60092-350:2011
심 의 :
성
명
근
무 처
직
위
표준열람 : 국가표준종합정보센터 (http://www.standard.go.kr)
━━━━━━━━━━━━━━━━━━━━━━━━━━━━━━━━━━━━━━━
제 정 자: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장
제
정:2001년 12월 28일
개
정:XXXX년 XX월 XX일
기술표준원 고시 제 2008-0000 호
심
의:산업표준심의회
원안작성협력:
━━━━━━━━━━━━━━━━━━━━━━━━━━━━━━━━━━━━━━━
이
표준에
대한
의견
또는
질문은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과장 ☎ )으로 연락하거나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주십시오(http://www.kats.go.kr).
이 표준은 산업표준화법 제10조의 규정에 따라 매 5년마다 산업표준심의회에서
심의되어 확인, 개정 또는 폐지됩니다.
2
KS C IEC60092-350:2011
목
1
2
3
4
5
6
7
8
차
적용 범위........................................................................................................................................... 5
인용 표준........................................................................................................................................... 5
용어와 정의 ....................................................................................................................................... 6
제작 요건......................................................................................................................................... 12
4.1 일반 요건................................................................................................................................ 12
4.2 도체......................................................................................................................................... 14
4.3 절연 시스템 ............................................................................................................................ 15
4.4 스크린 ..................................................................................................................................... 16
4.5 케이블링.................................................................................................................................. 17
4.6 안쪽 외피, 충진재, 바인더...................................................................................................... 17
4.7 내부 피복................................................................................................................................ 18
4.8 금속 꼬임 외장 ....................................................................................................................... 18
4.9 외부 피복................................................................................................................................ 19
시험 방법......................................................................................................................................... 19
5.1 시험조건.................................................................................................................................. 19
5.2 일반시험.................................................................................................................................. 20
견본 시험......................................................................................................................................... 23
6.1 일반 사항................................................................................................................................ 23
6.2 견본 시험 주파수.................................................................................................................... 23
6.3 시험의 반복 ............................................................................................................................ 24
6.4 도체 시험................................................................................................................................ 24
6.5 절연체 두께의 측정 ................................................................................................................ 24
6.6 비금속 피복의 두께 측정........................................................................................................ 24
6.7 바깥지름 측정......................................................................................................................... 25
6.8 절연 및 피복 열 경화성 시험................................................................................................. 25
형식 시험, 전기적............................................................................................................................ 25
7.1 일반 사항................................................................................................................................ 25
7.2 절연 저항 측정 ....................................................................................................................... 25
7.3 물에 담근 후의 교류 정전 용량 증가 .................................................................................... 26
7.4 최대 1.8 / 3kN 까지 4시간 동안 고전압 시험 ........................................................................ 27
7.5 상호 정전 용량 (통제 및 수단 케이블인 경우)...................................................................... 27
7.6 자기유도 - 저항 비율 (통제 및 수단 케이블인 경우) ............................................................ 27
형식 시험, 비전기 사항 ................................................................................................................... 28
8.1 절연 두께의 측정.................................................................................................................... 28
8.2 비금속 외피의 두께 측정 (안쪽 외피 제외) ........................................................................... 28
8.3 숙성 전후의 절연체의 기계적 특성 측정 시험....................................................................... 28
8.4 숙성 전후 피복의 기계적 특성 측정 시험 ............................................................................. 28
8.5 완성된 케이블 조각의 추가적인 숙성 시험 (적합성 시험)..................................................... 29
8.6 PVC 절연체 및 PVC (ST1 및 ST2)피복의 질량 시험의 손실 ............................................... 29
8.7 고온에서의 PVC 절연 및 PVC(ST1 및 ST2) 및 SHF1 피복의 거동 시험(고온 압력 시험). 30
8.8 저온에서의 PVC 절연 및 PVC (ST1 및 ST2) 및 SHF1 / SHF2 피복의 거동 시험 .............. 30
8.9 저온 거동에 대한 특수 시험 (요구되는 경우)........................................................................ 30
8.10 구리 와이어의 금속 코팅 시험............................................................................................... 30
8.11 아연 도금 시험 ....................................................................................................................... 30
3
KS C IEC60092-350:2011
8.12 PVC 절연 및 PVC(ST1 및 ST2) 및 SHF1 와장의 균열에 대한 저항 시험(열 충격 시험) .. 30
8.13 절연체 및 피복에 대한 오존 저항 시험................................................................................. 31
8.14 피복에 대한 고온 기름에 담금 시험 및 강화된 뜨거운 기름에 담금 시험 ........................... 31
8.15 진흙 드릴링 유체 테스트 (요구되는 경우)............................................................................. 31
8.16 화재 시험................................................................................................................................ 31
8.17 HEPR 및 HF HEPR의 경도 결정........................................................................................... 33
8.18 HEPR 및 HF HEPR의 탄성 계수 결정 .................................................................................. 33
8.19 프린트 내구성......................................................................................................................... 33
부속서 A (규정) 보호 외피의 면적 결정을 위한 가상 계산 방법 ......................................................... 34
부속서 B (참고) 스파크 시험 전압 레벨 최소 권고치 .......................................................................... 39
부속서 C (규정) 수치의 반올림............................................................................................................. 41
부속서 D(규정) 원형 구리 도체의 케이블 바깥 치수의 상, 하한값 계산............................................. 43
부속서 E (규정) 저온 거동을 위한 냉간 굽힘 시험 및 충격 시험 ....................................................... 45
부속서 F(규정) 피복에 대한 강화된 뜨거운 기름 담금 시험의 절차 및 요건 ..................................... 47
부속서 G(규정) 드릴링 유체 시험 절차 및 요건.................................................................................. 49
4
KS C IEC60092-350:2011
한국산업표준
KS C IEC60092-350:2011
선박용 전기설비-제350부 : 선박 및 해양
구조물용 전력, 제어, 계기 케이블의 일반
구조 및 시험 방법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350 : General construction
and test methods of power, control and instrumentation cables for
shipboard and offshore applications
머리말
이 표준은 국제 표준 기술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현 KS 표준의 운영 및 표준 기술 발전을 위해
2008년에 제3판으로 발행된 IEC 60092-350,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Part 350 : General
construction and test methods of power, control and instrumentation cables for shipboard and offshore
applications 을 번역하여, 기술적 내용 및 표준의 서식을 변경하지 않고 작성한 한국산업표준이다.
1 적용범위
이 표준은 선박 및 해양구조물 (이동식 및 고정식)에 설치하는 18/30(36) kV 이내의 전압에서 고정된
전기시스템에 사용되는 구리도체를 가진 전력, 제어 및 계기 케이블의 제작에 사용되는 일반적 구조
요건 및 시험방법에 대하여 규정한다.
고정식 전기장치는 움직임이나 진동을 받는 것(선박이나 구조물의 운동에 의하여)을 포함하고 빈번한
굽힘을 가하는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하지만, 계속적이거나 빈번한 반복 굽힘에 적합한 케이블은 다
른 IEC 명세서, 예를 들어 IEC 60227 및 IEC 60245에 상세히 나와 있으며, 이런 케이블(예를 들어,
휴대용 공구, 가정용 설비 등)은 해양 환경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 상황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다음과 같은 케이블 종류는 포함되지 않는다.
•
•
•
•
광섬유,
해저 및 생명줄(unbilical) 케이블,
데이터 및 통신 케이블
동심(coaxial) 케이블
2 인용 표준
다음의 인용표준은 이 표준의 적용을 위해 필수적이다. 발행연도가 표기된 인용표준은 인용된 판만
을 적용한다. 발행연도가 표기되지 않은 인용표준은 최신판(모든 추록 포함)을 적용한다.
IEC 60050-461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Vocabulary (IEV) – Chapter 461:Electric cables
KS C IEC 60092-351 선박용 전기설비 - 제351부:선박 및 이동식·고정식 해상구조물용 전력, 통신
5
KS C IEC60092-350:2011
및 제어 데이터 케이블의 절연체
KS C IEC 60092-359 선박용 전기설비 - 제359부:선박용 전력 및 통신용 케이블의 시스 재료
KS C IEC 60228 절연 케이블용 도체
KS C IEC 60331-11 화재조건에서의 전기케이블 시험 - 회로보존성 -제11부 : 시험설비 - 최소
750℃ 화염온도의 불꽃
IEC 60331-12:2002 Tests for electric cables under fire conditions – Circuit integrity – Part 12 :
Apparatus – Fire with shock at a temperature of at least 860℃
KS C IEC 60331-21 화재조건에서의 전기케이블 시험- 회로보존성 - 제21부: 절차 및 요구사항 정격전압 0.6/1.0kV 이하 케이블
IEC 60331-31:2002 Tests for electric cables under fire conditions – Circuit integrity – Part 31 :
Procedures and requirements for fire with shock – Cables of rated voltage up to and including 0.6/1 kV
IEC 60332-1-2:2004 Tests on electric and optical fibre cables under fire conditions – Part 1-2: Test for
vertical flame propagation for a single insulated wire or cable – Procedure for 1 kW pre-mixed flame
KS C IEC 60332-3-22 화재조건에서의 전기케이블 난연성 시험 -제3-22부: 수직배치된 케이블 또
는 전선의 불꽃시험- 카테고리 A
KS C IEC 60684-2 플렉시블 절연 슬리빙 - 제2부: 시험방법
KS C IEC 60754-1 케이블 연소가스 발생시험-제 1 부 : 할로겐산 가스량 측정
KS C IEC 60754-2 전기케이블 연소가스 발생시험 -제 2 부 : 연소가스 발생에 의한 부식성시험
KS C IEC 60811-1-1 전기케이블의 절연체 및 시스 재료의 공통시험방법 -제1부 :시험방법 총칙제1절 :두께 및 완성품 외경 측정-기계적인 특성 시험
KS C IEC 60811-1-2 전기케이블의 절연체 및 시스재료의 공통 시험방법-제1부:시험방법 총칙-제2
절 : 열 노화 시험 방법
KS C IEC 60811-1-4 전기케이블의 절연체 및 시스 재료의 공통시험방법-제1부:시험방법 총칙-제4
절 : 저온 시험 방법
KS C IEC 60811-2-1 전기케이블 및 광케이블의 절연체 및 시스재료의 공통시험방법-제2-1부 : 천
연 합성 고무의 특성 시험방법 - 내오존성 시험, 핫섹 시험, 내유시험
KS C IEC 60811-3-1 전기 케이블의 절연체 및 시스 재료의 공통 시험방법-제3부: PVE 컴파운드
의 특성 시험방법-제1절: 가열변형시험 - 내 크래킹시험
KS C IEC 60811-3-2 전기케이블의 절연체 및 시스 재료의 공통시험방법-제3부 : 합성수지 화합물
의 시험방법-제2절:가열감량 시험 및 열 안정성 시험
KS C IEC 61034-1 케이블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밀도 측정 -제1부 : 시험 설비
KS C IEC 61034-2 케이블 연소시 발생하는 연기밀도 측정-제2부 : 시험절차 및 요구사항
KS M ISO 1817 가황고무 - 액체가 미치는 영향의 측정 방법
ISO 7989-2:2007 Steel wire and wire products – Non-ferrous metallic coatings on steel wire – Part 2 :
Zinc or zinc-alloy coating
3 용어와 정의
이 표준의 목적을 위하여 사용상 IEC 60050-461에 추가하여 다음의 용어와 정의를 적용한다.
3.1
근사값 (approximate value)
보증되지 않고 점검되지 않은 값
비고 이 값은 예를 들어 다른 치수값을 계산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3.2
6
KS C IEC60092-350:2011
꼬임 (braid)
꼬아진(plainted)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로 만든 외피(covering)
[IEV 461-05-10]
3.3
꼬임 외장 (braid armour)
외부 기계적인 영향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꼬임 금속전선으로 형성된 외피
비고 1 적용 가능한 국내의 규제 또는 승인 기관의 규칙에 따라 실제 사용을 허용하는 경우, 접지도
체로서 꼬임 외장도 사용될 수 있다.
비고 2 구리 와이어 꼬임 외장이 효율적으로 접지된 경우에는, 정전기 모음 스크린의 제한된 기능을
제공하여도 좋다.
3.4
적합성 시험 (compatibility test)
절연과 피복(sheath)이 케이블에서 서로 또는 기타 부분과 접촉으로 인하여 작동을 악화시킬 수 있는
지를 점검하기 위한 시험
3.5
도체 (케이블의) (conductor (of cable))
전류를 전달하는 특수 기능을 갖는 케이블의 부분
[IEV 461-01-01]
3.6
도체 스크린 (conductor screen)
그들 부품 사이의 전기적 응력을 균일화하기 위하여 도체와 절연 사이에 적용되는 비금속 도체 층
(layer)
비고 도체 스크린은 절연의 경계로써 부드러운 표면을 제공할 수 있으며, 그들 경계에 있는 공간의
해소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3.7
심재 절연 도체 (북미) (core-insulated conductor)
도체 및 도체의 절연으로 구성되는 조립품 (있을 경우, 스크린 포함)
비고 북미에서 케이블의 심재는 피복(재킷)과 같이 공통적인 외피(covering) 아래에 있는 케이블 구
성품의 조립품으로서 정의된다.
