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 OS X(텐) 의 기초 배우기

Mac OS X Q contents
1
2
3
4
2004.12.16
Section 1
05:39 PM
˘
`
1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
82
데스크탑과 친구하기
1. 마우스의 사용법
18
6. 윈도우 보기 전환 방법
30
2. 주요 폴더와 인사하기
20
7. 원하는 항목 찾기
32
3. 휴지통의 사용법
22
8. Dock 사용하기
34
4. 폴더의 생성 및 배치 요령
23
9. 최근 사용 항목 열기
40
5. 폴더 계층간 이동하기
25
10. CD/DVD 굽기
42
Section 2
82
나만의 맥으로 만들기
1. 시스템 환경 설정 불러내기
18
5. Dock의 크기 및 위치 바꾸기
25
2. 데스크탑의 배경 그림을 바꾸어 보자
20
6. Dock에 새로운 항목을 추가해보자
30
3. 화면 보호기를 선택하자
22
7. 파인더 윈도우 도구 막대 편집하기
32
4. 모니터 해상도를 바꾸어보자
23
8. 파인더 환경 설정
34
Section 3
120
응용 프로그램의 기본 사용법
1. MacOS X의 응용 프로그램들은 어디에?
18
5. 서체 사용하기
25
2. 응용 프로그램의 시동과 종료
20
6. 시스템 서비스 활용하기
30
3. 응용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와 설치
22
7. 파일 저장하기
32
4. 서체의 설치
23
8. 응용 프로그램의 강제 종료
34
Section 4
82
인쇄하기
1. 프린트 설정 유틸리티와 인사하기
18
4. 문서 인쇄하기
23
2. 프린터 설정하기
20
5. 프린터 설정값의 저장과 재사용
25
3. USB 프린터 공유하기
22
6. PDF 문서를 만들자
30
Mac OS X Q contents
5
2004.12.16
Section 5
6
05:39 PM
˘
`
2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
82
네트워크로 맥 공유하기
1. 네트워크 상태 확인하기
84
4. 파일 공유 설정하기
89
2. 이더넷 구성하기
86
5.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기
92
3. 에어포트에 연결하기
88
6. PC와 파일 공유하기
94
Section 6
104
인터넷 사용하기
1. 케이블 모뎀 연결하기
106
4. Sherlock으로 웹 검색하기
112
2. 전화 인터넷 접속 설정하기
108
5. 이메일 사용하기
114
3. 웹 브라우저 사용하기
110
6. iTunes로 인터넷 라디오 방송 듣기
116
Mac OS XQ
”æ¶
2004.12.16
05:43 PM
˘
`
1
9600/233 †¸
데스크탑과 친구하기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1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데스크탑과 친구하기
데스크탑은 이름 그대로 사무용 책상 환경을 그대로 컴퓨터 상으로 옮겨 놓은 것이
다. 파일 캐비넷에 해당하는 하드 디스크를 열면 폴더들이 있고, 폴더 내부에는 파
일들이 존재하는 것까지 실제 파일 캐비닛과 흡사하다.
이와 동시에 데스크탑에는 메뉴와 아이콘, 윈도우라는 공통 그래픽 요소들이 존재하
여 누구나 손쉽게 컴퓨터와 친숙해지고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배려되어 있다.
데스크탑 사용법을 익힌다는 것은 MacOS X 사용법의 대부분을 익힌다고 해도 과
언이 아닌 만큼 매킨토시 사용법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 단원에서는 MacOS X
에 첫발을 내딛는 새내기들을 위하여 마우스 사용법에서부터 CD/DVD 굽기까지의
과정을 차례대로 살펴보자.
� 마우스의 사용법
마우스의 사용법으로 는 클릭(click)과 더블클릭(double click), 드래그(drag) 그리고 드래그앤드
롭(drag & drop)의 4가지가 있다.
1
[클릭]
마우스 버튼을 한번 누르는 것을 클릭이라 한다. 대화상자의 단추를 누르거나 데스크탑에서 파일이나 폴
더를 선택하는데 사용된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2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더블클릭]
마우스를 두번 누르는 것을 더블클릭 혹은 이중클릭이라고 한다. 더블클릭은 폴더나 각종 문서를 열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자할 때 사용한다.
2
[드래그]
마우스 버튼을 누른채로 마우스를 이동시키는 것을 말한다. 데스크탑에서 여러 개의 아이콘을 동시에 선
택하거나 선택한 파일이나 폴더의 위치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한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3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드래그앤드롭]
마우스 버튼을 눌러 어떤 대상체를 선택한 상태에서 마우스를 이동키셔 앞서 선택한 대상체를 원하는 위
치까지 끌어당긴(드래그) 뒤, 마우스 버튼에서 손을 떼는(드롭) 방식을 말한다. 이는 휴지통에 파일을 버
리거나 어떤 문서를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열고자 할 때 주로 사용한다.
� 주요 폴더와 인사하기
3
맥을 처음으로 시동하고 보면 데스크탑 화면 우측 상단에 하드 디스크 아이콘이 나타나 있을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이중클릭하여 열어보면 그림 1-10처럼 4개의 기본 폴더를 볼 수 있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4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데스크탑과 친구하기
“응용 프로그램 폴더”
는 Mac OS X에 설치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이 저장되어 있는 곳이며,“라
이브러리 폴더”
는 시스템 소프트웨어가 사용하고 있는 각종 설정값, 플러그인 등이 저장되어 있는
곳이다.
“시스템 폴더”
는 MacOS X 운영체제 자체가 들어 있는 장소이며,“사용자”폴더는 해당 맥에 설정
되어 있는 여러 사용자의 개인적인 설정 사항이 기록되어 있는 곳이다.
이들 4개의 폴더는 MacOS X이 설치된 어떤 하드 디스크에서든 기본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이며 여
기서 사용자가 관심을 갖고 볼 폴더가“사용자”폴더이다.
사용자 폴더를 열어보면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의 폴더가 집 모양으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폴더를“홈(Home)”이라고 한다.
4
MacOS X은 기본적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한대의 컴퓨터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멀티 유저 환경을
전제로 개발이 되어있기 때문에, 각 사용자들은 자신의 홈 폴더를 갖게 된다.
자신의 계정(account)을 통해 로그인(log-in)한 사용자가 MacOS X을 사용하게 되면, 각종 업무용
파일이나 멀티미디어 자료들은 기본적으로 각 사용자의 홈 폴더에 저장이 된다.
홈 폴더를 열어보면 그림 1-12와 같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5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홈 폴더 안에는 해당 사용자가 생성한 다양한 파일이 종류 별로 분류, 저장될 수 있도록 도큐멘트
및 그림, 동영상, 음악, 사이트등의 폴더가 마련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설치하
게 되면 해당 소프트웨어가 사용하는 폴더 들도 이곳에 생성된다.
� 휴지통의 사용법
휴지통이란 이름 그대로 삭제하고 싶은 파일이나 폴더를 버리는 곳이다. 이곳에 버려진 파일들은
휴지통 비우기 작업 이전까지는 아직 완전히 삭제된 것은 아니므로 언제든지 복구가 가능하다. 하
지만 휴지통 비우기 작업을 한 이후에는 되살리기가 힘들므로 휴지통 비우기 전에는 반드시 그 내
용물을 확인하는 습관을 갖는 것이 좋다.
[파일이나 폴더를 휴지통에 버리기]
파일이나 폴더를 휴지통에 버리는 요령은 드래그앤드롭을 설명한 그림 1-4의 과정과 동일하다. 즉, 버리
고자 하는 파일이나 폴더를 마우스로 선택한 뒤 이를 휴지통으로 드래그앤드롭 해주면 된다.
[휴지통 열어 내용물 확인하기]
현재 휴지통에 어떤 파일이나 폴더가 버려져 있는지 확인하려면 데스크탑 화면 하단의 독(Dock)에 있는
5
휴지통을 이중클릭한다.
휴지통 폴더가 열리면서 그 안의 내용물들을 보여준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6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데스크탑과 친구하기
[휴지통에서 복구하기]
만약 휴지통에 버린 파일이나 폴더를 다시 복구하려면 윗 단락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휴지통을 연 후, 복
구하고자 하는 파일이나 폴더를 선택한 뒤 이를 휴지통 밖(원래의 위치 또는 데스크탑)으로 드래그앤드롭
해준다.
