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Article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GQOL

Clinical Article
Journal of The Kor ean Ger iatr ics Soc 2004:8(3):151-164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GQOL-D)의 표준화
삼성생명과학연구소1 ,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2 , 분당서울대학병원 신경정신과3 , 용인정신병원4
이형석1ㆍ김지혜2 ㆍ고혜정3 ㆍ구형모1ㆍ권의정4 ㆍ신지영2 ㆍ안인숙1ㆍ정성호2 ㆍ김도관2
The Standardization of the Ge riatric Quality of Life s cale -De me ntia(GQOL-D)
Hyoung- Suk Lee , M. A. 1 , J i - Hae Ki m, Ph. D. 2 , Hye - Jung Ko , M. A. 3 , Hyoung- Mo Ku, M. A. 1 , Eui - Jung Kwon,
J i - Young Shi n, M. D. 1 , I n- Sook Ahn, M. A. 1 , Sung- Ho Chung , M. D. 1 and Doh- Kwan Ki m, M. D. 2
Samsung Biomedi cal Research Ins t i t ut e, Seoul , Korea 1, Depar t ment of Psychi at ry, Samsung Medi cal Cen
Sungkyunkwan Uni ver s i ty School of Medi ci ne, Seoul , Korea 2,
Depar t ment of Neuropsychi at ry, Seoul Nat i onal Uni ver s i ty Bundang Hospi t al , Bundang, Korea 3,
Yong - in Ment al Hospi t al , Yong - in, Korea 4
Objectives : We developed the instrument to assess the quality of life(QOL) for demented patients, '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GQO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andardize the GQOL-D and to introduce administration results in Korean
demented patients.
Methods : The normal subjects were 340 elderly people, aged over 55 years old, who were physically and cognitively normal. And
the patient group was consisted of 69 demented patients.
Res ults : Both in normal group and in patient group, th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 0.87, 0.90, respectively, and item-total
correlation was acceptable.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revealed the stability across time by r=0.86, 0.77, respectively. Criterion
validity was found to be a high correlation between each item and overall QOL' item, and adequate correlations between the GQOL-D
and scales assessing cognition, psychological wellbeing, behavior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nvinced convergent validity. In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2 factors with a variance percentage of 37.7% were extracted. The mean score and standard deviation
of items of the GQOL-D for two groups and differences in items such as memory, recreation/leisure, self esteem, general health,
and mobility between groups were presented.
Conclus 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no difficulty for old people to carry out the GQOL-D. As it was suggested that there
is enough room for intervening in dementia pati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difficulties, the GQOL-D will be useful in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for the patients with dementia.
Key Words : Quality of life(QOL), Dementia, Standardization, Reliability, Validity
서
론
급속한 산업화와 의료 기술의 발달에 따라 인간의 수명이 늘
교신저자: 김 도 관
서울특별시 강남구 일원동 50번지 삼성서울병원 정신과
우편번호: 135-710
전 화: 02-3410-3582, 팩 스: 02-3410-0050
E-mail: [email protected]
후원자: 보건복지부 뇌의약학연구개발사업
(01-PJ8-PG6-01NE01-0003)
어나면서, 이제 우리 사회는 삶의 질적인 측면의 발전에 눈을
돌리고 있다. 이러한 삶의 질(Quality of Life)에 대한 정의 및 개
념은 연구자들마다 다양하다. 대표적으로, World Health Orga1)
nization(WHO) 에서는 각 개인이 살고 있는 문화권, 가치 기준
안에서 자신의 목표, 기대, 규범, 관심과 관련된 자신의 상태에
대한 개인적인 지각 으로 삶의 질을 정의하였으며, Lawton2)은
개인 내적인 기준과 사회 규범적인 기준 모두에 의한 개인-환경
체계의 다차원적 평가를 통하여 삶의 질을 개념화하였다. 어느
경우에라도 각 개인의 전반적인 현재 상태를 나타내려 하며3) ,
이를 위해 대부분의 연구자들이 신체적, 기능적, 정신적 및 사
회적 건강을 포함하는 다차원적 접근을 채택하고 있다4) .