3.8
배수 와이어 (drain wire)
케이블의 전 길이를 통하여 낮은 저항 통로를 보증하는 정전기 스크린을 접지하는 특정한 기능을 가
진 스크린 또는 보호막(shield)과 접촉하여 설치된 절연되지 않은 와이어
7
KS C IEC60092-350:2011
[IEV 461-03-07, 수정]
3.9
정전기 스크린 (electrostatic screen)
정전기 보호 (북미) (electrostatic shield)
케이블 심, 케이블 2개, 3개 또는 4개 내에 있는 케이블에 의하여 발생되는 전기장을 국한시키는 케
이블 주위의 접지 금속 층, 및/또는 외부의 영향으로부터 심(들), 2개, 3개 또는 4개를 보호는 케이블
주위의 접지 금속층
비고 비금속 피복, 포일, 꼬임, 외장 및 접지된 동심 도체도 효과적으로 땅에 땋거나(grounded) 접지
된 경우, 정전기 스크린으로 사용될 수 있다.
3.10
가상값 (fictitious value)
부속서 A에 언급된 ‘가상 방법’에 따라 계산된 값
[IEV 60502-2, 정의 3.4.4]
3.11
충전재 (filler)
다중 도체 케이블의 내심 사이의 틈을 메우기 위한 재료
[IEV 461-04-05]
3.12
내화성 (회로 보존성) (fire resistance (circuit integrity))
명시된 화염원(flame source)에 닿아 있는 상태로 명시된 시간동안 지정된 바에 따라 작동이 계속될
수 있는 능력
[IEV 60331-11, 정의 3.1, 수정]
3.13
유연성 케이블 (flexible cable)
사용시 유연한 능력을 가지고 있도록 요구되며, 그 구조 및 재료가 이 요건을 만족하도록 하는 케이
블
[IEV 461-06-14]
3.14
개별적으로 스크린된 케이블 (individually screened cable)
방사계 케이블 (radial field cable)
각 심재가 개별적인 스크린으로 덮여 있는 케이블
8
KS C IEC60092-350:2011
[IEV 461-06-12]
3.15
안쪽 외피 (inner covering)
비금속성 외피가 다중 도체 케이블의 심(tape)(및 충전재, 있는 경우)의 조립체를 둘러싸고 있으며 그
위에 층(layer)이 더 있는 비금속 외피. 그리고 이는 방호피로 적용된다.
비고 1 안쪽 외피는 압출 또는 테이프 될 수 있으며,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두께의 근사값 민을 갖
고 정의된 기계적 요건을 갖고 있지 않는 연속된 층을 형성하고 있다.
비고 2 테이프된 안쪽 외피는 또한, 가끔 겹친 성층(lapped beddings)이라고도 불린다.
[IEV 461-05-02, 수정]
3.16
안쪽 피복 (inner sheath)
안쪽 재킷 (북미) (inner jacket (North America))
금속 피복, 보강 또는 외장(armour) 아래에 적용되는 비금속 피복으로서 다음의 특성을 가져야 한다.
안쪽
안쪽
안쪽
안쪽
피복은
피복은
피복은
피복은
압출되어야 한다,
작은 틈을 채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KS C IEC 60092-359에 나외 있는 재료이어야 한다,
규정된 공칭 두께(값)을 갖어야 한다.
3.17
절연 케이블 (insulated cable)
다음으로 구성된 조립품;
―
―
―
―
단심 또는 다심,
심 개별 덮개(들) (있을 경우),
조립품 보호 (있을 경우),
보호 덮개 (있을 경우)
비고 1 추가적인 비절연 도체는 케이블에 포함될 수 있다.
비고 2 조립품 보호는 충전제, 바인더 또는 내피로 구성된다.
비고 3 보호 피복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 꼬임, 와이어 또는 금속 스크린, 열경화성 또는 열가
소성 피복, (포함된) 섬유 꼬임 또는 직물 테이프, 금속 외장을 위한 층(bedding) 또는 페인트
등으로된 “구성 요소(constituent elements)”로 이루어 진다.
[IEV 461-06-01, 수정]
3.18
절연 스크린 (insulation screen)
심 스크린 (core screen)
절연을 덮고 있는 비금속 및/또는 금속 재료의 전기 스크린
[IEV 461-03-03]
9
KS C IEC60092-350:2011
3.19
꼬임의 길이 (length of lay)
비틀린(twisted) 구조로 하나의 케이블 구성품에 의해 형성된 나선(helix)의 완전한 한바퀴의 축방향
길이
[IEV 461-04-01, 수정]
3.20
중간값 (median value)
다수의 시험 결과가 얻어지고 연속적인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될 때, 그 얻어진 값의 수
가 홀수이면 중앙값, 그 수가 짝수이면 두 개의 중앙값의 평균값 (KS C IEC 60502-2)
3.21
다중유닛 케이블 (multi-unit cable)
스크린 되지 않거나, 또는 각각의 유닛주위에 개별적인 정전기 스크린을 가지거나, 또는 꼬인
(twisted) 구조로 된 유닛의 조립품 (수집 스크린)에 적용된 정전기 스크린을 가진 한 쌍, 세 개 또는
네 개의 유닛이상으로 구성된 케이블
3.22
공칭값 (nominal value)
수량이 지정되고 자주 표에 사용되는 값
비고 일반적으로 이 표준에서 공칭값은 명시된 허용치를 고려하여 측정에 의해 점검되는 값들을 나
타낸다.
3.23
바깥 피복 (oversheath)
외부 피복 (outer sheath)
보호 (전체) 재킷 (북미) (protective (overall) jacket (North America))
일반적으로 금속제의 외피 위에 외부로부터 케이블 보호를 위하여 적용되는 비금속 피복.
외부피복은 다음의 성질을 갖어야 한다;
외부
외부
외부
외부
피복은
피복은
피복은
피복은
압출되어야 한다.
작은 틈을 채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KS C IEC 60092-359 에 나와 있는 재료이어야 한다.
규정된 공칭 두께(값)을 가지고 있다.
비고 “재킷” 용어가 비금속 덮개를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 “피복” 용어는 북미에서 금속 덮개를 위해
서만 사용된다
3.24
1쌍 유닛 (pair unit)
틈새 충전재 또는 바인더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고 짠(laid up) 2개의 심재
10
KS C IEC60092-350:2011
3.25
4개 유닛 (quad unit)
틈새 충전재 또는 바인더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고 짠 4개의 심재
3.26
격리판 (separator)
예를 들어, 도체와 절연물 사이 또는 절연물과 피복 사이와 같이 케이블의 각기 다른 구성품 사이의
상호 해로운 효과를 막기 위한 벽(barrier)으로 사용되는 얇은 층(layer)
[IEV 461-05-01]
3.27
단일 유닛 케이블 (single unit cable)
1쌍, 3개 또는 4개 유닛으로 구성되고, 스크린 되지 않은 또는 개별적인 정전기 스크린을 가진 케이
블
3.28
가닥 도체 (stranded conductor)
일반적으로 나선 형태로 되어 있는 수많은 개별적 와이어로 구성된 도체
비고 1 가닥 도체의 단면은 원형 또는 기타 형태로 될 수 있다.
비고 2 용어 “가닥(strand)”은 와이어 한 가닥을 지칭하는 데도 사용된다.
[IEV 461-01-07, 수정]
3.29
S/Z 감기 (S/Z cabling)
케이블 구성품의 꼼(lay) 방향이 주기적으로 반대인 케이블 감기(cabling) 방법
[IEV 461-04-07]
3.30
3개 유닛 (triple unit)
틈새 충전재 또는 바인더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하지 않고 짠 3개의 심재
3.31
시험 (test)
3.31.1
일상 시험 (routine test)
각각의 제조된 길이가 규정된 요건을 만족하는지를 점검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각 제조 길이마다 제
조자에 의하여 시행된 시험
11
KS C IEC60092-350:2011
[KS C IEC 60502-2, 정의 3.2.1]
3.31.2
견본 시험 (sample test)
완료된 제품이 규정된 요건을 만족하는지를 증명하기 위하여, 규정된 빈도로, 완성된 케이블 견본 또
는 완성된 케이블로 취한 구성품에 대하여 제조자에 의하여 시행되는 시험
[KS C IEC 60502-2, 정의 3.2.2]
3.31.3
형식 시험 (type test)
형식 시험은 이 표준에 포함되는 케이블의 형식(type)이, 일반적인 상업적 기반에서, 공급하기 전에
계획된 적용사항에 맞도록 만족스러운 성능 특성을 시연하기 위하여 제조업자가 행하는 시험
비고 이 시험들은 일단 시행한 후, 본질적으로 성능특성을 변경시킬 수 있는 재료, 설계 또는 제조
공정의 변경이 없는 한, 이 시험들을 반복할 필요는 없다.
[KS C IEC 60502-2, 정의 3.2.3]
4 제작 요건
4.1
일반 요건
케이블의 제작은 적용되는 제품 표준에 따라야 한다.
4.1.1
전압 지정
이 표준으로 적용되는 케이블의 정격(rated) 전압을 지정하는(designating) 표준 방법은 U0/U (Um)의
형태이어야 한다.
여기서,
U0 케이블의 설계를 위한 위상 도체와, 지면 또는 금속 스크린 사이의 정격 전력-주파수 전압
U 케이블의 설계를 위한 위상 도체 사이의 정격 전력-주파수 전압
Um 장비의 사용을 위한 “최고 시스템 전압”의 최대 값
모든 전압은 실효값(r.m.s.) 값으로 주어진다.
4.1.2
4.1.2.1
케이블 표식
제작 근원 표시 (Indication of origin)
케이블은 다음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제작 근원의 연속적인 표시 (제조자 이름 및/또는 상표)를
하여야 한다:
a) 바깥 쪽 피복에 프린트, 각인 또는 새김(embassing)
b) 케이블 내의 프린트된 테이프
12
KS C IEC60092-350:2011
c) 케이블 내의 식별 섬유 삽입
d) 적어도 하나의 심재의 절연체에 프린팅
마크는 읽을 수 있어야 한다.
근원 표시의 공간 및 크기는 적용되는 제품의 표준에 주어져야 한다.
적합성은 육안 검사를 하여야 하며, 가능한 경우, 8.19에 주어진 시험에 따라서 프린트의 내구성을
검사하야 한다.
비고 국가 또는 규제 당국 또는 승인기관은 그들의 적용 가능한 규칙에 따라 마킹 방법을 요구 할
수 있다.
4.1.2.2
전격 전압 및 케이블 제작
적용 가능한 제품의 표준에 명시된 경우, 전격 전압 (U0/U) 및 제조 표시 (심재 수 및 도체의 단면적)
는 바깥 쪽 피복에 프린트, 각인 및 새김 되어야 한다.
마크는 읽을 수 있어야 한다.
공간 및 크기는 적용되는 제품의 표준에 주어져야 한다.
적합성은 육안 검사를 하여야 하며, 가능한 경우, 8.19에 주어진 시험에 따라서 프린트의 내구성을
검사하야 한다.
4.1.2.3
케이블 표시/외부 표식 선택사항
제조자와 구입자 사이에 합의된 경우, 케이블은 제작에 사용된 절연/스크린/외장 종류 및 피복 재료
를 표시하는 코드 표시로 추가하여 표식할 수 있다.
마크가 바깥 쪽 피복에 프린트, 각인 및 새김 되어야 한다.
마크는 읽을 수 있어야 한다.
공간 및 크기는 적용되는 제품의 표준에 주어져야 한다.
적합성은 육안 검사를 하여야 하며, 가능한 경우, 8.19에 주어진 시험에 따라서 프린트의 내구성을
검사하야 한다.
4.1.3
심재 식별
모든 심재는 명확하게 식별되어야 한다.
다중 심재 케이블의 심재 또는 및 1쌍, 3개 또는 4개 유닛을 가진 심재는 적용 가능한 제품 표준에
주어진 색깔 또는 숫자에 의하여 식별되어야 한다.
색깔 또는 숫자는 명백하게 식별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숫자의 공간 및 크기는 적용 가능한 제품의 표준에 주어져야 한다.
13
KS C IEC60092-350:2011
적합성은 육안 검사를 하여야 하며, 가능한 경우, 8.19에 주어진 시험에 따라서 프린트의 내구성을
검사하야 한다.
4.1.4
무 할로겐 케이블
무 할로겐 케이블에 대하여 비금속 구성품은 표 4에 주어진 요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4.2
4.2.1
도체
재료
도체는 순수한(plain) 또는 금속 코팅의 어닐링된 구리(KS C IEC 60228)로 구성되어야 한다.
4.2.2
금속 코팅 및 격리판
구성 요소 동선(copper wire)은 도체와 절연물 사이에 격리판(separator)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 적절
한 적합성(compatibility)형식 시험을 시행하여, 코팅되지 않은 동선에 아무런 유해 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을 시연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도체가 열 경화성(thermosetting) 절연체로 사용할 때에는 금속 코
팅되어야 한다. 열 가소성 절연물로 된 도체일 때, 금속 코팅은 생략할 수 있다. 금속 코팅은 전선
표면이 부드러운지, 균일하고 밝은지, 절연물이 도체에 들러붙지는 않았는지를 육안으로 점검하여 만
족스러워야 한다.
만약 적합성 시험이 요구되면, 이는 8.5에 정해진 방법과 요구 사항에 따라 실시해야 한다.
4.2.3
등급 및 형태
이 표준에 고려되는 도체는 오직 고정된 설비에 적용하는 것이며, KS C IEC 60228의 2등급(class) 또
는 5등급에 적합해야 한다. 도체의 최소 공칭 크기는 케이블의 전격 전압에 달려있으며, 표 1을 따라
야 한다.