[휴지통 비우기]
휴지통 비우기란 휴지통에 버려진 파일이나 폴더를 최종적으로 삭제하는 작업이다. 이렇게 삭제된 파일은
다시 복구하기 힘들다.
휴지통을 비우려면 Finder > 휴지통 비우기 항목을 선택한다.
6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7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 폴더의 생성 및 배치 요령
폴더란 파일을 모아둘 수 있는 상자와 같은 것으로 흔히“디렉토리(directory)”
라고도 부른다.
[폴더의 생성 요령]
1. 새로운 폴더를 생성하고자 하는 폴더를 연다. 이러한 폴더를 상위 폴더라고 한다.
7
2. 파일 > 새로운 폴더 항목을 선택하거나 혹은 작업 팝업 메뉴에서 새로운 폴더 항목을 선택한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8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데스크탑과 친구하기
3. 상위 폴더 내에 새로운 폴더가 생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
4. 이 상태에서 바로 타이핑을 하면 폴더에 이름을 부여할 수 있다.
8
[폴더의 배치 요령]
폴더 내에 폴더가 위치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을 흔히“계층적 파일 시스템(hierarchial file
system)”이라고 한다. 폴더 속에 폴더를 배치하는 기법을 잘 활용하면 복잡한 분류 관계를 갖는
문서들을 보다 일목요연하게 정리. 보관할 수 있다.
1. 이동하고자 하는 폴더를 마우스로 클릭한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9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2. 이동하고자 하는 폴더 위로 드래그앤드롭 한다.
<참고> 이동하고자 하는 폴더 위로 드래그한 채로 잠시 기다리면 해당 폴더가 자동으로 열리게 된다.
� 폴더 계층간 이동하기
9
폴더 속에 폴더가 존재하는 계층적 파일 구조로 인해 상위 폴더나 하위 폴더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
가 자주 발생한다. 여기서는 폴더 게층간 이동 방법을 알아보자.
[하위 폴더로 이동하기]
계층적 파일 시스템에서 하위 폴더로 이동하는 것은 바로 해당 하위 폴더를 여는 것과 같다.
MacOS X은 하위 폴더를 열었을 때 별도의 윈도우가 아닌 현재의 폴더 계층을 하위 폴더로 변환시
켜주기 때문이다.
1. 이동하고자 하는 하위 폴더를 이중클릭한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10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데스크탑과 친구하기
2. 해당 하위 폴더가 열린다.
[상위 폴더로 이동하기]
1. 상위 폴더로 이동하려면 Command 키를 누른 상태에서 폴더의 제목 문자열을 마우스로 클릭한다.
10
2. 폴더의 계층 구조가 팝업 메뉴로서 표시된다. 원하는 단계의 상위 폴더를 선택한다.
[이전/다음 폴더로 이동하기]
1. 현재 열린 폴더가 이전에 표시했던 폴더를 보려면 윈도우의 도구 막대에서 [이전] 단추를 누른다.
2. 다시 원래의 폴더로 돌아가려면 [다음] 단추를 누른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11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 윈도우 보기 전환 방법
데스크탑 상에 나타나는 윈도우에는 여러 파일들과 부속 폴더가 존재한다. MacOS X은 이러한 다
양한 내용물들을 여러가지 방법으로 열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표시 방식의 전환]
MacOS X은 파인더의 각 윈도우 내용물을 아이콘, 목록, 계층의 3가지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이“아이콘”방식이나 용도에 따라 목록과 계층 방식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1. 표시 방식을 전환하고자 하는 윈도우를 선택한다.
11
2. 보기 메뉴에서 아이콘, 목록, 계층 중 원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또는 도구 메뉴에서 각각에 해당하는 버
튼을 누른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12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데스크탑과 친구하기
그림 1-27은 목록 방식으로 표시된 윈도우이며, 1-28은 계층 방식으로 표시된 윈도우이다.
<참고> 계층 보기의 세로열 크기를 조절하려면, 열 분리 막대 하단에 있는 크기 조절 컨트롤을 왼쪽이나 오
른쪽 방향으로 드래그한다.
12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13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정렬 방식의 전환]
폴더 내에 위치한 내용물들은 이름이나 생성된 날짜, 크기 등의 순으로 정렬하여 나열시킬 수 있다.
1. 정렬 방식을 변경할 윈도우를 연다.
2. 보기 > 정렬 메뉴의 부메뉴에서 원하는 정렬 방식을 선택한다.
<참고> 만약 자동 정렬 옵션이 켜 있는 상태라면 이 메뉴는 활성화되지 않는다.
13
[보기 선택사항 설정]
MacOS X은“보기 선택사항”메뉴를 통해 파인더에서 파일과 폴더를 표시하는 방법을 보다 세부
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1. 보기 선태사항을 설정할 윈도우를 연다.
2. 보기 > 보기 선택사항... 항목을 선택한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14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데스크탑과 친구하기
3. 선택사항을 설정할 수 있는 윈도우가 열린다. 각 항목별 용도는 다음과 같다.
� 원하는 항목 찾기
하드 디스크 상에 존재하는 파일이나 폴더,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하려면 파인더 윈도우 도구 막대에
서 검색 기능을 사용하면 간편하다.
즉, 검색어 입력란에 검색어를 입력하고 return키를 치면 즉석해서 해당 문자열을 지닌 파일이나
폴더,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표시한다.
14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15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 Dock 사용하기
MacOS X과 그 이전 버전을 구분짓는 가장 확실한 차이 중의 하나가 Dock의 존재이다. Dock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기능 및 축소된 윈도우 복원 기능, 애플리케이션별 소속 윈도우 보기 기능 등 다
채로운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애플리케이션을 새로 실행시키면 해당 프로그램의 아이콘이 Dock에 나타나고, 애플리케이션이 열
리는 동안 아이콘이 Dock 위로 귀엽게 튀어 오른다. 또한 열려있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하단에는
작은 삼각형이 나타난다.
1. Dock에서 인터넷 익스플로러 아이콘을 클릭해보자.
15
2. 해당 아이콘이 위로 통통 튀는 애니메이션이 나타나면서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윈도우의 축소]
MacOS X 상에서 실행되는 문서는 Dock으로 축소되어 배치될 수 있다.
1. 윈도우의 좌측 상단에는 3개의 단추가 존재한다. 이중 가운데 단추가“최소화(minmize)”단추이다.
이를 클릭한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16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데스크탑과 친구하기
2. 최소화된 윈도우의 아이콘이 Dock의 오른쪽에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해당 아이콘을 클릭하면 최
소화 되었던 윈도우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어 표시된다.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정보 보기]
Dock에서 현재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클릭한 뒤, 가만이 누르고 있으면 해당 애플리
케이션이 갖고 있는 윈도우로 이동하거나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가 나타난다.
그림 1-39는 실행 중인 애플웍스의 정보가 나타난 예이다. 애플웍스에 현재 열려있는 윈도우의 이
름과 이를 종료할 수 있는 메뉴 등을 볼 수 있다.
16
그림 1-40은 실행 중인 iTunes의 정보를 표시한 예이다. iTune에서 음악 재생을 제어할 수 있는
메뉴도 나타남을 볼 수 있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17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 최근 사용 항목 열기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정한 범주 이내의 애플리케이션들과 도큐멘트들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런 경우 매번 여러 단계를 거쳐 애플리케이션이나 문서를 열 필요가 없이 Apple 메
뉴에서 제공되는 최근 사용 항목 메뉴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1. Apple > 최근 사용 항목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17
2. 부메뉴에 최근 사용한 애플리케이션과 문서들의 이름이 나타남을 볼 수 있다. 만약 최근 사용 항목 메
뉴에 기록된 내용들을 모두 지우고자 한다면 메뉴 제일 하단의“메뉴 지우기”항목을 선택한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18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데스크탑과 친구하기
� CD/DVD 디스크 굽기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맥에는 CD나 DVD를 기록할 수 있는 장비가 내장되어 있다. 이를 사용하
여 파일들을 CD나 DVD에 담는 것을 흔히“굽는다(burning)”
이라고 표현한다. 왜냐하면 CD나
DVD 기록은 강한 레이저를 사용하여 공 CD나 공 DVD에 정보를 기록하는데, 그 과정에서 뜨거운
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CD나 DVD를 굽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공 CD나 공 DVD를 기록 가능한 드라이브 즉, CD-RW 레코더나 슈퍼 드라이브에 삽입한다.