Sept ember 2004
151
The St andar di za t i on o f t he Ger i a t r i c Qua l i t y of Li f e sca l e - Dement i a (GQOL- D)
삶의 질 개념은 다양한 과학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으며, 최
근 들어 신체 생리학적 증상의 향상에 더하여 삶에 대한 기대
감, 낮은 재입원 횟수나 재발률 등 환자 스스로 지각할 수 있
는 이익을 측정해야 한다는 인식이 증가하면서 임상 장면에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5) . 특히, 노인 환자들의 경우, 신체
생리학적 증상은 만성적인 특성이 뚜렷하여 이를 직접적으로
다루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치료에 환자의 관점을 통합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삶의 질을 측정하는 것이 하나의 추세
로 자리 잡고 있다. 그 중에서도 치매는 현재의 의학 수준에서
치료에 한계가 있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즉, 기억 능력의 감퇴
등 인지 기능 저하에 대한 치료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이뤄
지므로, 치료에서 중요한 점은 인지 능력의 유지 뿐 아니라, 주
관적인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데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6) .
이 명백히 주관적인 현상인 우울감을 타당하게 보고했다는 증
거가 있으며17) , 자기 자신과 환경의 평가에 대한 치매 환자와
보호자간 불일치 정도가 인지 능력과는 독립적이라는 결론을
18)
내리기도 하였다 . 또한 MMSE 점수가 10점 이상인 치매 환
자들이 보고한 삶의 질의 타당도가 인지 능력의 수준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는 결과도 보고되었다11) . 단, 이때 인지 능력상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평가에 참여하는 환자의 능력을 촉진하고,
치매와 관련된 문제가 삶의 질에 끼치는 영향까지도 평가할
수 있는 측정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명료한
지시문의 사용, 훈련된 임상가의 직접 면접 및 시각적 단서의
사용 등이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보았다.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논하기 이전에, 국내에서는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자체가 매우 제한적이다19) . 특히, 노인이
치매가 개인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인지 및 일상생활 기능이 상실됨에 따라, 치매 환
자는 이전에 가능했던 활동에도 주의를 기울이기 어렵다7) . 또
한, 행동과 사회 기술의 퇴화가 함께 나타나, 대인 관계상 갈등
이 야기되고, 이것이 치매 환자를 사회적으로 고립시키거나 회
피하도록 만든다8,9) . 이렇듯 치매의 특성으로 인해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은 일반적인 삶의 질과는 다를 수 있으며10) , 따라서 이
러한 치매 환자의 신체적, 기능적 및 사회적 영역을 모두 고려
한 삶의 질 측정이 요구된다.
만성적인 질환을 가진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확립되어 있으나, 이는 치매 환자를 포함한 광범위한 것은 아
12)
니었다11) . 특히, Lawton 은 삶의 질 프로파일의 개념을 설명하
면서, 행동 및 환경 등의 객관적 영역 뿐만 아니라, 지각된 삶
나 치매 환자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위해서는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필수적이나, 국내에서는 포괄적인 영역의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외국에서 개
발된 도구를 그대로 번역하여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나, 문화적
배경이 전혀 다른 상황에서 개발된 측정 도구를 적용하고, 결
과를 해석하는 것은 그 신뢰성이나 타당성이 의문시된다. 이에
저자들은 일반 노인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노인 삶의 질 척도
(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 GQOL)20)를 개발하였으며, 치매
환자에게 중요한 삶의 질 영역을 반영하는 최소한의 문항으로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Dementai:
GQOL-D) 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노인 및 치매 환
의 질과 심리적 안녕감 등의 주관적 영역의 중요성에 대해서
강조하였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생활이나 상태에
대해 복잡하고, 주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질
자 집단에 이를 적용함으로써 국내 상황에 맞게 척도를 표준
화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함으로써 척
도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문에 답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치매의 경우
이러한 지적 능력에 대한 의문이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다13,14) .