꼬임 구리 2등급 도체는 통상 고정된 설비에 권장된다.
설치 편의상, 5등급 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5등급 도체를 사용하는 케이블은 반복적으로 구부러지는
장소에 사용이 적합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않된다.
꼬여진(stranded) 원형의 촘촘하지 않은 또는 촘촘한(compacted) 도체는 모든 단면적에 허용된다. 부
체꼴(sector) 형태의 도체는 단멱적이 10 mm2이상인 경우에 허용된다.
표 1 ― 도체의 최소크기
U
최소 단면적 mm2
250 V
0.5
1 kV
1.0
3 kV
10
6 kV
10
10 kV
16
15 kV
25
20 kV
35
30 kV
50
도체의 최소공칭 크기는 KS C IEC 60228에 규정된 값에 따라 630 mm2 까지 제한된다.
14
KS C IEC60092-350:2011
모든 도체는 보통(regular) 형태이어야 하며, 뾰족한 돌출이 없고 절연을 손상시키기 쉬운 기타 결함이
없어야 한다.
비고 5등급 도체를 사용할 경우, 허용 전류 및 전압 강하에 특별한 주의가 주어져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5등급 도체는 같은 공칭 단면적의 동등한 2등급 도체보다 낮은 전도율을 가진다.
4.2.4
저항
적용되는 표준에 명시되지 않았을 경우, 도체의 직류 저항은 KS C IEC 60228에 주어진 적용되는 최
대값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다중 유닛(multi-unit) (쌍, 3개 또는 4개) 에 사용되는 도체의 직류 저항은 적용되는 제품의 표준에 주
어진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배수(drain) 와이어의 직류 저항은 적용되는 제품 표준에 주어진 최대값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접지된 도체로서 사용되는 경우, 선택적인 지면 납으로서 아래에 있고 연속적으로 꼰끈(braid)과 접촉
하는 납, 그리고 외장을 포함하여 16 mm2 이상의 단면적을 가진 위상 도체의 값의 50%의 값과 단면
적 16 mm2 이상까지의 위상도체의 값과 최소한 동일한 전도력의 값을 가져야 한다.
접지 도체로서 꼰 끈 또는 외장의 사용은 몇몇 국가 또는 승인당국에서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4.3
4.3.1
절연 시스템
재 료
절연 시스템은 적어도 다음의 하나로 구성되어야 한다.
a) KS C IEC 60092-351에 주어진 합성체(compound) 중 한가지
b) KS C IEC 60092-351에 주어진 합성체 중 두가지 또는 그 이상의 조합
c) KS C IEC 60092-351에 주어진 무기물 테이프의 한 층 또는 그 이상의 층 및 합성체의 한가지
또는 그 이상의 조합
d) 니스칠된 유리 꼰 끈을 포함한 합성체 S95 또는 HF S95의 조합
e) 단층 절연 및 단층 피복으로 구성된 구조의 피복과 절연체의 총 두께와 동등한 강화된 두께에 적
용되는 KS C IEC 60092-351에 주어진 합성체의 하나
4.3.2
적용
절연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인접한 층에서 사출 성형되어야 한다. 절연 시스템은 촘촘하고 균질
하게 형성되어야 하고, 필요 시 도체 또는 테이프에 꼭 맞도록 잘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
필요 시 도체 또는 금속 코팅의 손상 없이 절연물 제거가 가능하여야 한다.
육안 검사에 의해서 승낙 될 수 있는지 점검하여야 한다.
4.3.3
절연 두께
절연 두께는 적용 가능한 제품 기준에 케이블 각각의 크기 및 형태에 따라 규정되어 있다.
15
KS C IEC60092-350:2011
한 개의 심재 또는 다중 심재 케이블의 경우, 모든 지점에서의 두께는 차이가 규정된 값보다 1 mm
+10 %를 넘지 아니한 경우, 규정치보다 작을 수 있다.
한 개 유닛 또는 여러 개 유닛 케이블의 경우, 모든 지점에서의 두께는 차이가 규정된 값보다 1 mm
+20 %를 넘지 아니한 경우, 규정치보다 작을 수 있다.
도체 또는 절연체에 적용되는 모든 격리판(separator), 스크린 또는 무기질 테이프의 두께는 절연체의
두께에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유기질 테이프의 두께는 적용 가능한 제품의 기준의 성능 요건에 민족하도록 적절하여야 한다.
4.4
스크린
4.4.1
4.4.1.1
고전압 케이블에 대한 도체 및 절연 스크린
도체 스크린
도체 스크린은 반도체 테이프에 적용될 수 있는 사출된 반도체 합성체로 구성되어야 한다.
사출된 반도체 합성체는 절연체에 견고하게 접합되어야 한다.
4.4.1.2
절연 스크린
절연 스크린은 금속층과 조합된 비금속 반도체 층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비금속 층은 각 심재의 절
연체로 직접 사출되어야 하고 접합(bonded) 또는 벗겨질 수 있는(strippable) 반도체 합성체로 구성되
어야 한다.
비고 반도체 테이프 층 또는 합성체는 각각의 심재 또는 심재 조립품에 적용될 수 있다.
금속층은 개개의 심재에 적용되어야 한다.
금속층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테이프, 또는 꼰 끈, 또는 와이어 동심 층, 또는 테이프 및 와이어 조
합층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금속층의 크기, 물리적 및 전기적 요건은 결함의 경우에 수행되는 전류 값을 포함하여 여러 요건들
(예를들어 국가 또는 승인 당국의 규정 및 표준)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4.4.2
4.4.2.1
저전압 케이블에 대한 스크린(보호막)
제조
스크린은 다음 중 하나로 구성되어야 한다.
a) 적절한 겹침(overlapping)을 가진 배수 와이어 또는 금속 스크린 테이프가 접촉하는 금속면에 적용
되는 정전기 스크린 테이프가 적층된(laminated) 금속/폴리에스터
금속/폴리에스터 테이프는 폴리에스터에 알루미늄 접합 또는 폴리에스터에 구리 접합되어야 한다.
테이프의 두께는 적용되는 제품 표준에 명시된다. 금속/폴리에스터 테이프는 배수 와이어와 접촉
16
KS C IEC60092-350:2011
되어야 하며, 배수와이어는 알루미늄 적층 테이프 경우에는 금속 도금 어닐링된 구리 와이어로
구성되어야 하고, 구리 적층 테이프 경우에는 평범(plain)하거나 또는 주석 어닐링된 구리 와이어
로 구성되어야한다. 배수 와이어의 최대 저항은 적용되는 제품 표준에 명시되어 있다.
금속 스크린 테이프는 평범하거나 또는 금속 코팅 테이프이어야 한다. 테이프 두께는 적용할 제
품 표준에 규정되어 있다.
b) 배수 와이어를 가진 순수 구리 또는 금속 도금된 구리 꼰 끈은 필요 시 4.8.2에 주어진 식에 따라
야 한다.
c) 위의 a) 및 b) 의 조합. 금속/폴리에스터 테이프 및 꼰 끈이 조합된 경우, 배수 와이어는 생략 될
수 있다.
d) 와이어 동심 층 또는 와이어 및 구리 테이프의 조합
4.4.2.2
적용
스크린은 각 스크린으로서의 싱글 유닛이거나 또는 수집(collective) 스크린으로서의 다심 또는 다중
유닛의 형성에 적용될 수 있다.
비고 고객의 확인이 필요한 경우, 정전기 스크린은 전자기 스크린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중유닛 케이블에서, 필요 시, 각각의 정전기 스크린은 각각 스크린 및 수집 스크린으로부터 전기적
으로 격리(insolate)되어야 한다.
4.5
4.5.1
케이블링
다중심재 케이블
각각의 케이블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놓여진 동심 층으로 꼬여져야 한다. S/Z 형태의 사용은 허용
된다. 필요한 경우, 4.6에 서술된 충진재(filler) 또는 사출 층이 원형의 케이블을 얻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비고 비흡습성인(non-hygroscopic) 바인더 테이프 또는 테이프(들)가 각각의 층에 적용될 수 있다.
4.5.2
다중유닛(Multi-unit) 케이블
각각 유닛의 형성 및 그에 따른 유닛의 조립품은 적용되는 제품의 표준을 따라야 한다.
4.6
안쪽 외피(inner covering), 충진재 및 바인더
안쪽 외피는 케이블의 관련 표준에 규정한 바와 같이 압출 또는 랩(lap) 되어질 수 있다.
안쪽 외피는 그 아래에 있는 구성품의 손상 없이 제거가 가능하여야 한다.
테이프 된 안쪽 외피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겹쳐진 층에 적용되어야 한다.
적합한 테이프의 개방 나선(helix)은 안쪽 외피의 압출 전에 바인더(binder)로서 허용된다. 접합 테이
프의 두께는 선택적이다.
안쪽 외피, 충전재 및 바인더가 있는 경우, 내흡습성의 성질을 가져야 한다. 선택된 재료는 접촉하고
있는 케이블 구성품에 적합하고 케이블의 사용 온도에 적합하여야 한다.
17
KS C IEC60092-350:2011
비고 위해지역에서 내부 외장 대신에 사용되는 안쪽 외피는 케이블을 통한 가연성 기체 또는 먼지
입자의 유입을 방지하지 못 할 것이다. 이것은 통상 봉인하는 효과를 내는 스며들지 않는 내부
외장에 달려있는 위해지역 정격 케이블 글랜드(gland)에 의하여 방지된다.
4.7
4.7.1
내부 피복
재료
내부 피복 재료는 KS C IEC 60092-359의 목록 중 하나로 선정되어야 한다. 선정된 합성체
(compound)는 케이블의 사용 온도에 적합하고 이에 접촉되어 이는 케이블 합성체에 적합하여야 한
다.
4.7.2
적용
내부 피복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깝게 인접한 층으로 사출되어야 한다. 내부 피복은 촘촘하고 균
질의 몸체를 형성하여야 하고 그 아래 층의 합성체에 가깝게 접착되어야 한다.
그 아래층의 절연체 및/또는 스크린에 손상없이 내부 피복은 제거 될 수 있어야 한다.
4.7.3
내부 피복의 두께
케이블의 각각 크기 및 종류에 대한 내부 피복의 두께는 적용되는 제품의 표준에 명시되어야 한다.
적용되는 제품의 표준에 명시되지 않았다면, 모든 점에서의 두께는 명시된 값보다 작을 수 있다.
단, 차이는 매끄러운(smooth) 원통형의 표면에 적용되는 피복에 대한 명시된 값의 0.1 mm + 15% 를
초과하지 않거나, 불규칙한(irregular) 원통형의 표면에 적용되는 피복에 대한 명시된 값의 0.2 mm +
20 % 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내부 피복의 아래 또는 외부의 테이프 두께는 내부 피복의 두께의 측정에 포함되어서는 않된다.
4.8
4.8.1
금속 꼬임 외장
재료
금속 꼬임 외장은 8.11 및 ISO 7989-2에 규정된 아연 도금 시험에 적합한 아연 코팅(galvanized) 강
선 와이어 또는 구리, 금속 코팅 구리 또는 구리합금선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비고 KS C IEC 60092-354에 서술된 고전압에 대하여, 이중 강재 테이프 외장 및 둥글거나 편평한
와이어 외장의 사용이 허용된다. 제작에 대한 상세한 지침은 KS C IEC 60502-2에 나타나 있다.
4.8.2
적용
꼬임의 “적용 밀도(coverage density)”는 꼬임의 무게가 동일 금속관의 무게의 적어도 90 %이어야 하
며, 내부 지름은 꼬임하의 계산된 내부 지름과 같고, 또한 두께는 꼬임 형태의 선의 공칭 지름과 같
아야 한다.
꼬임하의 지름은 부속서 A에서 가상적 주어진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한다.
비고 대칭적 꼰끈의 “적용 밀도”의 평가를 위한 대체 방법으로는 단위법에서 “충전 요소(filling
factor)” F 로서 주어진 다음의 식에서 얻어진다.
18
KS C IEC60092-350:2011
F = NPd
sina
또는
여기에서
(mnd / 2πD)(1+π2D2 / L2)1/2
a:케이블 축과 꼬임(braid)와이어 사이의 경사각
d:꼬임선의 지름
N:캐리어(carrier)당 도선의 수
P:밀리미터당 선택(picks) 와이어 수
M : 스핀들 총 수
n : 스핀들 끝의 총 수
D : 꼰 끈의 평균 지름
L : 꼰 끈 와이어의 놓임 층(lay) 길이
해당 적용 밀도는 퍼센트의 형태로 다음의 식과 같이 주어진다.
G = p × F ×100
2
G (90 %)의 최소값을 얻기 위하여 얻어지는 F 의 최소값은 0.573 이어야 한다.
4.9
4.9.1
외부 피복
재료
피복은 KS C IEC 60092-359의 목록 중 하나로 선택되어야 한다. 선택된 합성체는 케이블의 사용 온
도에 적합하고 접촉되어있는 케이블 구성품에 적합하여야 한다.
4.9.2
적용
외부 피복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깝게 인접한 층으로 사출되어야 한다. 외부 피복은 촘촘하고 균
질하여야 하고 아래에 있는 구성품에 가깝게 접착되어야 한다.
아래에 있는 절연체 및/또는 스크린에 손상없이 바깥 외장은 제거 될 수 있어야 한다.
4.9.3
외부 피복의 두께
케이블의 각각 크기 및 종류에 대한 피복의 두께는 적용되는 제품의 표준에 명시되어야 한다.