2. 파인더는 공 CD를 인식하여, 이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물어오는 대화상자를 표시한다.
18
3. [동작] 팝업 메뉴에서는“Finder 열기”
를 선택하고,“이름”란에는 CD/DVD가 갖게 될 라벨명을 입력
하고, [승인] 단추를 누른다.
4. 데스크탑에 해당 CD가 나타나면 이를 이중 클릭하여 연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19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5. CD/DVD에 수록하고자 하는 파일이나 폴더를 CD/DVD의 윈도우 상으로 드래그앤드롭 한다.
6. 파일 > 디스크 굽기... 항목을 선택한다.
19
7. 최종 굽기 의사를 확인하는 대화 상자가 나타난다. 여기서 [승인] 단추를 누르면 디스크 굽기가 시작된
다. 이렇게 구워진 디스크는 PC에서도 열어볼 수 있다.
T
Mac OS X 1
2004.12.16
05:46 PM
˘
`
20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데스크탑과 친구하기
� 잠자기/재시동/종료/로그아웃
맥으로 모든 작업을 마친 후에는 맥을 잠자기 상태로 만들거나 종료시킬 수 있다.
잠자기란 컴퓨터가 실행 중인 상태는 유지하되 모니터와 저장 장치 등의 동작을 멈추므로 전력 소
비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다. 잠깐 자리를 비우는 동안 전원을 절약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재시동은 맥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에 맥을 껐다가 다시 켜는 과정을 자동화시킨 것이며, 종료는 맥
의 전원을 아주 끄는 것을 말한다.
로그아웃은 맥을 그대로 켜 둔 상태에서 현재 사용자만 맥 사용을 끝냄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맥은
컴퓨터 상의 모든 사용자들을 보여주는 로그인 윈도우를 표시한다. 이는 MacOS X이 여러 사용자
들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멀티 유저 환경을 지원하기 때문에 제공되는 기능이다.
20
T
Mac OS XQ
”æ¶
2004.12.16
05:43 PM
˘
`
2
9600/233 †¸
나만의 맥으로 만들기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T
Mac OS X 2
2004.12.16
05:47 PM
˘
`
1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나만의 맥으로 만들기
매킨토시는 각 사용자의 작업 스타일에 맞게 운영 체제의 일부를 재구성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시스템 환경 설정 기능을 통해 사운드나 디스플레이 설정, 윈
도우의 배경, 파인더 윈도우 도구 막대 설정 등을 변경할 수 있는 기능이 그것이다.
� 시스템 환경설정 불러내기
MacOS X을 구미에 맞게 요리하기 좋은 곳이 바로“시스템 환경설정”
이다. 이는 Apple > 시스템
환경설정 항목을 선택함으로 불러낼 수 있다.
1
또한 Dock 우측에서 시스템 환경설정 아이콘을 선택해도 호출이 가능하다.
T
Mac OS X 2
2004.12.16
05:47 PM
˘
`
2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나만의 맥으로 만들기
그러면 그림 2-3과 같은 시스템 환경설정 대화 상자가 나타날 것이다.
시스템 환경설정은 MacOS 9이하에서의“조절판”
이나, 윈도우즈에서의“제어판”
과 같은 용도이다.
이를 사용하여 배경 화면, 디스플레이 설정, 스크린 세이버, 네트워크 설정, 다국어 표기 등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이 단원에서 소개되는 대부분의 작업은 이 시스템 환경설정을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 데스크탑의 배경 이미지를 바꾸어 보자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의 사진이나 직접 찍은 사진 혹은 그래픽 파일을 데스크탑 배경 화면으로 사용
할 수 있다. 그 방법을 알아보자.
1. Apple > 시스템 환경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2
T
Mac OS X 2
2004.12.16
05:47 PM
˘
`
3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2. [개인] 카테고리에서“데스크탑 & 화면보호기”
를 클릭한다.
3. 좌측 목록에서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우측 아이콘 영역에 해당 그림의 축소 화면이 나타난다. 원하는 이
미지를 선택하면 바로 데스크탑 배경 화면이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설정을 마치었으면 대화 상자를
3
닫는다.
T
Mac OS X 2
2004.12.16
05:47 PM
˘
`
4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나만의 맥으로 만들기
� 화면 보호기를 선택하자
화면 보호기란 일정 시간동안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자동으로 동작하여 모니터 화면을 보호하
는 소프트웨어이다. 이를 설정하는 요령은 다음과 같다.
1. Apple > 시스템 환경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2. [개인] 카테고리에서“데스크탑 & 화면보호기”
를 클릭한다.
4
3. 화면 상단의 탭에서“화면 보호기”
를 선택한다.
T
Mac OS X 2
2004.12.16
05:47 PM
˘
`
5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4. 화면 보호기 설정 화면의 각 요소별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모니터 해상도를 바꾸어보자
모니터의 해상도란 한 화면에 얼마나 많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해상도가 높을 수
록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은 많아지고, 해상도가 낮을 수록 화면에 표시되는 내용은 줄어든다.
그로인해 해상도를 높이면 화면에 표시되는 윈도우나 아이콘의 크기는 작아보이는 대신 그만큼 넓
은 영역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해상도를 낮출 때에는 그 반대의 경우가 된다.
1. Apple > 시스템 환경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2. [하드웨어] 카테고리에서“모니터”
를 선택한다.
5
3. 화면의 각 요소의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T
Mac OS X 2
2004.12.16
05:47 PM
˘
`
6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나만의 맥으로 만들기
4. 만약“메뉴막대에서 모니터 보기”
를 체크한 경우라면 화면 상단 우측에 다음과 같은 모니터 메뉴가 나
타나 언제든 쉽게 사용이 가능해진다.
� Dock의 크기 및 위치 바꾸기
Dock은 상황에 따라 자신의 크기를 알맞게 바꿀 수 있는 기능을 내장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직
접 그 크기와 표시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1. Apple > Dock > Dock 환경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6
또는 시스템 환경설정 대화상자에서 [개인] 카테고리의 Dock을 클릭해도 된다.
T
Mac OS X 2
2004.12.16
05:47 PM
˘
`
7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2. [Dock 크기] 슬라이더를 사용하여 Dock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3. [확대]를 체크하면 마우스 포인턱가 위치한 아이콘이 크게 확대되어 표시된다. 평소 Dock의 크기를 작
게 사용하는 경우 유용한 기능이다.
7
4. 만약 [자동으로 Dock 가리기와 보기]를 체크하면 평소 Dock이 사라져 있다가 마우스 포인터가 Dock
의 원래 위치로 이동하면 비로서 Dock이 나타나게 된다.
� Dock에 새로운 항목을 추가해보자
MacOS X의 설치와 동시에 Dock에는 기본적인 항목 즉, 휴지통과 시스템 환경 설정을 비롯하여 인
터넷 익스플로러나 미리보기등의 소프트웨어가 미리 등록되어 있다.
Dock에 자신만의 항목을 추가하려고 하면 드래그앤드롭을 사용한다.
1. Dock에 등록하고자 하는 항목의 아이콘을 Dock 위로 드래그앤드롭(끌어놓기) 한다.
T
Mac OS X 2
2004.12.16
05:47 PM
˘
`
8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나만의 맥으로 만들기
2. Dock에 해당 항목이 등록됨을 볼 수 있다.
<참고> 만약 Dock에 등록된 항목을 제거하고자 한다면 해당 항목을 Dock 바깥으로 끌어놓기 하면 된다.
� 파인더 윈도우 도구 막대 편집하기
파인더 (데스크탑) 상에서 윈도우를 열었을 때 화면 상단에 나타나는 도구 막대를 구미에 맞게 수정
해보자. 이곳에는 자주 사용하는 폴더나 파일을 등록해 놓을 수 있으며, 새로운 폴더 생성 버튼이나
삭제 버튼등을 배치할 수도 있다.
1. 파인더 윈도우가 하나도 열려있지 않다면 파일 > 새로운 Finder 윈도우 항목을 선택한다.
8
2. 보기 > 도구막대 사용자화... 항목을 선택한다.