이와 함께, 행동이나 비인지적 증상 등도 삶의 질을 평가하는
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삶의 질에서 중요한 영역이 치매의
진행 정도나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바뀔 수 있다는 점도 치
매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데 장해물이 되었다15) .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삶의 질이 본질적으로 개인의
주관적인 지각과 기대를 측정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치매 환자
의 삶의 질 측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16) . 최근 들어서
는 인지 능력의 손상에도 불구하고, 치매 환자들이 스스로의
주관적인 내적 상태에 대해 보고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다는
연구 결과도 흔히 보고되고 있다10) . 대표적으로, 치매 환자들
152
Vol ume 8, Nomber 3
대상 및 방법
1. 대 상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 표준화를 위한 연구 대상은 신체적
으로 건강하고, 치매와 같은 인지 장애가 없는 55세 이상의 정
상 노인으로 하였다. 간단한 신경심리학적 면접인 건강 선별배
21)
제기준(Health Screening Exclusion Criteria) 에 부합하며, 한국
판 간이정신상태 검사(Korean version-Mini Mental State Exami22)
nation: K-MMSE) 점수가 동일 연령 및 학력 수준에서 정상
Hyoung- Suk Lee , e t a l .
범위에 속하는 노인들을 정상 노인으로 정의하였다22) . 또한, 55
세 이상 노인의 성별 분포를 고려하여 대략 1대 2의 남녀 비율
로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으며, 거주지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대도시(서울), 수도권 중소도시, 지방 소도시 등에서 고르게 모
집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연구 대상은 총 340명(남자 108명, 여
자 232명)의 노인과 노인의 인지 기능 및 일상생활 활동에 대
해 잘 알고 있는 주요 보호자들이었으며, 연구 참여에 대한 동
의를 얻은 후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규준 집단과는 별도로, 치매 환자들에게 척도가 실제로 신뢰
롭고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예비적인 연구를 함
께 실시하였다. 환자 집단은 기억력 장해를 주소로 삼성서울병
원 정신과 외래에 방문하여 DSM-Ⅳ 및 NINCDS-ADRDA의 진
단 기준에 의해 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이나 probable
또는 possible Alzheimer's Disease의 진단이 확정된 환자 69명
(남성 20명, 여성 49명)과 그 보호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
구 참여에 대한 간단한 서면 동의를 얻은 후 질문지를 실시하
였다. 정상 집단 및 환자 집단 연구 대상자들의 인구 통계학적
자료는 Table 1에 제시하였다.
2. 연구 도구
1)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
치매 환자, 특히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
하기 위한 척도 개발을 위해 임상심리학자 4인, 정신과 의사 2
인으로 이루어진 Task Force Team이 구성되었다. Task Force Team
은 횡문화적으로 적용 가능하며, 수 년간 신뢰성과 타당성을
1)
입증해온 WHOQOL 및 한국판 세계 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23)
의 하위 영역 및 문항 개념을 문항 내용의 근간으로 하며, 치
매 환자의 인지적 손상과 기능적 손상을 고려하여 스스로의
24)
내적 경험을 보고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구성된 QOL- AD
의 문항 형식 및 실시 방법을 저자들의 허락 하에 차용하여 52
개의 item pool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동일한 개념을 측정하
는 문항들 중에서 문항 개념을 더 적절하게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문항을 선별하여 26개의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각 문항 개념의 중요도에 대해 질문하는 척도와 함께 일
반 노인에게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항 개념에 대한 이해도 및
중요도 등을 고려한 최종 25문항의 노인 삶의 질 척도 가 완
성되었으며,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 기존의 척도들에
서 필수적으로 고려되는 영역과 문항 개념의 중요도 등을 고
려하여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를 구성하였다.
20)
치매노인 삶의 질척도는 신체, 심리적 건강, 독립성의 수준,
사회 관계, 환경 및 종교 등을 측정하는 13개 문항과 전반적인
건강 및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각각 1개 문항 등
총 15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시 과정에 대해 숙지하고
있는 임상가에 의해 실시되는데, 임상가가 질문을 불러주면 피
검자는 각 문항에 대한 삶의 질 혹은 만족도를 만족하지 않는
다(1점), 보통이다(2점), 만족한다(3점), 아주 만족한다(4점) 의 4
점 척도상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자기 보고식이다. 따라서, 총
점의 범위는 15~60점이다.