적용되는 제품의 표준에 명시되지 않았다면, 모든 점에서의 두께도 명시된 값보다 작을 수 있으며,
그 차이는 매끄러운 원통형의 표면에 적용되는 피복에 대한 명시된 값의 0.1 mm + 15% 를 초과하지
않거나, 불규칙한 원통형의 표면에 적용되는 피복에 대한 명시된 값의 0.2 mm + 20 % 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이다.
5 시험 방법
5.1
시험조건
5.1.1 주위 온도
특별한 시험을 위한 세부 사항이 규정되어있지 않다면, 시험은 주위 온도 (20 ± 15) ℃ 상태에서 수행
해야 한다.
19
KS C IEC60092-350:2011
5.1.2
동력-주파수 시험 전압의 주파수, 파형 및 크기
교류 시험 전압의 주파수는 49 Hz에서 61 Hz 사이어야 한다. 파형은 주로 정현파 형태이어야 한다.
이 표준에 주어진 동력-주파수 시험 전압의 값들은 실효값(r.m.s.)을 사용한다.
5.2
일반시험
5.2.1
일상적 사항
이 표준에서 요구되는 일상적(routine) 시험은 다음과 같다:
a) 도체의 전기 저항 측정 (5.2.2 참조)
b) 전압 시험 (5.2.3 참조)
c) 절연 저항 시험 (체적 비저항 측정(volume resistivity determination) 5.2.4 참조)
일상적 시험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제조된 케이블 길이에서 시행되고, 제조자의 선택사항으로 시행될
수 있으며, 인도(delivery) 길이 또는 인도길이로 자르기 전의 제조된(manufactured) 길이에서 시행된
다.
5.2.2
도체 전기 저항의 측정
일상적 시험을 위해 제출된 각 케이블 길이의 모든 도체에서 저항을 측정하여야 한다.
완전한 케이블 길이 또는 그 견본은 시험 전에 적어도 12시간 동안 비교적 일정한 온도로 시험실에
유지시켜 놓는다. 만약, 도체의 온도가 실내 온도와 같다는 의심이 간다면, 케이블을 24시간 시험실
에 위치시킨 후에 저항을 측정하여야 한다. 대체 방안으로, 저항은 온도 조절되는 액체 욕조(bath)에
서 적어도 1시간동안 온도 조절된 상태에서 도체의 견본을 측정하여야 한다.
측정된 저항값은 KS C IEC 60228의 6.에 주어진 수식과 요소들을 고려하여 20 ℃의 온도와 길이
1 km로 수정하여야 한다.
적용 가능한 제품 기준에 별도로 언급되어 있지 않았다면, 20 ℃에서의 각 도체의 직류 저항은 KS C
IEC 60228에 규정한 도체의 적용 등급에 대한 적절한 최대값을 넘어서는 안 된다.
5.2.3
5.2.3.1
전압 시험
일반사항
전압 시험은 제조 업자의 선택사항에 따라 전력 주파수에서의 갖는 교류 전압, 직류 전압, 또는 필요
한 경우, 스파크 시험(고주파 또는 전압의 기타 형태)을 사용하여 주위 온도상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5.2.3.2
금속 층을 갖지 않는 단심재 케이블
금속 층(layer)을 갖지 않는 단심 케이블일 경우, 인도된 케이블은 주위 온도상의 물에 최소 1시간 동
안 침수시켜야 한다.
도체와 물 사이에 전압을 가해야 한다.
20
KS C IEC60092-350:2011
전압과 사용 기간은 표 2를 따라야 한다.
대안으로 인도된 완성 케이블의 전 길이에 대하여 스파크 시험 되어야 한다. (5.2.3.7 참조)
5.2.3.3
다심재 케이블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금속 층을 갖는 케이블
전압은 각각의 도체와 각각의 다른 도체 및, 있는 경우, 금속 층 사이에 차례로 전압이 가해져야 한
다. 도체는 총 시험 시간을 제한하기 위하여 시험 전압은 연속적으로 가하도록 적절하게 연결할 수
있어야 한다. 단, 이 경우 연결의 순서는 각각의 도체 및 각각의 다른 도체 사이, 그리고 각각의 도
체와 금속 층 사이에 간섭이 없도록 전압이 최소한 5분 동안 적용되도록 하여야 한다.
방사형(radial field) 케이블에서는 전압은 도체와 심재 스크린 사이에 적용되어야 한다.
전압 및 그것의 적용 시간은 표 2에 주어진 것으로 하여야 한다.
5.2.3.4
피복의 전압 시험
시험은 피복 아래의 금속 층이 있는 피복 케이블에 적용하여야 한다.
인도된 완성 케이블의 전 길이에 대하여 스파크 시험 되어야 한다. (5.2.3.7)
5.2.3.5
시험 전압
케이블의 적용 제품에 별도 사항이 주어지지 않는 한, 표준 정격 전압을 위한 시험 전압의 값은 표
2에 주어진다.
표 2 ― 일상 시험 전압
5분간의 시험 전압
케이블의 정격 전압
U0/U
교류 전류(a.c.)
직류 전류(d.c.)
kV
(kV)
(kV)
0.15/0.25
1.5
3.6
0.6/1.0
3.5
8.4
1.8/3
6.5
15.6
3.6/6
12.5
6/10
21
8.7/15
30.5
12/20
42
18/30
63
비고
― 강화된 절연체의 두께의 값은 제품 기준에 주어진다.
― 직류 시험은 1.8/3 kV 이상의 정격 전압의 케이블에 권
고되지 않는다.
5.2.3.6
요건
시험 전압은 규정값까지 점차 증가시켜야 하고, 절연체의 파괴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5.2.3.7
스파크 시험
규정된 경우, 이 시험은 제조 최종 단계에서 시행되어야 한다.
21
KS C IEC60092-350:2011
케이블은 적절한 절연체 또는 피복(sheath)의 파단 없이 규정된 시험 전압을 견뎌야 한다. 스파크 시
험 장비는 규정된 절연체 또는 피복 두께의 절반보다 크거나 같은 지름을 갖는 절연체 또는 피복에
있는 구멍(puncture)을 감지하여야 한다. 스파크 시험기의 복구 시간은 1초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전압의 크기 및 존재 여부는 스파크 시험기를 통한 케이블의 통로로 사용된 속도 및 전극
(electrode) 시스템을 갖고 시험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도록 되어있어야 한다.
케이블의 적용 가능한 제품 기준에 기타 사항이 명시되어있지 않았다면, 절연체의 시험 전압 값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 교류 (50 Hz) 3.0 kV + (5 x 표의 절연체 두께(mm) ) kV
― 직류
V 교류 x 1.5
― H.F.
V 교류 + 1.0 kV
케이블의 적용 가능한 제품 기준에 기타 사항이 명시되어있지 않았다면, 피복의 전압 값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 교류 (50 Hz) 3.0 kV
― 직류
V 교류 x 1.5
비고 IEC 62230의 적용이 고려되고 있다. (부속서 B 참고)
5.2.4
절연 저항의 시험 (체적 비저항 측정)
절연 저항은 모든 교류 고전압 시험이 수행된 후에, 단, 모든 직류 고압 시험이 수행되지 전에 80∼
500 V의 직류 전압을 사용하여 대기 온도 상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측정은 일반적으로 전압을 가한 후 1분의 이후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 그러나, 일부 경우에는, 실제
정상 상태(steady-state)에 도달하기 위하여 전압을 가하는 시간이 최대 5분 이상까지 연장될 수도 있
다.
다른 종유의 케이블에서 수행되는 시험에서의 연결 과정은 다음과 같아야 한다.
― 금속 층(layer)을 갖는 단심 케이블을 위한 절연 저항 측정은 도체와 금속 외피 사이에서 실시하여
야 한다.
― 금속 층이 없는 단심 케이블을 위한 절연 저항 측정은 도체와 케이블이 시험 전에 최소 1시간 이
상 침수시킨 물 사이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 금속 층이 있거나 또는 없는, 둘 내지 다섯 도체를 갖는 케이블을 위한 절연 저항 측정은 각 도체
와 다함께 및 금속 외피에 연결된 모든 다른 도체 사이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 다섯 이상의 도체를 갖는 케이블을 위한 절연 저항 측정 시험은 첫째로 모든 층의 홀수 도체와
모든 층의 짝수 도체간, 둘째로 짝수 층의 모든 도체와 홀수 층의 모든 도체간, 셋째로 필요한 경
우, 홀수 번째 도체의 각층의 처음과 끝 도체 사이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 개별적으로 스크린 유닛을 가진 케이블에 대하여, 각각의 스크린, 함께 및 금속외장까지 연결된
모든 다른 스크린 사이에서 추가로 절연 시험이 수행되어야 한다.
절연 저항 측정값은 고려된 절연 재료가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온도 보정 요인을 사용하여
20 ℃의 기준(reference) 온도로 수정하여야 한다.
22
KS C IEC60092-350:2011
부피 저항력 (volume resistivity : ρ)는 측정된 절연 저항으로부터 다음의 식에 의하여 계산되어야 한
다.
ρ = 2ΠLR / In(D/d)
여기에서
ρ:부피 저항력 (W cm)
R:20 ℃로 수정하여 측정된 절연 저항(W)
L:케이블의 길이(cm)
D:절연의 바깥지름(mm)
d:절연의 안지름(mm)
부피 저항력(ρ) 의 계산값은 KS C IEC 60092-351에 정해진 관련 절연 재료의 표준 값보다 작아서
는 안 된다.
비고 1 어떤 경우에는, “절연 저항 상수 Ki” 값(메가 옴-킬로미터로 표시)로 주어진 부피 저항력 값은
0.367 x 10-11 ρ와 등가하다.
비고 2 형상 도체의 심재에서의 D/d는 도체의 주변 길이(perimeter)경계에 대한 절연체의 주변 길이
비율이다.
6 견본 시험
6.1
일반 사항
이 표준에 요구되는 견본 시험은 다음과 같다.
a) 도체 시험(6.4 참조)
b) 치수점검(6.5 내지 6.7까지 참조)
c) 절연체 및 피복 열 경화성(hot-set) 시험 (6.8 참조).
6.2
견본 시험 주파수
a) 도체 시험과 치수 점검
구매자의 요구가 있을 때, 도체 시험, 절연 및 피복의 두께 측정, 전체 지름 측정은 동일 종류, 동
일 크기의 케이블을 가지고 각 제조 계열(series)별로 하나씩 측정하여야 하며, 다만, 하나의 계약
서에 있는 길이의 수의 10 %로 제한하여 측정해야 된다.
b) 물리적 시험
구매자와 제조 업자간의 합의에 의해, 규정된 시험은 계약에 의해 제조되는 케이블로부터 얻어지
는 표본에 대하여 실시하여야 하며, 단심 케이블의 경우는 4 km, 다심 케이블인 경우는 2 km 이상
을 계약서상의 전체 길이인 경우 이시험을 행한다. 견본의 수는 표 3을 따른다.
표 3 ― 케이블 길이에 따른 견본의 수
케이블 길이
다심 케이블
이상
이상 또는 포함
(km)
(km)
표본의 수
단심 케이블
이상
이상 또는 포함
(km)
(km)
23
KS C IEC60092-350:2011
2
10
20
기타
6.3
10
20
30
기타
4
20
40
기타
20
40
60
기타
1
2
3
기타
시험의 반복
모든 견본에 대하여 6.2의 시험이 하나라도 실패하면, 같은 시험군(batch)으로 부터 두 개의 추가 견
본을 채취하여야 하며 기존의 실패한 동일의 견본시험용으로 제출되어야 한다. 만일, 두 개의 추가
견본이 시험을 합격하면, 이 시험군의 모든 케이블은 이 표준의 요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간주 할 수
있다. 한 개의 추가 견본이 시험에 실패하면, 이 시험군의 모든 케이블은 이 표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간주 하여야 한다.
6.4
도체 시험
도체 구조를 위한 KS C IEC 60228의 요구 사항에의 적합성은 측정과 검사(inspection)에 의해 점검되
어야 한다.
6.5
6.5.1
절연체 두께의 측정
일반 사항
시험을 위해 선택된 각 케이블의 길이는 손상이 있을 수 있는 모든 부분은 폐기하고, 양쪽 끝으로부
터 얻어지는 케이블 두 조각에 의해 대표되어야 한다.
동일 공칭 단면적의 3심 이상을 갖는 케이블에 대해서는 측정해야 할 심(core)의 수는 심의 10 % 또
는 3심으로 제한 되어야 한다.
6.5.2
절차
시험 절차는 KS C IEC 60811-1-1의 8.에 따른다.
6.5.3
요구 사항
각 심의 조각에 대하여, 근사치 0.01mm 까지 반올림한 최소값(부속서 C 참조)은 적용 가능한 제품
표준의 규정 값보다 작아서는 아니 된다.
만약 4.3.3에 규정된 요구 사항에 만족되지 못하면, 추가로 두 조각 더 점검되어야 한다. 만약 이들
추가 조각 모두가 규정되는 요구 사항을 만족하면, 케이블은 적합한 것으로 인정하지만, 하나라도요
구 사항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케이블은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인정한다.
6.6
6.6.1
비금속 피복의 두께 측정
일반 사항
시험을 위해 선택된 각 케이블의 길이는 손상이 있을 수 있는 모든 부분은 폐기하고, 양쪽 끝으로부
터 얻어지는 케이블 두 조각에 의해 대표되어야 한다.
6.6.2
절차
24
KS C IEC60092-350:2011
시험 절차는 KS C IEC 60811-1-1의 8.에 따라야 한다.