T
Mac OS X 2
2004.12.16
05:47 PM
˘
`
9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3. 도구 막대 아래 나타난 대화 상자에서 도구 막대에 등록하고 싶은 항목을 선택하여, 도구막대 위로 끌어
놓기 한다. 그림 2-20은 [새로운 폴더] 항목을 끌어놓기 하고 있는 예이다.
4. 다음은 [새로운 폴더]와 [삭제] 단추가 등록된 예이다. 이렇게 새로 등록된 항목들은 파인더 상에서 어
느 윈도우를 열든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9
5. 만약 도구막대에서 제거하고 싶은 항목이 있다면 해당 항목을 도구 막대 바깥 영역으로 끌어놓기 하면
된다.
� 파인더 환경 설정
파인더 상에 표시되는 저장 매체의 종류나 폴더 개봉 방식, 폴더 자동 열기 옵션 등을 설정하려면 다
음과 같이 한다.
1. Finder > 환경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T
Mac OS X 2
2004.12.16
05:47 PM
˘
`
10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나만의 맥으로 만들기
2. [일반] 탭의 각 항목별 용도는 다음과 같다.
3. 파인더 윈도우들은 기본적으로 사이드바라는 항목을 가지고 있다. 여기에 표시되는 항목을 선택하고자
한다면, [사이드바] 탭을 선택하고 원하는 항목을 체크한다.
10
T
Mac OS XQ
”æ¶
2004.12.16
05:43 PM
˘
`
3
9600/233 †¸
응용 프로그램의 기본 사용법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T
Mac OS X 3
2004.12.16
05:48 PM
˘
`
1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
MacOS
운영체제
아니라매킨토시용
인터넷과 음악
및 영화 감상용
소프트웨어를
키노트를X에는
설치하는
방법은뿐만
일반적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과정과 별
비롯한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함께
탑재되어
있다.
여기에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로 다를 것이 없다. 키노트 CD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자.
(Internet Explorer), 아이튠스(iTunes), 아이무비(iMovie), 퀵타임 플레이어
(QuickTime Player), 셜록(Sherlock)등이 망라되어 있다.
� MacOS X의 응용 프로그램들은 어디에?
윈도우즈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들이 Program Files라는 이름의 디렉토리에 주로 설치되는 것처
럼, MacOS X에서 응용 프로그램들은 바로“응용 프로그램”
이란 폴더 안에 저장되어 있다.
1
이곳에는 MacOS가 지원하는 기본 프로그램들 외에도 사용자가 별도로 설치하는 애플리케이션들
도 저장된다.
� 응용 프로그램의 시동과 종료
모든 맥용 응용 프로그램들은 동일한 시동 방법과 종료 방법을 가지고 있다.
1. 파인더의 메뉴에서 이동 > 응용 프로그램 항목을 선택한다.
T
Mac OS X 3
2004.12.16
05:48 PM
˘
`
2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
2. 응용 프로그램 폴더가 열리면“텍스트 편집기”아이콘을 찾아 마우스로 이중 클릭한다.
3. 텍스트 편집기가 시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응용 프로그램의 아이콘을 이중클릭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시동된다.
2
4. 응용 프로그램을 종료하려면, 메뉴 막대에서 해당 응용 프로그램의 이름(여기서는“텍스트 편집기”
)을
클릭하고“종료”를 선택한다.
또는 이의 단축키인 Command-Q 키를 눌러도 응용 프로그램은 종료된다.
T
Mac OS X 3
2004.12.16
05:48 PM
˘
`
3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 응용 프로그램의 다운로드와 설치
최신 MacOS X용 소프트웨어를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곳이 바로 애플사의 웹사이트이다.
MacOS X는 보다 편리한 응용 소프트웨어들의 입수를 위하여 인터넷을 통한 다운로드 페이지에 바
로 접속할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1. Apple > MacOS X 소프트웨어... 항목을 선택한다.
2. 사파리(Safari)라고 하는 매킨토시 고유의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면서 MacOS X 다운로드(내려받기)
3
페이지로 연결된다. (단,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인터넷 연결이 되어 있어야 한다)
T
Mac OS X 3
2004.12.16
05:48 PM
˘
`
4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
3. 웹 사이트 목록 중에서 iTunes를 찾아 Downlolad를 클릭해보자.
4. iTunes의 다운로드 페이지로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Mac OS X이 체크되어 있나 확인 후, 이메
일 주소란에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Download iTunes] 단추를 누른다.
(제품 버전과 홈 페이지는 수시로 갱신되므로 이곳에 예시된 그림 및 방법과 실제 상황은 차이가 있을
수 있음에 유의한다)
4
T
Mac OS X 3
2004.12.16
05:48 PM
˘
`
5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5. 별도의 다운로드 창이 뜨면서 iTunes의 다운로드가 진행된다.
6.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데스크탑에서 iTunes 설치 프로그램이 담긴 폴더가 열린다. 여기서
“iTunes4.mpkg”아이콘을 이중클릭한다.
5
<참고> 맥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프로그램들은 mpkg나 dmg라는 확장자 (이름 뒤에 점(.)과 함께 붙는
문자열)를 갖는다. 이들을 이중 클릭하면 설치가 시작된다.
7. 설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서 설치 과정에 들어간다. 화면의 안내에 따라 설치를 진행하면 된다.
T
Mac OS X 3
2004.12.16
05:48 PM
˘
`
6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
� 서체의 설치
MacOS X은 서체 설치를 위한 두군데 장소를 제공하고 있다. 하나는 모든 계정 사용자들을 위한
라이브러리 > Fonts 폴더인데, 이곳에 설치된 서체들은 로그인된 사용자 게정에 상관없이 누구나
사용이 가능하다.
반면 계정 사용자만을 위한 서체 설치 공간도 제공되는데 이는 사용자 홈 폴더 내의 라이브러리 >
Fonts 폴더이다. 이곳에 설치된 서체는 해당 사용자 외에는 사용할 수 없다.
서체를 설치하는 요령은 다음과 같다.
6
T
Mac OS X 3
2004.12.16
05:48 PM
˘
`
7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1. 설치하고자 하는 서체를 이중클릭한다.
2. 서체 관리자에 의해 해당 서체가 열리고 서체의 모양을 보여준다. 여기서 [서체 설치] 단추를 누른다.
7
3. 서쳬 관리자는 해당 서체를 현재의 사용자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홈 폴더 > 라이브러리 > Fonts 폴더 내
부로 자동 복사하며, [모든 서체] 카테고리에 이를 표시한다.
T
Mac OS X 3
2004.12.16
05:48 PM
˘
`
8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
4. 만약 서체의 소속을 바꾸려면 이를 원하는 서체 모음 폴더로 그래그앤드롭한다.
5. 서체를 모든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려면 [모든 서체] 팝업 메뉴를 활성화시켜 [사용자]와 [컴
퓨터] 항목이 보이도록 만든 뒤, [컴퓨터] 항목 위로 드래그앤드롭한다.
8
T
Mac OS X 3
2004.12.16
05:48 PM
˘
`
9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 서체 사용하기
모든 맥용 소프트웨어들은 서체를 사용할 때 MacOS X이 제공하는“서체”대화 상자를 사용한다.
이를 사용하여 서체를 지정하고 사용하는 법을 익혀보자
1. 파인더의 메뉴에서 이동 > 응용 프로그램을 선택한다.
9
2.“텍스트 편집기”
를 이중클릭하여 실행시킨다.
T
Mac OS X 3
2004.12.16
05:48 PM
˘
`
10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
3.“텍스트 편집기 문서창에“대한민국”
을 입력한 뒤, 포맷 > 서체 > 서체 보기를 선택한다.
4. 그림 3-19와 같은 [서체] 대화상자가 나타나면 서체와 크기를 변경하여 본다. 앞서 선택된 부분의 서체
와 크기가 변경됨을 볼 수 있다.
10
T
Mac OS X 3
2004.12.16
05:48 PM
˘
`
11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 시스템 서비스 활용하기
MacOS X의 소프트웨어 중에는 자신의 기능의 일부를 다른 애플리케이션도 사용할 수 있도록 공여
해주는 것들이 있다. 대표적인 예가 스티커나 웹 브라우저, 전자우편 소프트웨어로서 이들은 어느
응용 프로그램에서나 선택된 문장이 있을 경우 이를 스티커로 전환시켜주거나 혹은 전자우편 발송
이나 인터넷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시스템 서비스라고 한다.