6.6.3
요구 사항
피복의 각 조각에 대하여, 근사치 0.01mm 까지 반올림한 최소값(부속서 C 참조)은 적용 가능한 제품
표준의 규정 값보다 작아서는 아니 된다.
만약 4.7.3 또는 4.9.3에 규정된 요구 사항에 만족되지 못하면, 추가로 두 조각 더 점검되어야 한다.
만약 이들 추가 조각 모두가 규정되는 요구 사항을 만족하면, 케이블은 적합한 것으로 인정하지만,
하나라도요구 사항을 만족하지 않을 경우 케이블은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인정한다.
6.7
바깥지름 측정
만약 케이블의 바깥지름의 측정이 견본 시험으로 요구되면, 이 시험은 KS C IEC 60811-1-1의 8.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6.8
절연 및 피복 열 경화성 시험
6.8.1
일반 절차
표본 추출 및 시험 과정은 피복에 대하여 KS C IEC 60092-359와, 절연에 대하여 KS C IEC 60092-
351에 주어진 상태로 하며, KS C IEC 60811-2-1의 9.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6.8.2
요구 사항
시험 결과는 절연에 대하여는 KS C IEC 60092-351와 피복에 대하여는 KS C IEC 60092-359에 주어
진 요구 사항을 따라야 한다.
7 형식 시험, 전기적
7.1
일반 사항
이 표준에 의해 요구되고, 10 m 내지 15 m의 길이의 완성된 케이블의 표본에 적용되는 형식 시험은
다음을 따른다.
a)
b)
c)
d)
e)
f)
대기 온도에서의 절연 저항 측정(7.2.1 참조)
최대 정격 온도에서 절연 저항 측정(7.2.2 참조)
요구되는 경우 침수후의 교류 정전용량(capacitance) 증가(7.3 참조)
4시간의 고전압 시험(7.4 참조)
상호 정전용량(7.5 참조)
인덕던스(7.6 참조)
7.2
절연 저항 측정
7.2.1
7.2.1.1
대기 온도에서의 측정
일반 사항
25
KS C IEC60092-350:2011
이 시험은 모든 전기적인 시험 이전에 표본 길이에 대하여 수행해야 한다. 모든 바깥 외피(covering)
는 제거되어야 하며, 심은 시험 전에 주위 온도상에 적어도 1시간 가량 침수시켜야 한다. 측정은 도
체와 물사이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7.4 참조)
비고 요구시 측정은 (20 ± 1) ℃에서 확인한다.
직류 시험 전압은 80 V에서 500 V 사이이어야 하며, 1분 이상 5분 미만 동안 가해야 한다.
7.2.1.2
계 산
부피 저항력(ρ)은 5.2.4에 주어진 방법으로 계산되어야 한다.
비고 “절연 저항 상수 Ki” 의 형태(그람, 킬로미터로 표현)로 주어진 부피 저항력은 0.367 x 10-11 ρ와
같다.
7.2.1.3
요구 사항
계산된 부피 저항력(ρ)은 KS C IEC 60092-351 의 절연 재료의 규정 값보다 작아서는 아니 된다
7.2.2
최대 정격 온도 측정
7.2.2.1
일반 사항
외장이 모두 제거된 표본 케이블의 심은 시험 전에 1시간 가량 규정 온도로 가열하고 침수시킨다.
직류 시험 전압은 80 V에서 500 V이어야 하며, 이는 5분 이상 또는 1분 미만이면 안 된다.
7.2.2.2
계 산
부피 저항력(ρ)은 5.2.4에 주어진 방법으로 계산되어야 한다.
비고 어떤 경우에는, “절연 저항 상수 Ki” 값(메가 옴-킬로미터로 표시)로 주어진 부피 저항력 값은
-11
0.367 x 10 ρ와 등가하다.
7.2.2.3
요구 사항
계산된 부피 저항력(ρ)은 KS C IEC 60092-351 의 절연 재료의 규정 값보다 작아서는 아니 된다.
7.3
물에 담근 후의 교류 정전 용량 증가
교류 정전용량 증가 시험은 다음의 방법에 따라서 시행되어야 한다.
7.3.1
시편의 준비
모든 시편은 절연체의 모드 외피(경화 / vulcanization 테이프가 있는 경우 이를 포함)에 있는 4.5 m
길이의 심(core)표본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7.3.2
장비
시편의 중앙 부분은 3 m 이상 침수시켜야하며, 반면에 0.75 m의 길이 부분은 각 끝에서 수상에 있도
26
KS C IEC60092-350:2011
록 물탱크를 사용 하여야 한다.
수온은 (50 ± 2) ℃로서 열적평형(thermostatically)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수심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7.3.3
절차
시편은 먼저 24시간 동안 오븐에서 건조시켜야 하며, 이 때의 공기온도는 70 ℃에서 75 ℃ 사이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시편이 오븐에서 꺼내진 직후, 시료는 상기와 같이 50 ℃로 미리 가열된 탶(tap)물에 침수시켜야 한다.
침수는 상기 온도로 14일 동안 유지시켜야 한다.
도체와 물사이의 정전 용량은 주파수 800 Hz에서 1 000 Hz 사이에서 저전압 교류로서 측정하여야 한
다. 이 세가지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 1일 종료 시 : C1;
― 7일 종료 시 : C7;
― 14일 종료 시 : C14;
온도 및 수심이 모든 측정에서 동일하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교류 정전 용량의 증가는 백분율로 계산하고 표현되어야 한다.
a) 1일 종료 시 와 14일 종료 시 사이 :
b) 7일 종료 시 와 14일 종료 시 사이 :
7.3.4
(C14-C1)/C1
(C14-C7)/C7
요구 사항
측정으로부터 계산된 값은 KS C IEC 60092-351 에 규정된 값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7.4
1.8 / 3kV 까지 4시간 동안의 고전압 시험
모든 바깥 외파가 제거된 표본 케이블의 심은 적어도 1시간 동안 실내 온도의 물에 침수시켜야 한다.
정격 전압 U0의 3배와 같은 전압 주파수를 점차적으로 상승시켜야 하며, 도체와 물 사이에 4시간 동
안 계속 유지시켜야 한다.
7.4.1
요구 사항
절연체가 고장(breakdown)이 파괴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7.5
상호 정전 용량 (통제 및 계기 케이블인 경우)
상호 정전 용량은 내부 및 외부 층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적어도 2개, 3개 또는 4개에서 합계 1 kHz
에서 측정되어야 한다. 얻어진 값은 케이블 종류 및 시험 보고서에 기록되어야 한다.
7.6
자기유도 - 저항 비율 (통제 및 계기 케이블인 경우)
27
KS C IEC60092-350:2011
자기유도(inductance) - 저항 비율 (L/R 비율)은 내부 및 외부 층에서 임의로 선택하여 적어도 2개, 3
개 또는 4개의 합계 및 20 ℃에서 측정된 직류 저항에서 1 kHz에서 측정된 자기유도 값으로부터 계
산되어야 한다. 얻어진 값은 케이블 종류 및 시험 보고서에 기록되어야 한다.
8 형식 시험, 비전기 사항
이 표준에 의하여 요구되는 비전기적(non-electrical) 형식 시험은 다음과 같다.
8.1
절연 두께의 측정
6.5 견본 시험을 참고 할 것.
8.2
비금속 피복의 두께 측정 (안쪽 외피 제외)
6.6 견본 시험을 참고 할 것.
8.3
8.3.1
숙성(ageing) 전후의 절연체의 기계적 특성 측정 시험
견본 채취
시편 채취 및 준비는 KS C IEC 60811-1-1의 9.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8.3.2
숙성 처리
숙성 처리는 KS C IEC 60092-351의 규정된 조건으로 KS C IEC 60811-1-2의 8.1에 따라 실시하
여야 한다.
구리 도체의 숙성 전후 인장시험은 0.6/1.0(1.2) kV 보다 높은 정격전압을 가진 케이블은 적용되지 않
는다.
8.3.3
조절 및 기계적 시험
조절(conditioning) 및 기계적 특성의 측정은 KS C IEC 60811-1-1의 9.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8.3.4
요구 사항
비숙성 및 숙성 시험의 결과는 KS C IEC 60092-351의 주어지는 요구 사항에 적합해야 한다.
8.4
8.4.1
숙성 전후 피복의 기계적 특성 측정 시험
견본 채취
시편 채취 및 준비는 KS C IEC 60811-1-1의 9.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8.4.2
숙성 처리
숙성 처리는 KS C IEC 60092-359 에 규정된 조건으로 KS C IEC 60811-1-2의 8.에 따라 실시하
여야 한다.
28
KS C IEC60092-350:2011
8.4.3
조절 및 기계적 시험
조절 및 기계적 특성의 측정은 KS C IEC 60811-1-1의 9.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8.4.4
요구 사항
비숙성과 숙성 시험조각의 결과는 KS C IEC 60092-359에 주어지는 요구 사항을 따라야 한다.
8.5
8.5.1
완성된 케이블 조각의 추가적인 숙성 시험 (적합성 시험)
일반 사항
이 시험은 절연체 및 피복이 사용 시 케이블이 서로, 또는 다른 구성품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쉽게
결합(deteriorate)이 생기기 않음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이 시험은
8.5.2
모든 종류의 케이블에 적용 가능하다.
견본 추출
견본은 KS C IEC 60811-1-2의 8.1.4 에 따라 완성된 케이블에서 추출하여야 한다.
8.5.3
숙성 처리
케이블 각 조각의 숙성 처리는 오븐에서 행하여야 하며, 다음의 조건하에 KS C IEC 60811-1-2의
8.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 온 도 : 케이블 정격 작동 도체 온도 이상인 (10 ± 2) ℃이며, 또는 만약 케이블의 작동 온도를 알
지 못할 때는 절연 재료의 최고 정격 온도 이상 (10 ± 2) ℃이다. (KS C IEC 60092-351의 표 1
참조)
― 수행 기간:7×24시간
8.5.4
기계적 시험
케이블의 숙성된 조각으로부터 얻어진 절연체 및 피복의 시편은 KS C IEC 60811-1-2의 8.에 따라
준비하고, 기계적인 시험을 실시한다.
8.5.5
요구사항
숙성 전후의 파단시의 인장강도와 신율의 중간값 사이의 변화량은 피복을 위한 KS C IEC 60092-
359와 절연체를 위한 KS C IEC 60092-351에 규정된 공기 오븐에서의 숙성 시험에 적용되는 해당값
을 넘지 않아야 한다.
8.6
8.6.1
PVC 절연체 및 PVC (ST1 및 ST2) 피복의 질량 시험의 손실
절차
표본 채취 및 시험 과정은 KS C IEC 60811-3-2의 8.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8.6.2
요구사항
29
KS C IEC60092-350:2011
시험 결과는 피복을 위한 KS C IEC 60092-359의 표 3과 절연체를 위한 KS C IEC 60092-351의 표
4에 주어진 요구 사항을 따라야 한다.
8.7
8.7.1
고온에서의 PVC 절연체 및 PVC(ST1 및 ST2) 및 SHF1 피복의 거동 시험(고온 압력 시험)
절차
표본 채취와 시험 과정은 절연체를 위한 KS C IEC 60092-351, 피복을 위한 KS C IEC 60092-359
에 있는 시험 방법에서 주어진 시험조건 상태에서 KS C IEC 60811-3-1의 8.따라야 한다.
8.7.2
요구사항
시험 결과는 피복을 위한 KS C IEC 60092-359와 절연체을 위한 KS C IEC 60092-351 에 주어진
요구 사항에 적합해야 한다.
8.8
8.8.1
저온에서의 PVC 절연체 및 PVC (ST1 및 ST2) 및 SHF1 / SHF2 피복의 거동 시험
절 차
표본 채취 및 시험 과정은 피복을 위한 KS C IEC 60092-359와 절연체를 위한 KS C IEC 60092-
351에 규정된 시험 온도 상태에서 KS C IEC 60811-1-4의 8.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8.8.2
요구 사항
시험 결과는 KS C IEC 60811-1-4의 8.에 주어진 요구사항에 적합해야 한다.
8.9
8.9.1
저온 거동에 대한 특수 시험 (요구되는 경우)
절차
시험은 부속서 E를 따라 냉간 굽힘 시험에 대해서는 (-40 +/- 2) ℃에서 시행하고 냉간 충격시험에 대
해서는 (-35+/- 2) ℃에서 시행하여야 한다.
8.9.2
요건
부속서 E에 주어진 요건을 따른다.
8.10 구리 와이어의 금속 코팅 시험
금속 코팅은 육안검사(6.4 참조)에 의하여 와이어 표면이 부드럽고, 균일하고 밝아야 하고 절연체는
도체에 고착되지 않은 경우에 만족된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8.11 아연 도금 시험
녹에 대한 강재 와이어의 저항(resistance)을 점검하기 위하여 아연 도금(galvanizing) 시험이 요구될
경우, ISO 7989-2의 5.3에 명시된 침수(immersion) 시험을 케이블 견본에서 추출한 와이어 시편에 시
행하여야 한다.
8.12 PVC 절연체 및 PVC(ST1 및 ST2) 및 SHF1 피복의 균열에 대한 저항 시험(열 충격 시험)
30
KS C IEC60092-350:2011
8.12.1 절차
표본 채취 및 시험 과정은 피복에 대하여 KS C IEC 60092-359와 절연체에 대하여 KS C IEC 60092
-351에 따라 시험 온도와 가열 기간을 맞추고, KS C IEC 60811-3-1의 9.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8.12.2 요구 사항
시험 결과는 KS C IEC 60811-3-1의 9.에 주어지는 요구 사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8.13 절연체 및 피복에 대한 오존 저항 시험
8.13.1 절 차
표본 채취 및 시험 절차는 KS C IEC 60811-2-1의 8.에 따라 시행해야 하며, 오존 집중(ozone
concentration)과 시험 기간은 KS C IEC 60092-351와 KS C IEC 60092-359의 따라야 한다.
8.13.2 요구 사항
시험 결과는 KS C IEC 60811-2-1의 8.의 요구 사항에 적합하여야 한다.
8.14 피복에 대한 고온 기름 담금 시험 및 강화된 뜨거운 기름 담금 시험
8.14.1 고온 기름 담금 시험
8.14.1.1 절차
표본 채취 및 시험 절차는 KS C IEC 60092-359의 조건에서 KS C IEC 60811-2-1의 8.에 따라 시행하
여야 한다.
8.14.1.2 요구 사항
시험 결과는 KS C IEC 60092-359에 주어진 요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8.14.2 강화된(enhanced) 뜨거운 기름 담금 시험 (요구되는 경우)
시험 절차 및 요건은 부속서 F에 규정되어 있다.
8.15 진흙 드릴링 유체 시험 (요구되는 경우)
드릴링 유체 저항 시험 절차 및 요건은 부속서 G에 규정되어 있다.
8.16 화재 시험
8.16.1 단일 케이블의 불꽃 확산(flame-spread) 시험
이 시험은 완성된 케이블 표본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이 시험 방법 및 요건은 IEC 60332-1-2를 따라야 한다.
31
KS C IEC60092-350:2011
8.16.2 케이블 다발의 불꽃 확산 시험
시험은 KS C IEC 60332-3-22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단, 접촉 형태(touching configuiration) (하나 또
는 그 이상의 층) 및 표준 300mm 너비 사다리가 모든 도체크기에 대하여 사용되어야 한다.
8.16.3 연기 배출 시험
이 시험은 적은 연기 배출(low smoke emission)이 요구되는 완성된 케이블의 표본에서 실행되어야 한
다.
이 시험 방법 및 요건은 KS C IEC 61034-1 및 KS C IEC 61034-2의 규정을 따라야 한다.
8.16.4 산성 가스 배출 시험
이 시험은 무 할로겐(halogen free)이 요구되는 케이블의 비금속 합성체(compound)에 실행되어야 한
다.
이 시험 방법은 KS C IEC 60754-1의 규정을 따라야 한다.
시험의 결과는 표 4의 요건을 만족해야 한다.
8.16.5 pH 및 전도율 시험
이 시험은 무 할로겐이 요구되는 케이블의 비금속 합성체에 실행되어야 한다.
이 시험 방법은 KS C IEC 60754-2의 규정을 따라야 한다.
시험의 결과는 표 4의 요건을 만족해야 한다.
8.16.6 플루오르 함량 시험
이 시험은 무 할로겐이 요구되는 케이블의 비금속 합성품에 실행되어야 한다.
이 시험 방법은 KS C IEC 60684-2의 규정을 따라야 한다.
시험의 결과는 표 4의 요건을 만족해야 한다.
표 4 ― 무 할로겐 합성체에 대한 시험 방법 및 요건
시험 방법
단위
요건
할로겐 가스 배출 시험
(KS C IEC 60754-1)
브롬(bromine) 및 염소 함량
(HCI로 표시), 최대
불소(fluorine) 함량 시험
(KS C IEC 60684-2)
%
0.5
플루오르 함량, 최대
pH 및 전도율 시험
%
0.1
32
KS C IEC60092-350:2011
(KS C IEC 60754-2)
pH, 최소
전도율, 최대
µS/mm
4.3
10
8.16.7 내화(fire resistance) 시험 (회로 보존(integrity) 케이블에 대한 시험)
시험 방법 및 요건은 관련된 케이블 명세서의 요구사항으로서 IEC 60331-12 및 IEC 60331-31 또는
KS C IEC 60331-11 및 KS C IEC 60331-21에 규정된 바에 따라야 한다.
8.17 HEPR 및 HF HEPR의 경도 결정
표본 채취 및 시험 절차는 KS C IEC 60092-351의 부속서 A를 따라야 한다.
시험 결과는 KS C IEC 60092-351의 요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8.18 HEPR 및 HF HEPR의 탄성 계수 결정
표본 채취 및 시험 절차는 KS C IEC 60092-351의 부속서 B를 따라야 한다.
시험 결과는 KS C IEC 60092-351의 요건을 만족하여야 한다.
8.19 프린트 내구성
내구성(durability)은 물을 적신 탈지면 또는 헝겊조각으로 가볍게 10회 문지르는 방법으로 표식
(marking) 또는 프린트(print)를 제거 것으로 내구성 요건을 만족하는지 점검하여 한다.
33
KS C IEC60092-350:2011
부속서 A
(규정)
보호 외피의 면적 결정을 위한 가상(fictitious) 계산 방법
A.1 소개
피복(sheath)이나 외장(armour)의 케이블의 외피(covering)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단계 표(step tables)”
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공칭 케이블 지름과 관련이 있어 왔다.
이는 때때로 문제시된다. 계산된 공칭 단면적은 제품이 갖는 실제값과 반드시 같지는 않다. 경계치의
경우, 계산된 지름이 실제 지름과 조금 차이가 있기 때문에 외피의 두께가 실제 지름과 같지 않는지
질의가 있을 수 있다. 제조업체에서 만들어진 도체 치수와 서로 다른 계산 방법간의 차이는 공칭 지
름의 차이를 발생시키며, 따라서 이 차이는 케이블의 동일 기본 설계에서 사용되는 외피의 두께에서
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어려운 점을 피하기 위해 가상 계산 방법이 개발되었다. 아이디어는 도체의 형태와 충전 정
도를 무시하고, 도체의 단면적, 절연 두께, 심의 수에 바탕을 두고 공식에 의하여 가상 지름을 계산
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피복 또는 기타 외피의 두께는 표 또는 공식에 의한 가상 지름과 관련이
있다. 근사 지름 계산 방법은 정확히 규정되며, 사용된 외피의 두께에 관한 애매모호한 점은 없게 되
며, 이는 제조 관행의 근소한 차이에 무관하다. 이는 케이블 설계를 표준화하여 케이블의 각 크기에
대하여 미리 계산되고 규정되도록 한다.
가상 계산은 오직 피복과 케이블 외피의 크기 결정을 위해 사용된다. 이는 실제적인 목적을 위해 요
구되고 별도로 계산되어야 하는 케이블 외피의 크기 공칭 지름의 계산과 대체할 수 없다.
A.2 일반 사항
케이블의 다양한 외피의 두께 계산을 위한 다음의 가상 방법은 예를들어, 공칭 지름과 실제 지름간
의 피할 수 없는 차이와 도체 크기의 추정에 기인하는 것과 같은, 별도의 계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채택되었다.
모든 두께와 지름값은 부속서 B에 주어진 규칙에 따라 첫십진수 형태로 반올림(rounding) 하여야 한
다.
예를들어 외장상부의 반대방향 나선(counter-helix)과 같은 설체 띄(holding strip)이 0.3 mm보다 두껍지
않은 경우, 이 계산 방법에서 무시된다.
A.3 방법
A.3.1 도체
형태 및 진도(compactness)에 관계없이, 도체의 가상 지름(dL )은 표 A.1과 같이 각각의 공칭 단면적
으로 주어진다.
34
KS C IEC60092-350:2011
도체의 공칭 단면적
(mm2)
0.5
0.75
1
1.5
2.5
4
6
10
16
25
35
표 A. 1 – 도체의 가상 지름 dL
dL
도체의 공칭 단면적
(mm)
(mm2)
0.8
0.95
1.1
1.4
1.8
2.3
2.8
3.6
4.5
5.6
6.7
dL
(mm)
50
70
95
120
150
185
240
300
400
500
630
8.0
9.4
11.0
12.4
13.8
15.3
17.5
19.5
22.6
25.2
28.3
A.3.2 심 (core)
모든 심의 근사 지름 Dc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a) 반도체 층(layer)을 가지지 않는 심을 가진 케이블에 대하여,
Dc = dL+2ti [mm]
b) 반도체 층을 가지는 심을 가진 케이블에 대하여,
Dc = dL + 2ti + 3.0 [mm]
여기에서 ti:절연의 공칭 두께
금속 스크린 또는 동심(concentric) 도체에 적용된다면, 표 A.2에 따른 추가 값이 필요하다.
표 A. 2 – 금속 스크린 또는 동심 도체에 대한 직경의 증가
금속 스크린 또는
동심 도체의
공칭 단면적
2
(mm )
1.5
2.5
4
6
10
16
25
35
증가된 지름
(mm)
0.5
0.5
0.5
0.6
0.8
1.1
1.2
1.4
금속 스크린 또는
동심 도체의
공칭 단면적
2
(mm )
50
70
95
120
150
185
240
300
증가된 지름
(mm)
1.7
2.0
2.4
2.7
3.0
4.0
5.0
6.0
동심 도체 또는 금속 스크린의 단면적이 상기 표의 두 값 사이에 있는 경우, 두 단면적 중 큰 쪽에
주어진 지름 증가량을 적용한다.
금속 스크린이 적용되었다면, 위의 표에 사용된 스크린의 단면적은 다음에 따라 계산 하여야 한다.
a) 테이프 스크린
35
KS C IEC60092-350:2011
단면적 =
nt
× tt × wt
여기에서
nt 테이프의 수 ;
tt 각 테이프의 공칭 두께 (mm) ;
wt 각 테이프의 공칭 너비 (mm) ;
스크린의 총 두께가 0.15 mm 미만일 경우 지름의 증가는 0 이어야 한다.
― 두 개 테이프 또는 겹침(overlap) 한 개 테이프로 만들어진 테이프 스크린에 대하여 총 두께는 테
이프 하나의 두배로 한다.
― 길이방향으로 적용된 테이프 스크린에 대하여는
• 겹침 부분이 30% 미만이면, 총 두께는 테이프의 두께이다.
• 겹침 부분이 30% 이상이면, 총 두께는 테이프 두께의 두 배이다.
b) 와이어 스크린 (역(counter) 나선형을 가진 경우)
단면적 =
(n\w × dw2 × π) / 4 + (nh × th × wh)
여기에서
n\w 와이어의 수 ;
dw 각 와이어의 지름 (mm) ;
nh 역 나선형의 수 ;
th
0.3mm 보다 큰 경우의 역 나선형의 수 ;
wh 역 나선형의 너비 (mm).
A.3.3 겹 심재(laid-up) 지름
겹 심재의 근사(fictitious) 지름(Df )은 다음과 깉이 주어진다.
a) 동일 공칭 단면적의 도체를 갖는 케이블
Df =kDc (mm)
여기에서 계수 k 는 표 A.3에서 주어진다.
36
KS C IEC60092-350:2011
표 A.3 – 겹(laid-up)에 대한 조립 계수 k
심재 수
조립 계수 k
심재 수
조립 계수 k
2
2.00
25
6.00
3
2.16
26
6.00
4
2.42
27
6.15
5
2.70
28
5.41
6
3.00
29
6.41
7
3.00
30
6.41
7*
3.35
31
6.70
8
3.45
32
6.70
8*
3.66
33
6.70
9
3.80
34
7.00
9*
4.00
35
7.00
10
4.00
36
7.00
10*
4.40
37
7.00
11
4.00
38
7.33
12
4.16
39
7.33
12*
5.00
40
7.33
13
4.41
41
7.67
14
4.41
42
7.67
15
4.70
43
7.67
16
4.70
44
8.00
17
5.00
45
8.00
18
5.00
46
8.00
18*
7.00
47
8.00
19
5.00
48
8.15
20
5.33
52
8.41
21
5.33
61
9.00
22
5.67
23
5.67
24
6.00
* 단층으로 조립된 심재
b) 감소된 단면적의 한 개의 절연 도체의 4심 케이블
Df = 2.42 (3Dc1 + Dc2) / 4 (mm)
여기에서
Dc1:금속층이 있는 경우 이를 포함하는 절연 상(phase)도체의 가상 지름
Dc2:요구된 경우 감소된 단면적의 절연 도체의 가상 지름
c) 통제 및 계기 케이블에 대한 식은 다음을 따른다.
a) 겹 심재의 지름
표 A.3에 주어진 방법을 사용
b) 겹 한쌍 (Dp), 3개 (Dt) 또는 4개(Dq) 의 지름 :
dp = Dc × 2 (mm)
또는
dt = Dc × 2.16 (mm)
또는
dq = Dc × 2.42 (mm)
37
KS C IEC60092-350:2011
여기서 Dc 는 단일 심재의 지름
c) 겹 한쌍(Dp), 3개(Dt) 또는 4개(Dq)의 지름 :
Dp = dp × k × cf (mm)
또는
Dt = dt × k × cf (mm)
또는
Dq = dq × k × cf (mm)
여기서 계수 k 는 표 A.3.에 주어져 있다.
계수 cf 는 표 A.4.에 주어져 있다.