1. 파인더의 메뉴에서 이동 > 응용 프로그램 항목을 선택한다.
2.“텍스트 편집기”
를 이중클릭하여 실행시킨다.
11
3. 본문에 적당한 텍스트를 입력하고, 이를 선택한 뒤, 텍스트 에디터 > 시스템 서비스 > 새로운 스티커 메
모 생성 항목을 선택한다.
T
Mac OS X 3
2004.12.16
05:48 PM
˘
`
12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
4. 시스템 서비스에 의하여 텍스트 에디터에서 선택된 텍스트가 자동으로 스티커로 옮겨져 생성됨을 볼 수
있다.
� 파일 저장하기
모든 MacOS X용 애플리케이션들은 공통적인 파일 저장 방식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는 텍스트
편집기로 파일 저장 방법을 익혀보자.
1. 파인더의 메뉴에서 이동 > 응용 프로그램 항목을 선택한다.
2.“텍스트 편집기”
를 이중클릭하여 실행시킨다.
3. 본문에 적당한 텍스트를 입력하고 파일 > 저장 항목을 선택한다.
4. 그림 3-27과 같은 표준 파일 저장 시트가 나타난다. 여기서 파일명을 입력하고 바로 [저장] 단추를 누
르면 파일은 홈 폴더 안의 도큐멘트 폴더 내부에 저장될 것이다.
12
T
Mac OS X 3
2004.12.16
05:48 PM
˘
`
13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5. 만약 저장 위치를 다른 곳으로 지정하고 싶다면 [저장 이름] 필드 옆의 삼각형 단추를 누른다. 그러면
그림 3-28처럼 직접 저장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컬럼들이 나타난다.
13
6. 모든 선택을 마치었다면 [저장] 단추를 누른다.
� 응용 프로그램의 강제 종료
경우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이 다운되어 아무런 반응도 보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는 맥용 웹브라우
저가 해독할 수 없는 코드를 만났을 경우나, Classic 애플리케이션이 이상 동작을 일으켜 실행도 종
료도 되지 않는 상황에 놓였을 경우 등에 해당한다.
이런 경우라면 파인더로 가서 애플 메뉴 > 강제 종료... 항목을 선택한다.
T
Mac OS X 3
2004.12.16
05:48 PM
˘
`
14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
그러면 그림 3-30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 강제 종료] 대화 상자가 나타난다. 여기서 강제 종료시킬 애
플리케이션의 이름을 선택하고 [강제 종료] 단추를 누르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은 강제로 종료된다.
14
T
Mac OS XQ
”æ¶
2004.12.16
05:43 PM
˘
`
4
9600/233 †¸
인쇄하기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T
Mac OS X 4
2004.12.16
05:49 PM
˘
`
1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쇄하기
매킨토시의 인쇄 작업은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와 상관없이 동일하게 통일되어 있다.
또한 맥은 현존하는 대부분의 USB 프린터들을 연결과 동시에 자동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누구나 쉽게 인쇄 작업을 즐길 수 있다.
� 프린터 설정 유틸리티와 인사하기
매킨토시에서 인쇄 작업을 관장하는 소프트웨어는“프린터 설정 유틸리티”
이다. 이는 맥과 연결되
어 있는 USB 프린터나 네트워크 프린터를 설정하고 선택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함과 동
시에 추후에 새로운 프린터를 추가한다든가 기존 프린터를 삭제하는 기능도 제공한다.
이제 프린터 설정 유틸리티를 호출하여 상견례를 해보도록 하자.
1. Finder에서 이동 > 응용 프로그램 항목을 선택한다.
1
2. 응용 프로그램 윈도우 내에서“유틸리티”폴더를 찾아 이중클릭하여 연다.
T
Mac OS X 4
2004.12.16
05:49 PM
˘
`
2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쇄하기
3. 프린터 설정 유틸리티 아이콘을 이중클릭하여 실행시킨다.
4. 만약 맥에 USB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다면 (전원이 켜진 채로) MacOS X은 해당 프린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이를 그림 4-3처럼 목록에 표시하고 있을 것이다.
만약 USB 프린터를 연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목록에 아무 것도 나타나지 않는다면 해당 프린터의
MacOS X용 드라이브를 별도로 설치해 주어야 한다.
� 프린터 설정하기
프린터로 인쇄작업을 하려면 해당 프린터가 맥에 등록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앞 단원에서 살펴본
프린터 설정 유틸리티를 사용한다.
1. Finder에서 이동 > 응용 프로그램 항목을 선택한다.
2
T
Mac OS X 4
2004.12.16
05:49 PM
˘
`
3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2. 응용 프로그램 윈도우 내에서“유틸리티”폴더를 찾아 이중클릭하여 연다.
3. 프린터 설정 유틸리티 아이콘을 이중클릭하여 실행시킨다.
3
4. 프린터 목록 윈도우 도구 막대에서 [추가] 단추를 누른다.
또는 프린터 > 프린터 추가... 메뉴 항목을 선택해도 된다.
T
Mac OS X 4
2004.12.16
05:49 PM
˘
`
4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쇄하기
5. 프린터 추가 시트가 나타나면 상단 팝업 메뉴에서 연결된 프린터의 방식을 선택한다. 만약 일반 USB
방식의 프린터라면 USB를 선택하고, 애플토크 혹은 TCP/IP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프린터라면
AppleTalk나 IP 프린팅 등을 선택한다.
6. 프린터 설정 유틸리티는 해당 연결 방식에 해당하는 프린터를 검색하여 이를 목록에 표기할 것이다. 여
기서는 USB 방식의 프린터가 검색되었다. 이를 선택하고 [추가] 단추를 누른다.
4
7. [프린터 목록] 윈도우에 새로 추가한 프린터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이 프린터는 MacOS X
상에 설치된 인쇄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소프트웨어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T
Mac OS X 4
2004.12.16
05:49 PM
˘
`
5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 USB 프린터 공유하기
네트워크 프린터를 사용하는 경우라면 별도의 공유 설정이 없더라도 윗 단락에서 설명한 방법을 사
용하여 네트워크 상의 모든 컴퓨터들이 해당 프린터를 공유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한대의 맥에 USB 프린터가 연결되어 있고, 그 맥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라면
USB 프린터를 다른 네트워크 상의 맥이 공유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1. 프린터 설정 유틸리티를 실행시켜 USB 프린터가 제대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5
2. Apple 메뉴 > 시스템 환경설정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T
Mac OS X 4
2004.12.16
05:49 PM
˘
`
6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쇄하기
3. 인터넷 & 네트워크 카테고리에서 [공유] 아이콘을 클릭한다.
4. [서비스] 탭 화면의 목록에서 [프린터 공유] 항목을 체크한다.
6
이제 프린터 목록 상의 모든 프린터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맥 사용자들과 공유가 가능하다.
T
Mac OS X 4
2004.12.16
05:49 PM
˘
`
7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 문서 인쇄하기
지금까지 살펴본 순서대로 프린터의 설정을 마치었으면 이제 실제로 인쇄 작업을 할 수 있다.
1. 문서를 인쇄하려면 파일 > 프린트...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참고>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프린트]라는 용어는 다소 변형되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스티
커 프로그램의 경우 [활성 메모 프린트]와 같이 사용된다.
7
2. 프린트 시트가 나타나면 인쇄에 사용할 프린터의 종류나 설정값 (이에 대해서는 다음 단락에서 설명),
인쇄 매수, 인쇄 범위 등을 지정할 수 있다.
3. 설정을 마치었으면 [프린트] 단추를 누른다.
T
Mac OS X 4
2004.12.16
05:49 PM
˘
`
8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쇄하기
� 프린터 설정값의 저장과 재사용
프린트 시트에는 인쇄할 매수와 인쇄 범위 등의 여러 설정 사항이 존재한다. 만약 자주 사용하는 설
정값이 있다면 이를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마다 불러내어 재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1. 파일 > 프린트...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2. 프린트 시트가 나타나면 저장하고자 하는 설정값으로 셋팅한다.
3. [저장된 설정값] 팝업 메뉴에서 [별도 저장...]을 선택한다.
4. [설정값 저장]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적당한 이름을 입력하고 [승인] 단추를 누른다.
8
T
Mac OS X 4
2004.12.16
05:49 PM
˘
`
9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5. 이렇게 저장된 내용은 언제든지 [설정값 저장] 팝업 메뉴에서 선택이 가능하다.