표 A.4 – 계수 cf
케이블 종류
개별 스크린 된 한쌍
묶음으로(collectively) 스크린 된 한쌍
개별 스크린 된 3개
묶음으로 스크린 된 3개
개별 스크린 된 4개
묶음으로 스크린 된 4개
계수 cf
0.89
0.82
0.94
0.87
1.0
1.0
A.3.4 안쪽 외피 (inner covering)
안쪽 외피 DB 에 의한 근사 지름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DB = Df + 2tB
여기에서
tB = 0.4 mm ;
tB = 0.6 mm ;
40mm 이하의 겹 심재의 가상지름에 대하여
Df 40mm 초과에 대하여
tB 에 대한 가상값은 안쪽 외피가 겹쳐(lapped)있거나 압출(extruded)되어 있는 케이블에 적용된다.
통제 및 계기 케이블은 DB에 대한 식에 Df값으로 Dp, Dt 또는 Dq로 사용한다.
A.3.5 피복 (sheath)
피복 Ds 에 의한 가상 지름은
Ds =Du+2ts (mm)
여기에서
Du:피복 아래의 가상 지름
ts:관련 케이블의 표준에 정해진 두께
A.3.6 꼰 외장 (braid armour)
꼰 외장 Dx 의 근사 직경은
Dx =DA + 5dw (mm)
여기에서
DA:외장 아래의 가상 지름
dw:꼰 와이어의 공칭 지름
38
KS C IEC60092-350:2011
부속서 B
(참고)
스파크 시험 전압 레벨 최소 권고치 (IEC 62230에 따라)
B.1 일반사항
아래에 주어진 시험 전압의 레벨은 IEC 62230에서 왔으며, 제품 표준에 명시된 대안의 전압이 없는
경우 사용한다. 시험 방법의 상세는 IEC 62230에 주어져 있다.
B.2 시험 전압
B.2.1 일반 사항
이 부속서에 주어진 전압은 시험 중 층(layer)에 있는 결합을 찾아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최소 레벨로
서 권고 된다. 이 레벨의 실용성은 제조자에 의해서 확인되어야 하고 시험 재료의 종류에 따라 결정
된다.
비고 몇몇 국가는 그들의 국가 표준으로서 더 높은 시험 레벨을 설정하고 있다.
B.2.2 접촉 전극
시험 전극(electrode)에 제공되는 고전압은 표 B.1에 명시된 교류, 직류, HF 또는 펄스 전압일 수도
있다.
표 B.1은 300 V 와 3,000 V 사이의 정격 전압(U0)을 가진 케이블에 대하여 권고되는 시험 전압을 나
타낸다.
표 B.1 – 300V 와 3,000 V 사이의 정격 전압(U0)을 가진 케이블에 권고되는 최소 스파크-시험 전압
시험 중 층의 표로 만들어진
시험 전압
kV
(tabulated) 방사형 두께 (mm)
HF
부터
까지
교류
직류
펄스
0
0.25
3
5
4
5
0.26
0.50
5
7
6
7
0.51
0.75
6
9
7
9
0.76
1.00
7
11
8
11
1.01
1.25
9
13
10 a
13
1.26
1.50
10
15
11 a
15
a
1.51
1.75
12
17
13
17
1.76
2.00
13
20
14 a
20
a
2.01
2.25
14
22
15
2.26
2.50
16
24
17 a
2.51
2.75
17
26
18 a
a
2.76
3.00
19
28
20
a
1.0mm 보다 큰 층 두께에 대한 HF 전압 시험은 500 Hz 와 4 kHz 사이의 주파수로 제한되어야
한다.
펄스 전압 시험은 2.0mm 보다 큰 층 두께에는 권고되지 않는다.
39
KS C IEC60092-350:2011
모든 바깥쪽 금속 층이 없는 단심재 케이블에 대한 수중에서의 전통적인 전압 시험을 대체하기 위한
시험으로서, 표 B.1의 권고사항은 오직 최대 2.0 mm 까지의 두께 및 교류 또는 직류 파형에만 적용
된다.
예를들어 피복이 없는 케이블과 같이 시험하는 겹(Laid-up) 심재 조립품을 시험할 경우, 시험 전압
레벨은 조립품에서 가장 낮은 각각의 절연체 두께에 대한것이어야 한다.
비고 예외적이 상황에서(예를 들어, Ki가 100 M Ω·km 보다 작은 것과 같이 낮은 절연 저항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알려진 피복 재료의 경우, 특별한 케이블 표준은 과도한 누출 전류가 흐리지
않고 가상의(spurious) 결함이 증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전압에서 감소를 권고하
거나 또는 요구 할 수 있다.
B.2.3 비접촉 전극
시험 전극에 제공되는 고전압은 교류이어야 한다. 피복 아래의 심재 또는 금속 층의 도체는 연속적
으로 접지 되어야 한고 전극과 도체 또는 금속 층 사이의 잠재적인 차이는 18 kV이어야 한다.
40
KS C IEC60092-350:2011
부속서 C
(규정)
수치의 반올림(rounding)
C.1 가상(fictitious) 계산 방법의 목적을 위한 수치의 반올림
C.1.1 규칙
다음의 규칙은 부속서 A에 따라 부속품 층의 치수 결정과 가상 지름 계산에 있어서 수치를 반올림할
때 적용한다.
각 단계에서 계산된 값이 소수점 한자리 보다 클 때, 그 값은 가장 가까운 0.1 mm의 소수점 첫째 자
리로 반올림하여야 한다. 각 단계에서의 가상 지름은 0.1 mm까지 반올림하여야 하며, 겹입층
(overlying layer)의 치수 또는 두께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할 때, 적당한 식이나 표에서 사용되기 전
에 반올림되어 사용하여야 한다. 가상 지름의 반올림값으로부터 계산된 두께는 부속서 A에서 요구되
는 것처럼 0.1 mm로 반올림된다.
C.1.2 실례
이 규칙을 실례(illustration)를 보이기 위해, 다음의 실질적인 예가 주어졌다.
a) 반올림 전에 소수점 둘째 자리에 숫자 0, 1, 2, 3 또는 4가 주어졌을 때, 숫자는 변화하지 않고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유지된다. (반올림 삭제)
보기
2.12
2.449
25.0478
»
»
»
2.1
2.4
25.0
b) 반올림 전에 소수점 둘째 자리에 숫자 9, 8, 7, 6, 또는 5가 주어졌을 때, 숫자는 소수점 첫째 자리
에 있는 숫자를 하나 증가시킨다. (반올림)
보기
2.17
2.453
30.050
»
»
»
2.2
2.5
30.1
C.2 기타 목적을 위한 수치 반올림
C.2.1 지침
C.1.1에서 고려한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을 위하여, 소수점 첫째 자리 이상까지 반올림이 요구될 수
있다. 예로서 몇몇 측정 결과의 값 계산 중에, 또는 주어진 공칭값에 대하여 퍼센트 허용값
(tolerance)의 적용에 의한 최소값 계산시 이러한 것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관련 조항에 규
정한 소수점 자리수까지 반올림 하여야 한다.
C.2.2 반올림 방법은 다음과 같이 하여야 한다 :
41
KS C IEC60092-350:2011
― 만약 반올림 전의
제)
― 만약 반올림 전의
보 기 2.449 »
2.449 »
25.0478 »
25.0478 »
25.0478 »
마지막 숫자가 0, 1, 2, 3 또는 4일 때에는 변화없이 그냥 유지된다. (반올림 삭
마지막
2.45
2.4
25.048
25.05
25.0
숫자가 9, 8, 7, 6, 또는 5일 때, 숫자는 하나 증가한다. (반올림)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반올림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반올림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반올림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 반올림
42
KS C IEC60092-350:2011
부속서 D
(규정)
원형 구리 도체의 케이블 바깥 치수의 상, 하한값 계산
D.1 일반 사항
이 부속서는 원형 구리 도체를 갖는 케이블의 바깥 지름에 대한 상하한값의 계산 방법에 대하여 규
정한다.
D.2 바깥 지름의 하한값
D.2.1 표 D.1로 부터 도체의 하한값을 구한다.
D.2.2 D.2.1에서 얻어진 도체 지름의 적정값에 각 심재의 필수 외피(covering)과 절연의 두께의 규정
평균값의 2배를 추가한 심재의 공칭 지름을 계산한다. 이는
D.2.3 표 A.3에 주어진 조립 계수 k 의 적정값에 D.2.2에서 얻어진 값을 곱하여 심재 조립체의 공칭
지름을 계산한다.
D.2.4 심재 조립체가 있는 경우 그의 기타 필수 피복(sheath) 및 피복(들)의 두께의 평균값의 2배를
D.2.3에서 얻어진 값에 더하여 완성된 케이블의 공칭 바깥지름 D0을 계산한다.
D.2.5 바깥지름의 하한값 Dmin은 D0에 0.97을 곱한 값과 다음 값에서 반올림한 값에 의해 얻어진다.
― 0.97 D0 £ 5 mm 일 경우, 가장 근접하는 낮은 소수점 반올림
― 5 mm < 0.97 D0 £ 10 mm 인 경우, 가장 근접하는 낮은 짝수 소수점 반올림
― 0.97 D0 > 10 mm 인 경우, 가장 근접하는 한자리수의 1/2(half-unit)
보기 만약
0.97 D0=4.33
0.97 D0=7.33
0.97 D0=11.33
0.97 D0=11.83
Dmin=4.3
Dmin=7.2
Dmin=11.0
Dmin=11.5
D.3 바깥 지름의 상한값
D.3.1 표 D.1에서 도체 지름의 상한값을 얻는다.
D.3.2 문제의 케이블의 규정된 도체의 모든 외피(필수 및 선택사항 모두) 절연체 두께의 규정 평균
값의 2배를 D.3.1에 주어진 도체 지름의 적정값에 더하여 심재의 공칭 지름을 계산한다.
D.3.3 표 A.3에 주어진 조립 계수 k 에 D.3.2에서 얻어진 값을 곱하여 심재 조립체의 공칭 지름을
계산한다.
D.3.4 문제의 케이블 또는 코드(cord)의 정해진 모든 외피(필수 및 선택사항 모두)와 피복(들)의 규정
평균 두께 값의 2배를 D.3.3에서 얻어진 값에 더하여 완성된 케이블의 공칭 바깥지름 D1을 계산한
다. (D.4 참조)
43
KS C IEC60092-350:2011
D.3.5 바깥지름의 상한값 Dmax는 다음과 같이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계산한다.
Dmax =1.05 D1+X
여기에서
단심 케이블로서 D1 £ 5 mm일 때, X =0.3 mm
단심 케이블로서 D1 > 5 mm, 및 다심 케이블 D1 £ 5 mm일 때, X =0.4 mm
다심 케이블로서 D1 > 5 mm일 때, X =0.5 mm
Dmax 는 Dmin 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올림하며 (D.2.5 참조), 가장 근접한 최저값 대신에 그 다음의 최
고값을 사용한다.
보기 만약
1.05 D1+X =4.84 인 경우,
1.05 D1+X =9.23 인 경우,
1.05 D1+X =12.11 인 경우,
1.05 D1+X =12.62 인 경우,
Dmax =4.9
Dmax =9.4
Dmax =12.5
Dmax =13.0
D.4 절연체 및 피복(들) 이외의 필수 또는 선택적 외장의 두께
도체와 절연체 사이의 격리판(separator) ················································································· 0.08 mm
입증된 직물 테이프, 직물꼬임 둥근(braid round) 심재 ·························································· 0.15 mm
피복의 두 층간의 격리판 ········································································································· 0.15 mm
바깥 직물 꼬임 ·························································································································· 0.30 mm
금속 꼬임 ···························································································· 2.5× (부속와이어의 지름)[mm]
표 D.1 – 고정된 설치물용 케이블에 대한 원형 구리 도체의 상하한
공칭 단면적
mm2
0.5
0.75
1
1.5
2.5
4
6
10
16
25
35
50
70
95
120
150
185
240
300
400
500
630
2 등급
도체의 지름
하한 값 mm
0.85
1.1
1.15
1.45
1.86
2.35
2.89
3.75
4.72
5.95
7.00
8.15
9.79
11.5
13.0
14.4
16.1
18.5
20.7
23.8
26.7
31.0
상한 값 mm
0.95
1.25
1.35
1.65
2.10
2.63
3.22
4.18
5.26
6.62
7.80
9.08
10.9
12.9
14.4
15.9
17.9
20.3
22.7
26.1
29.2
34.0
5 등급
도체의 지름
하한 값 mm
0.85
1.0
1.15
1.45
1.86
2.35
2.95
4.00
5.00
6.20
7.60
9.20
10.6
12.5
13.9
15.5
17.2
19.8
22.0
27.8
31.4
35.0
상한 값 mm
0.95
1.10
1.35
1.65
2.10
2.63
3.25
4.50
5.60
6.90
8.5
10.2
12.1
14.0
15.5
17.3
19.2
22.0
24.5
31.0
35.0
39.0
44
KS C IEC60092-350:2011
부속서 E
(규정)
저온 거동을 위한 냉간 굽힘 시험 및 충격 시험
E.1
모든 명시된 저온에서의 냉간 굽힘 시험
E.1.1 방법 1
E.1.1.1
장치
장치(apparatus)는 요구되는 시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고, 시편을 파단하는데 필요한 맨드렐
(mandrel) 위에 굽힘 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진 챔버를 포함하여야 한다.