� PDF 문서를 만들자
PDF 파일은 맥과 PC는 물론, 일반 유닉스 및 변형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거의 모든 컴퓨터 환경에
서 공통적으로 열어 볼 수 있는 문서 포맷이다. PDF 문서는 문서를 작성한 애플리케이션이나 서
체, 그림 등이 존재하는 않는 다른 환경에서도 원본과 동일한 내용 (서체와 그림 등의 제반 사항을
포함)을 볼 수 있어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MacOS X의 각종 애플리케이션에서 PDF 문서를 만드는 요령은 다음과 같다.
1. 파일 > 프린트...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9
2. 프린트 시트에서 [PDF로 저장...] 단추를 누른다.
3. [파일에 저장]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파일명을 지정한다.
T
Mac OS X 4
2004.12.16
05:49 PM
˘
`
10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쇄하기
4. 만약 특정 폴더를 지정하여 저장하려면 파일명 필드 옆의 삼각형 단추를 눌러 저장 폴더를 선택한다.
5. [저장] 단추를 누르면, 설정한 폴더와 파일명으로 PDF 문서가 생성된다.
10
T
Mac OS XQ
”æ¶
2004.12.16
05:43 PM
˘
`
5
9600/233 †¸
네트워크로 맥 공유하기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T
Mac OS X 5
2004.12.16
05:50 PM
˘
`
1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네트워크로 맥 공유하기
다수의 맥과 PC가 혼재하는 업무 환경에서 MacOS X은 간편한 네트워크 설정 기
능과 함께 맥은 물론 일반 PC와도 손쉽게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편리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 단원에서는 MacOS X이 설치된 맥을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법 및 이더넷과 에
어포트 네트워크 구성법등에 대하여 살펴보고 PC를 포함한 다른 컴퓨터들과 파일
을 공유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자.
� 네트워크 상태 확인하기
매킨토시는 다양한 네트워크에 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이더넷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카드가 이미 내
장되어 있으며, 기종에 따라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에어포트(AirPort)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하는 요령은 다음과 같다.
1
1. 애플 > 시스템 환경 설정... 을 선택한다.
T
Mac OS X 5
2004.12.16
05:50 PM
˘
`
2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네트워크로 맥 공유하기
2. [인터넷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네트워크]를 클릭한다.
3. [네트워크]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보기] 팝업 메뉴에서 [네트워크 상태]가 선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만약 다른 항목이 선택 중이라면 [네트워크 상태]를 선택한다.
2
4. 목록에서 해당 맥에 설치되어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내장 이더넷과 내장 모뎀 등)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T
Mac OS X 5
2004.12.16
05:50 PM
˘
`
3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 이더넷 구성하기
이더넷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네트워크 방식으로서 대부분의 학교와 직장들은 이더넷을 통해
맥과 PC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맥이 이더넷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정하는 요령은 다음과
같다.
1. 애플 > 시스템 환경 설정... 을 선택한다.
2. [인터넷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네트워크]를 클릭한다.
3
3. [네트워크]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보기] 팝업 메뉴에서[내장 이더넷]을 선택한다.
T
Mac OS X 5
2004.12.16
05:50 PM
˘
`
4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네트워크로 맥 공유하기
4. 그림 5-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더넷을 통해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는 TCP/IP와 PPPoE, 애
플토크가 있다. 프로토콜이란 컴퓨터와 컴퓨터가 서로 대화를 나눌 수 있도록 표준화된 네트워크 언어
에 해당한다.
4
TCP/IP는 인터넷과 학교와 직장 내 인트라넷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핵심 프로토콜이며, PPPoE는 전화
접속 네트워킹 방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고 자 할 때 사용되는 규약이고, AppleTalk는 매킨토시의 가
장 전통적인 네트워크 프로토콜로서 주로 매킨토시 간의 파일 전송에 많이 사용된다.
5. 위의 화면에서 이더넷 설정을 위해 사용하는 화면은 TCP/IP와 관련한 부분이다. 이의 설정과 관련한
사항은 각 학교나 회사별 네트워크 설정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세부적인 설정 요령은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문의해야 한다.
6. 만약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유효한 도움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그림 5-5 대화 상자 하단의 [도와
주세요] 단추를 클릭한다.
T
Mac OS X 5
2004.12.16
05:50 PM
˘
`
5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7. [네트워크 설정 지원] 도우미가 나타나면 [계속] 단추를 클릭한다. 네트워크 설정 지원 도우미는 인터
넷 접속을 위한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으로 진행해주는 유틸리티이다.
8. 자신의 인터넷 연결 방식을 물어오는 화면이 나타나면 알맞은 항목을 선택하고 [계속] 단추를 누른다.
5
<참고> 만약 학교나 회사 내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경우라면 [LAN(근거리 통신망)에 연
결합니다] 항목을 선택하면 된다.
T
Mac OS X 5
2004.12.16
05:50 PM
˘
`
6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네트워크로 맥 공유하기
9. 최종 연결 확인을 물어오는 화면이 나타나면 안내에 따라 네트워크 접속 상태를 확인하고, [계속] 단추
를 누른다.
10. [네트워크 설정 지원] 도우미는 자동으로 TCP/IP와 관련한 설정을 마치고,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여
줄 것이다. [종료] 단추를 누른다.
6
T
Mac OS X 5
2004.12.16
05:50 PM
˘
`
7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 AirPort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학교나 직장 혹은 가정에서 무선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장치인 AirPort를 사용한다면 이에 알맞도
록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1. 이더넷 네트워크 포트의 케이블을 베이스 스테이션의 LAN 포트에 연결한다.
2. 파인더 메뉴에서 이동 > 유틸리티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7
3. AirPort 관리 유틸리티를 이중 클릭하여 실행시킨다.
4. 화면 상의 설명을 따라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처: 예를 들면 KT나 하나로텔레콤 등)에서 제공한 설정
값을 입력한다. 만약 DSL이나 케이블 모뎀을 사용하고 있다면, 모뎀을 베이스 스테이션의 WAN 포트
에 연결했는지 확인한다.
5. 애플 메뉴 > 시스템 환경 설정 메뉴 항목 선택 후, [네크워크] 항목을 클릭한다.
6. [AirPort] 탭을 클릭하여 맥이 연결을 시도하는 기본 네트워크를 확인한다. 여러 개의 네트워크가 연결
가능한 상태라면 맥은 기본 네트워크로 우선적인 접속을 시도하게 된다.
T
Mac OS X 5
2004.12.16
05:50 PM
˘
`
8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네트워크로 맥 공유하기
� 파일 공유 설정하기
로컬 네트워크에서 다른 사용자들이 자신의 맥에 접근하여 파일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려면 다음의
순서에 따른다.
1. 애플 메뉴 > 시스템 환경 설정...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2. [인터넷 & 네트워크] 카테고리에서 [공유] 항목을 클릭한다.
8
3. [공유] 대화 상자의 [컴퓨터 이름]란에 네트워크 상에 나타날 자신의 맥의 이름을 입력한다. 이어 [서비
스] 탭의 목록에서 [개인 파일 공유] 항목을 체크한다. 잠시 후에 파일 공유가 켜질 것이다.
T
Mac OS X 5
2004.12.16
05:50 PM
˘
`
9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4. [공유] 대화 상자를 닫은 후, 파인더로 가서 이동 > 홈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5. 홈 폴더가 열리면 그 안에“공유”라는 이름의 폴더를 볼 수 있다. 이 폴더 안에 있는 파일들은 네트워크
상의 다른 사용자들의 공유가 가능하다.
9
6.“공유”폴더를 열어보면 그 안에“떨굼 상자”
라는 폴더를 볼 수 있다. 여기는 다른 사용자가 전송한 파
일이 저장되는 곳이다.
T
Mac OS X 5
2004.12.16
05:50 PM
˘
`
10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네트워크로 맥 공유하기
� 다른 컴퓨터에 연결하기
MacOS X은 학교나 회사 내부와 같은 로컬 네트워크는 물론, 인터넷을 사용하여 해외 지사나 분교
와 같은 광역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쉽게 접속할 수 있다.
1. 파인더에서 이동 > 서버에 연결...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참고>“서버(server)”
란 파일을 제공하는 측 컴퓨터를 의미한다. 만약 A라는 맥이 B라는 컴퓨터에 접속
하여 정보를 가져온다면 B는“서버”
가 되는 셈이다.