E.1.1.2
절차
직선 시편 및 적절한 맨드렐이 조절(conditioning) 챔버에 위치되어야 하고 4시간 동안 유지되어야 한
다. 챔버에 정체하여(still) 있는 동안 시편은 명시된 회전(turn) 횟수를 완성하기 위한 시간이 15초에
서 30초 사이에 유지되는 비율로 맨드렐 주위에서 구부러져야 한다. 시편에 걸리는 인장력이 명시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시편이 맨드렐의 주변에 꼭 맞도록 하여야 한다. 맨드렐의 회전이 원격으로 조
종되지 않는다면, 시편 및 맨드렐은 열이 차단된 장갑을 사용하여 조작되어야 한다. 챔버로부터 시편
이 제거되는 것이 필요하다면 (조작이 어렵기 때문에), 굽힘은 가능한 빠르게 시작되고 제거 시작 시
간부터 30초 내로 완성되어야 한다.
E.1.2 방법 2
E.1.2.1
장치
E.1.1.1를 참조할 것.
E.1.2.2
절차
완성된 케이블의 총 지름의 10배의 맨드렐 및 직선 시편이이 조절 챔버에 위치되어야 하고, 특정한
기간 동안 유지되어야 한다. 챔버에 있는 동안 시편은 맨드렐 주위로 반대방향으로 한바퀴돌려서 싸
여져 있어야 하고, 펴지고(straightened), 반대방향으로 한바퀴 돌려서 맨드렐에 싸여져 있어야 하고,
그리고 똑바로 싸여져 있어야 한다. 맨드렐에 싸여짐은 느리고 일정한 속도로 시행되어야 하고, 적용
된 인장력은 시편이 맨드렐의 주변에 꼭 맞도록 충분해야 한다.
E.1.3 조사 및 요건
피복 및 기초가 되는(underlying) 구성품은 균열 또는 파손이 보이지 않아야 한다.
굽힘 작동뒤에, 시편은 균열, 꼰 끈(braids) 또는 테이프의 파손, 랩(wrap) 형상 사이의 공간의 합계
(amount)는 기초가 되는 구성품을 조사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곳을 자르고 개봉하여야
한다. 레커(lacquers), 패인트, 아스팔트 구성품 등의 균열 또는 조각은 점검하는데 특별한 요구가 없
다면 무시하여야 한다.
E.2
모든 명시된 저온에서의 충격 시험
45
KS C IEC60092-350:2011
E.2.1 장치
장치는 와이어 또는 케이블 시편의 충격을 위한 장비(device)를 포함하여야 한다; 즉, 명시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냉장장치; 그리고 대략 50 mm × 100 mm 의 크기를 가진 나무(투명한 전나무)(clear
spruce)의 짧은 길이의 견본 지지대(supports)
a) 충격 장치는 충격 구성품용 트랙(track)을 주도록 홈(groove)을 제공하는 두개의 수직 기둥(upright)
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충격 구성품은 무게가 1.36 kg이어야 하고, 시험 시편에 충격을 가할 수
있는 강재 머리(head)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 머리는 지름이 28.5 mm 이어야 하며, 약간 둥근 모
서리의 지름을 가진 충격을 가할 수 있는 평평한 표면을 가져야 한다. 충격 구성품은 특정 높이로
부터 풀어질(release) 수 있는 잠금(locking)장치가 제공되어야 한다.
b) 냉장장치는 견고한 바닥을 가진 단단한 포스트(post)가 설치되어야 한다. 포스트의 꼭대기는 시편
이 충격을 받는 견본 지지대인 50mm × 100 mm 나무(투명한 전나무)를 단단히 고박할 수 있는
장치가 제공되어야 한다.
비고 투명한 전나무는 견본을 지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재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시험에
사용할 만하다. 그러나 논란이 있을 경우, 투명한 전나무는 참고(reference) 재료로서 사용되어
야 한다.
E.2.2 절차
시험하기 위한 와이어 또는 케이블의 10개의 0.13 m 직선 시편은 명시된 온도로 냉각된 냉장 챔버에
두어져야 한다. 챔버는 4시간 동안 이 온도로 유지 하여야 한다. 온도 조절 다음 단계로, 각각의 시
편은 곧바로 냉장 챔버 안의 포스트 꼭대기에 조여진 나무조각의 결(grain) 방향으로하여, 평편 케이
블의 긴 단면 축이 이를 지지하는 면과 평행이 되도록 두어야 한다. 시편의 꼭대기와 해머 사이의
거리가 915 mm 인 높이에서 시편을 자유 낙하하여 해머에 충격을 가하도록 하여야 한다. 시편이 직
각으로 충돌할 수 있도록 주의 하여야 한다.
비고 필요 시, 실온에서 15초 내에 충격이 행해 진다면, 견본은 챔버로 부터 제거될 수 있다. 논란이
생기면, 챔버안의 충격은 심판(referee) 방법에 의하여야 한다.
E.2.3 검사 및 요건
피복 및 각 시편의 절연체는 검사(examination)되어야 하고 균열 및 파손이 보이지 않아야 한다.
46
KS C IEC60092-350:2011
부속서 F
(규정)
피복에 대한 강화된 뜨거운 기름 담금 시험의 절차 및 요건
F.1
견본 채취 및 시험편 준비
KS C IEC 60811-1-1의 9.2.2 및 9.2.3에 명시된 절차를 따라 5개의 시험편이 준비되어야 한다.
선형의 팽창(swell) 결정 시험은 두께(1.25+/-0.25)mm의 덤벨(dumb-bell) 견본에 대하여 실행되어야
한다.
F.2
시험편의 단면적의 결정
KS C IEC 60811-1-1의 9.2.4의 시험 방법을 참조할 것.
F.3
사용되는 기름
무기물 기름 타입 IRM 902 (ISO 1817을 따른다.)
F.4
절차
시험편을 담그기 전에, 무게는 0.1 mg 이내로, 그리고 덤벨(dumb-bell)의 축을 따른 선형적인 크기
(mm)는 실온에서 측정되어야 한다.
다음 단계로 시험편을 (100 +/- 2)℃ 로 미리 가열된 오일 통에 담그고 그 온도의 기름안에서 7일 동
안 유지시켜야 한다. 관련된 케이블의 표준에 특별한 기타 규정이 없는 경우, 그 규정된 기간이 지난
후, 다음 단계로 시험편을 기름에서 꺼내고, 과도의 기름을 제거하기 위하여 가볍게 닦아내어야 하며,
최소 16시간 최대 24시간 동안 실온의 공기중에서 달아매어 놓아야 한다. 이후 마지막 단계로 남은
여분의 기름을 시험편으로부터 가볍게 닦아내어 제거한 다음, 시험편의 선형적 팽창, 무게 및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여야 한다.
F.5
결과의 표현
인장 강도는 담금 시험 전에 측정한 시험편의 면적을 토대로 계산하여야 한다.
기름에 담근 5개의 시험편 값의 중간값과 비숙성(un-aged) 시험편의 중간값의 차이는 F.6-a, 및 F.6b에 주어진 요건에 명시된 백분율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선형적 팽창 및 무게의 변화는 다음을 따라 계산된다.
((담금 후의 선형적 크기 / 담금 전의 선형적 크기) × 100) – 100%
((담금 후의 무게 / 담금 전의 무게) × 100) – 100%
F.6
요건
a) 인장 강도 : 40%의 숙성 되지 않은 견본으로 부터의 최대편차
47
KS C IEC60092-350:2011
b) 파단의 신장 : 40%의 숙성 되지 않은 견본으로 부터의 최대편차
c) 선형적 팽창 : 15%의 숙성 되지 않은 견본으로 부터의 최대편차
d) 무게의 변화 : 15%의 숙성 되지 않은 견본으로 부터의 최대편차
비고 선형적 팽창의 요건은 적절한 기간내에 KS C IEC 60092-359으로 이전될 것이다.
48
KS C IEC60092-350:2011
부속서 G
(규정)
드릴링 유체 시험 절차 및 요건
G.1 드릴링 유체 저항 시험
드릴링 유체는 대부분의 유전(oil field) 드릴링 작업에 사용된다. 소위 말하는 드릴링 유체 시스템에
사용되는 유체는 케이블과 접촉할 수 있으며 케이블의 기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러한 드릴링
유체에 노출되는데 대한 외장된 전기 케이블 피복재(KS C IEC60092-359에 주어진)의 적합성
(suitability)은 사용되는 드릴링 유체의 종류에 크게 좌우된다.
G.2 사용되는 드릴링 유체
여러 드릴링 유체는 물 기반 및 기름 기반 머드에 대하여 3가지 범주로 나뉘어 질수 있으며, 특정
시험 드릴링 유체는 여기서 정의 된다.
다음 범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에서 드릴링 유체의 저항이 필요한 재료는 SHF2 재료에 대하여 KS
C IEC 60092-359에 주어진 정상(normal) 기름 시험을 실행하여야 하며, 또한 강화된 기름 저항에 대
하여 부속서 F에 서술된 절차를 따라 IRM 903 기름 (ISO 1817에 따름)의 시험을 실행하여야 한다.
IRM 903 기름 시험에 대하여 다음의 요건이 적용된다 :
a)
b)
c)
d)
인장 강도 : 30%의 숙성 되지 않은 견본으로 부터의 최대편차
파단에서의 신장 : 30%의 숙성 되지 않은 견본으로 부터의 최대편차
선형적 팽창 : 30%의 숙성 되지 않은 견본으로 부터의 최대편차
무게의 변화 : 30%의 숙성 되지 않은 견본으로 부터의 최대편차
드릴링 유체 범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재료를 적합하게(quality) 하기 위하여, 그 재료는 대표적인
시험 드릴링 유체의 각각의 범주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시험되어야 한다.
1
2
3
드릴링 유체 종류
물 기반 머드
기름 기반 머드
에스테르(ester)기반 머드
대표적인 종류
칼슘 브롬화 해수 (calcium bromide brine)
탄소 해수 (carbo sea)
고려 중
비고 에스테르 기반 머드에 대한 특정 시험 드릴링 유체 및 시험 방법은 현재 고려 중이다.
G.3 절차
KS C IEC 60811-1-1의 9.2.2 및 9.2.3에 서술된 절차에 따라 5개 시험편은 준비하여야 한다.
선형적 팽창 측정을 위한 시험은 두께 (1.25 +/- 0.25)mm 의 덤벨 견본에서 시행되어야 한다.
시험편의 단면적 결정 방법은 KS C IEC 60811-1-1의 9.2.4에 주어져 있다.
각 시험 조각을 담그기 전에, 무게는 0.1 mg 이내로, 그리고 덤-벨(dumb-bell)의 축을 따른 선형적인
크기(mm)는 실온에서 측정되어야 한다.
49
KS C IEC60092-350:2011
다음 단계로 시험편은 (70 +/- 2)℃ 로 미리 가열된 특정 유체에 담궈야 하며, 그 온도에서 56일 동안
유지 하여야 한다. 관련된 케이블의 표준에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 다음 단계로 시험편은 유체로
부터 꺼내고, 최소 16시간 최대 24시간 동안 대기온도의 공기중에서 유지한다. 마지막 단계로 남은
여분의 기름을 시험편으로부터 가볍게 닦아내어 제거한 다음, 각 시험편의 선형적 팽창, 무게 및 기
계적 성질을 측정하여야 한다.
G.4 결과의 표현
인장 강도는 담금 시험 전에 측정한 시험편의 단면적을 토대로 계산하여야 한다.
기름에 담근 5개의 시험편 값의 중간값과 비숙성 시험편의 중간값의 차이는 G.5-a, 및 G.5-b에 주어
진 요건에 명시된 백분율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선형적 팽창 및 무게의 변화는 다음을 따라 계산된다.
((담금 후의 선형적 크기 / 담금 전의 선형적 크기) × 100) – 100%
((담금 후의 무게 / 담금 전의 무게) × 100) – 100%
G.5 요건
a)
b)
c)
d)
인장 강도 : 25%의 숙성 되지 않은 견본으로 부터의 최대편차
파단에서 신장 : 25%의 숙성 되지 않은 견본으로 부터의 최대편차
선형적 팽창 : 20%의 숙성 되지 않은 견본으로 부터의 최대편차
무게의 변화 : 20%의 숙성 되지 않은 견본으로 부터의 최대편차
비고 드릴링 유체 저항 적합성(gualification) 시험을 만족하는 재료는 특정한 드릴링 유체 또는 특정
작업 조건에서의 사용을 위해서는 자동적으로 승인되지는 않으며, 케이블 제조자와 특정 합의
및/또는 필요한 특정 기름 및 특정 조건에서의 추가 시험이 필요하다. 이 요건은 적절한 기간
내에 KS C IEC 60092-359으로 이전될 것이다.
50
KS C IEC60092-350:2011
참고 문헌
KS C IEC 60092-354 : 선박용 전기설비-제 354부 : 정격 전압 6 kV, 10 kV 및 15 kV 용 압출 성형된
절연 단심, 3심 전력 케이블
KS C IEC 60227 (전부) : 정격전압 450 / 750 V 이하 염화 비닐 절연 케이블
KS C IEC 60227 (전부) : 정격전압 450 / 750 V 이하 고무 비닐 절연 케이블
KS C IEC 60502-2 : 정격전압 1 ~ 30 kV 압출 절연 전력 케이블 및 그 부속품 – 제 2부 : 케이블 (6
kV 및 30 kV)
IEC 62230 : Electric cables – spark-test method
51
KS C IEC60092-350:2011
KS C IEC60092-350:2011
KSKSKS
SKSKS
KSKS
SKS
KS
SKS
KSKS
SKSKS
KSKSKS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350 : General construction and test
methods of power, control and
instrumentation cables for shipboard
and offshore applications
IC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http://www.kat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