2. [서버에 연결...] 대화 상자가 나타나면 [서버 주소]란에 연결하고자 하는 서버의 IP 주소나 도메인명을
입력한다. 또는 [자주 사용하는 서버] 목록에서 하나 또는 여러 개(Shift키를 누른 채로 선택)를 선택해
도 된다. 이어 [연결] 단추를 누른다.
만약 로컬 네트워크에서 접속 가능한 서버를 검색하고자 한다면 [검색] 단추를 누른다. 접속 가능한 서버
가 주변에 있다면 그림 5-20과 같은 폴더가 열릴 것이다. 여기서 원하는 서버의 이름을 이중 클릭한다.
10
T
Mac OS X 5
2004.12.16
05:50 PM
˘
`
11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3. 서버에 접속되면 그림 5-21과 같은 사용자 인증 화면이 나타날 것이다. (참고로 이 화면의 모습은 접속
하고자 하는 서버의 종류와 사용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상이할 수도 있다. ) 인증 정보를 입력하고 [승
인] 단추를 룬다.
<참고1> 보통 방문객으로서 접속하나 경우에 따라 상대방 맥의 계정 설정을 통해 정식으로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해야만 접속이 가능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11
<참고2> 만약 다른 컴퓨터에서 자신의 맥에 접속하였을 경우, 사용자 인증 화면에서 자신의 로그온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동일하게 입력하면 컴퓨터상의 모든 내용에 접근할 수 있다.
<참고3>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컴퓨터에 방문객으로서 접속하면 홈 폴더 목록을 볼 수 있다. 이는 각 사용
자의 ID 이름별로 구분되어 컴퓨터 상의 모든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홈 폴더에 접속한 경우 해당
사용자의 공용 폴더를 사용할 수 있다.
4. 서버에 연결되면 데스크탑 상에 해당 서버 (혹은 공유 폴더)의 이름을 가진 네트워크 디스크 아이콘이
나타나게 된다.
<참고> PC에 접속하는 요령은 원칙적으로 위와 동일하나 보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PC와 파일 공유하
기”단락을 참조한다.
T
Mac OS X 5
2004.12.16
05:50 PM
˘
`
12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네트워크로 맥 공유하기
� PC와 파일 공유하기
MacOS X은 PC와 손쉽게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때 맥은 파일 서버처럼 동작
하므로 PC 사용자들은 마치 일반 PC에 접속하는 것처럼 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다.
1. 애플 메뉴 > 시스템 환경 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2. [인터넷 & 네트워크] 카테고리에서 [공유]를 클릭한다.
12
3. [서비스] 탭 화면에서 [Windows 파일 공유]를 체크한다.
T
Mac OS X 5
2004.12.16
05:50 PM
˘
`
13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4. 화면 상단 좌측의 [모두 보기]를 눌러 시스템 환경 설정 첫 화면으로 돌아간다.
5. [시스템] 카테고리에서 [게정]을 클릭한다.
6. [계정] 대화 상자 좌측 하단의 [+] 단추를 눌러 새로운 계정을 추가한다. [이름]란은 한글이 가능하지
만 [ID 이름]란은 영문과 숫자만 가능하다.
13
7. 이렇게 만들어진 계정의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PC 사용자들에게 알려준다. 윈도우즈 버전에 따라 사용
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는 시점은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참고> 맥 사용자가 PC의 공유 폴더에 접속하는 요령은 위의“다른 컴퓨터에 연결하기”단락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즉, 시스템 환경 설정의 [공유]에서 [Windows 파일 공유]가 켜져 있으면 맥과 동
일한 요령으로 PC에도 접속이 가능하다.
단, 이때 문제가 될 수 있는 부분은“워크그룹(Workgroup)”설정에 대한 부분이다. 만약 다른 PC
들이 맥과 다른 워크그룹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이를 맥에서도 동일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편리하다.
이를 위해서는
T
Mac OS X 5
2004.12.16
05:50 PM
˘
`
14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네트워크로 맥 공유하기
1. 파인더에서 이동 > 유틸리티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2. [디렉토리 접근]을 이중클릭하여 실행시킨다.
3. 화면 좌측 하단의 자물쇠를 해제한 후, [SMB]를 선택하고, [구성...] 단추를 누른다.
14
4. 워크그룹을 입력할 수 있는 시트가 나타나면 [워크그룹] 입력란에 PC들이 사용하는 워크그룹명을 입력
하고 [승인] 단추를 누른다.
5. 이후로는 맥과 PC에 상관없이 모두 같은 요령으로 파일 공유가 가능하다.
T
Mac OS XQ
”æ¶
2004.12.16
05:43 PM
˘
`
6
9600/233 †¸
인터넷 사용하기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1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터넷 사용하기
MacOS X은 인터넷과 자연스럽게 통합되어 있는 운영체제이다. 운영 체제 및 각종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가 인터넷을 통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MacOS X에는 인터넷 사용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와 이메일 소프트웨
어가 이미 포함되어 있다.
또한 Sherlock이라는 매킨토시 특유의 웹 검색 소프트웨어가 시스템과 결합되어
있어 빠르고 손쉽게 인터넷 검색이 가능하다. 여기서는 MacOS X에서 인터넷을 사
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사항들을 익혀보자.
� 케이블/DSL 모뎀 연결하기
현재 국내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인터넷 접속 형태는 케이블 혹은 DSL (ADSL, VDSL등) 일 것이
다. 이들 모뎀과 맥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어떻게 설정을 해야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자.
1.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흔히 ISP - Internet Service Provider - 라고 함)가 제공한 설정값 관련 자료
1
들을 미리 확인하고, 케이블 모뎀이나 DSL 모뎀과 맥은 제대로 연결되어 있는지 등을 확인한다.
2. 애플 메뉴 > 시스템 환경 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3. [인터넷 & 네트워크] 카테고리에서 [네트워크] 아이콘을 클릭한다.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2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터넷 사용하기
4. [보기] 팝업 메뉴에서 [내장 이더넷]을 선택한다.
2
5. 화면 하단의 [도와 주세요] 단추를 눌러 [네트워크 설정 지원] 도우미를 불러낸다. 이어 [계속] 단추를
누른다.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3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6. 인터넷 연결 형태를 물어오면 DSL 모뎀 사용 시에는 [DSL 모뎀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합니다] 를
선택하고, 케이블 모뎀 사용시에는 [케이블 모뎀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합니다] 항목을 선택합니다.
7. [계속] 단추를 눌러 진행하다보면 다른 프로그램에 의해 설정값이 바뀌었다는 메시지가 나타난다. [승
인]을 클릭한다.
3
8. 설정이 완료되었다는 화면이 나타나면 [종료] 단추를 누른다.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4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터넷 사용하기
9. 자동으로 TCP/IP 탭 화면이 갱신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10. Dock에서 Internet Explorer를 실행시켜 웹 페이지가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정상적으로 화면이 나타
나면 인터넷 연결에 성공한 것이다.
4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5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 전화 인터넷 접속 설정하기
전화 모뎀을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ISP가 제공하는 접속 전화 번호와 ISP에 등록
된 계정 이름과 비밀번호가 있어야 한다. 이들이 준비되었다면 다음의 순서에 따라 전화 인터넷 접
속 환경을 설정하자.
1. 애플 메뉴 > 시스템 환경 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5
2. [인터넷 & 네트워크] 카테고리에서 [네트워크] 아이콘을 클릭한다.
3. [보기] 팝업 메뉴에서 [내장 이더넷]을 선택한다.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6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터넷 사용하기
4. 화면 하단의 [도와 주세요] 단추를 눌러 [네트워크 설정 지원] 도우미를 불러낸다. 이어 [계속] 단추를
누른다.
5. 인터넷 접속 형태를 물어오면 [전화 모뎀을 사용하여 ISP에 접속합니다]를 선택하고, [다음] 단추를 누
른다.
6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7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6. ISP 접속을 위한 계정 이름과 암호, 접속 전화 번호 등을 입력하고 [게속]을 누른다 (자세한 사항은
ISP 제공 자료를 참조)
7. 모뎀의 종류를 선택하고 [다음]을 누른다 (자신의 모뎀에 해당하는 모델명이 없다면 그와 호환성이 있
7
거나 유사한 스펙의 모뎀을 선택한다).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8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터넷 사용하기
8. 입력된 정보에 대한 최종 확인 화면이 나타난다. [계속]을 누르면 ISP에 직접 전화 접속을 시도한다.
9. ISP에 성공적으로 접속되면 지금까지 입력된 사항이 [네트워크] 시스템 환경 설정 화면의 [PPPoE] 탭
화면에 나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SP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8
10. Dock에서 Internet Explorer를 실행시켜 웹 페이지가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정상적으로 화면이 나타
나면 인터넷 연결에 성공한 것이다.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9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 웹 브라우저 사용하기
MacOS X은 마이크로소프트사의 Internet Explorer와 넷스케이프 소스 코드 기반의 Safari라는
두종의 웹 브라우저를 제공하고 있다. 이들 웹 브라우저는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그 사용법은 대동
소이하다. 여기서는 Internet Explorer를 가지고 간단한 사용법을 익혀보도록 하자.
1. Dock에서 Internet Explorer를 클릭하여 실행시킨다.
2. 기본적으로 애플사의 홈 페이지에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주소 입력창에 우리나라 포털 사이트인 네이
버의 주소(
“http://www.naver.com”
)를 입력하고 return키를 쳐보자.
3. 네이버의 홈 페이지가 제대로 뜨는지 확인한다. 만약 한글이 깨어져 보인다면 이는 엔코딩 옵션이 잘못
선택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런 경우라면 View > Character Set > Korean을 선택한다.
9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10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터넷 사용하기
4. 만약 네이버를 자주 방문하는 경우라면 이를“즐겨찾기(Favorites)”
로 저장해두고, 다음번 방문시에는
주소를 입력할 필요없이 단순히 즐겨찾기만 선택할 수 있다면 편리할 것이다.
현재 화면에 표시되는 웹 페이지를 즐겨찾기로 지정하려면 Favorites > Add Page to Favorites 항목
을 선택한다.
5. 다시 Favorites 메뉴를 눌러보면 제일 하단에 방금 추가한 웹 페이지의 제목이 나타남을 볼 수 있을 것
이다.
10
6. 이번에는 즐겨찾기를 사용하여 최신 맥용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Apple Downloads 홈
페이지로 이동해보자. Favorites > Apple > Apple Software Updates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11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7. 화면에서 QuickTime 최신판을 찾아 사이즈가 표시된 링크를 클릭해보자.
8. QuickTime 다운로드 페이지에 접속이 되었다면 Sign Up과 관련된 체크는 모두 해제하고 (해제하지
않으면 이메일 주소를 물어온다), [Download QuickTime] 단추를 누르자.
9. 별도의 Download Manager 윈도우가 열리면서 다운로드가 진행된다.
11
10. 이번에는 Internet Explorer가 처음 실행될 때 자동으로 접속되는 홈 페이지의 주소를 바꾸어보자.
Explorer > 환경 설정... 항목을 선택한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환경 설정 대화 상자가 나타날 것이다.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12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터넷 사용하기
11. 좌측 컬럼에서 Web Brower > Browser Display를 선택하고, Home Page 카테고리의 Address
입력 상자에 홈 페이지로 지정할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한다 (그림의 예는 네이버 ).
12. [OK] 단추를 눌러 환경 설정 대화 상자를 닫고, Internet Explorer를 종료했다가 다시 실행시켜보면
방금 홈 페이지로 지정한 사이트 (네이버)로 자동 연결됨을 볼 수 있다.
12
� Sherlock으로 웹 검색하기
MacOS X에 내장되어 있는 Sherlock은 인터넷 상의 여러 검색 엔진을 동시에 검색해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를 보다 빠르고 정확히 모아주는 유틸리티이다.
1. Dock에서 Sherlock을 클릭하여 실행시킨다. 만약 Dock에서 Sherlock을 발견할 수 없다면 응용 프로
그램 폴더 내에서 Sherlock을 찾아 이중클릭하여 실행시킨다.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13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2. 셜록이 실행되면 상단의 도구 막대에서 [인터넷]을 선택한다. 이어 [제목 또는 설명]란에 검색하고자
하는 단어 또는 문장 (현재 영어만 지원된다)을 입력하고, [검색] 단추를 누른다.
3. 검색된 결과 목록에서 열람하고자 하는 항목을 이중 클릭한다. 그러면 웹 브라우저가 실행되면서 해당
사이트로 안내된다.
13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14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터넷 사용하기
� 이메일 사용하기
이메일은 웹 브라우징과 함께 인터넷 사용의 핵심을 이루는 요소이다. 여기서는 이메일 계정을 설정
하고 이메일을 작성하고 보내는 기본적인 방법들에 대하여 살펴보자.
[이메일 계정 설정하기]
1. Dock에서 Mail 아이콘을 클릭하여 실행시킨다.
2. 설정된 메일 게정이 없는 경우 그림 6-29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이곳에 이메일 계정 정보를 입력한
다 (이메일 게정 정보는 ISP로부터 제공된다. 각 항목별 정보는 ISP에 문의한다).
14
3. [승인]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연결 확인에 들어간다. 만약 그림 6-30과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타나면 잘
못된 정보가 입력된 것이니 다시 확인하고 시도한다.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15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4. 계정 확인에 성공하였으면 그림 6-31과 같은 다른 이메일 프로그램으로부터 메일상자를 가져오겠는지
를 물어온다. [아니오]를 선택한다.
5. 환영 메시지가 나타나면 역시 [아니오]를 클릭한다. ([예]를 클릭하면 도움말이 표시된다)
15
6. [받음 편지함] 윈도우가 출력되면서 메일 서버에 도착한 이메일이 들어오면 이제 Mail과 관련한 기본
설정은 완료된 것이다.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16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터넷 사용하기
[이메일 작성하고 발송하기]
1. 파일 > 새로운 메시지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2. 이메일을 새로 작성할 수 있는 윈도우가 나타난다. [받는 사람]란에 메일을 수신할 사람의 주소를 입력
하고, [제목]란에는 메일의 제목을 입력한다.
16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17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3. 이메일 본문을 작성하는 요령은 텍스트 에디터를 사용하는 요령과 비슷하다.
17
4. 만약 파일도 함께 보내려면 메시지 윈도우 상단 도구 막대에서 [첨부] 단추를 누른다.
5. 파일 선택 시트가 나타나면 메일에 첨부하고자 하는 파일을 선택하고, [승인] 단추를 누른다.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18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터넷 사용하기
6. 메일 작성이 완료되었으면, 메시지 윈도우 상단의 도구 막대에서 [보내기] 단추를 누르면 메일이 발송
된다.
[새로운 메일 수신하고 열람하기]
Mail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마다 계정 정보를 사용하여 새로 수신된 메일들을 가져오도록 되어있
다. 만약 수동으로 새로 수신된 메일을 수신하려면 다음과 같이 한다.
1. 메일박스 윈도우에서 [받은 편지함]을 선택한다.
18
2. 메일 상자 > 새로운 메일 가져오기 메뉴 항목을 선택한다.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19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3. 도구 막대 하단에 새로운 메일 수신 상태가 표시된다.
4. 수신된 메일이 목록에 표시되면, 열람하고자 하는 메일을 클릭한다. 그러면 그 내용이 목록 아래의 본문
표시부에 표시된다.
19
� iTunes로 인터넷 라디오 방송 듣기
MacOS X의 음악 감상실이라 할 수 있는 iTunes를 사용하면 인터넷을 통해 스트리밍 서비스되는
“인터넷 라디오 방송”
을 청취할 수 있다. iTunes에는 일반 FM 방송보다 훨씬 다양한 방송이 장르
(재즈, 클래식, 블루스 등)별로 분류되어 있어 음악 애호가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1. Dock에서 iTunes 아이콘을 클릭하여 실행시킨다.
T
Mac OS X 6
2004.12.16
05:51 PM
˘
`
20
9600/233 †¸
Ø ˆ DocuPrint 255-AP 300DPI 60LPI
인터넷 사용하기
2. [음원] 목록에서 [라디오]를 선택하면, 오른쪽 목록에 방송국들이 음악 장르별로 분류되어 표시된다.
원하는 방송국을 이중 클릭하면 라디오 방송국에 접속되어 음악을 청취할 수 있다.
20
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