2)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Korean versio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간이정신상태 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는
Ta b le 1 . De mo g ra p h ic fe ature s a nd s c a le s c o re s o f s ubje c ts
Sex(Ma le/ Fe ma le )
Age (yea rs )
55 ~64
65 ~74
ove r 75
Educ atio n(ye a rs )
uneduc ated
prima ry sc hoo l
middle ・
high s c hool
a bove hig h sc hool
K- MMSE
No rma l Gro up(n=340)
Patie nt Group(n=69)
108/232
69 .86±7.95
92
146
102
7.13±5.23
79
111
107
43
25 .62±3.44
20/49
72.23±7.66
12
28
29
8 .74±5.5 1
11
22
19
17
20.10±4.72
t/
2
P
0.206
- 2.274
0 .776
0 .023
4.139
0 .126
- 2.305
0 .022
6.998
0 .072
9.226
0 .000
Inde pe nde nt s a mple t- test was used for gro up diffe re nces in s ex, age , educ atio n, a nd K- MMSE.
Chi- s qua re test was us ed fo r g roup d iffe re nc es in s ex a nd education c atego ries .
Note : K- MMSE: Korea n ve rs io n- Mini Me nta l State Exa mination
Sept ember 2004
153
The St andar di za t i on o f t he Ger i a t r i c Qua l i t y of Li f e sca l e - Dement i a (GQOL- D)
치매 선별 검사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인지 기능
장애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지 기능상의 장애를 경험하지 않는 노
인을 선별하고, 노인들의 정량화된 인지 기능 상태를 평가하기
6) 일상활동평가-기초 및 일상활동평가-복합(Seoul-Activity of Daily Living: S-ADL, Seoul-Instrumental ADL: SIADL)
위해 한국판 간이정신상태 검사(K-MMSE)를 실시하였다. 시간
지남력, 공간 지남력, 기억등록과 기억회상, 주의집중과 계산
능력, 언어 및 시공간 구성 영역을 평가하는 30문항으로 이루
어져 있으며, 문항 당 1점씩 총 30점 만점이다.
일상생활 활동을 평가하기 위해서 일상활동평가-기초(S-ADL)28)
와 일상활동평가-복합(S-IADL)29) 을 실시하였다. S-ADL은 식사,
목욕, 이동과 같이 독립적인 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기본
적인 일상생활 기능을 평가하도록 고안되었다. 보호자와의 면
3) 단축형 삼성치매선별지(Short form of Samsung
Dementia Questionnaire: S-SDQ)
보호자의 보고에 기초하여 노인의 인지 기능 상태를 평가하
25)
기 위한 총 15문항의 질문지이다 . 환자를 가장 잘 아는 보호
자가 환자의 언어, 기억력, 시공간 능력에 대해 질문하는 각 문
항에 그렇지 않다(0점) , 간혹(약간) 그렇다(1점) , 자주(많이)
그렇다(2점) 에 따라 평정하도록 되어 있다. 총점의 범위는 0~
30점이며, 총점이 8점 이상인 경우 치매를 의심해야 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25) .
4) 전반적퇴화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GDetS)
전반적퇴화척도(GDetS)는 치매가 의심되는 환자나 치매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 양상 및 심각도를 평정하도록 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가가 평정한 노인의 전반적인 인지기능 손
상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포함되었으며, Reisberg 등26)이 제작
한 원문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임상가는 노인의 임상 양상
및 인지 기능 장애의 정도를 정확히 평가한 후, 이를 근거로 7
단계(1. 인지장애 없음, 2. 매우 경미한 인지장애, 3. 경미한 인
지 장애, 4. 중등도의 인지장애, 5. 중등도로 심한 인지장애, 6.
심한 인지장애, 7. 아주 심한 인지장애) 중에서 가장 적합한 단
계를 결정해야 한다.
5) 노인 우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epS)
심리적 안녕감은 우울의 정도로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Yesa27)
vage 등이 개발하고, 정인과 등 이 번안한 노인 우울척도
(GDepS)를 사용하였다. GDepS는 짧은 시간 안에 실시가 가능
한 검사이며, 노인용 우울 검사로서 세계적으로 이미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증된 검사이다. 노인 스스로가 예/아니오로 응답
하는 양분 척도로, 총 30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문항당
1점씩, 총점의 범위는 0~30점이며, 최적 절단점수로는 18점이
27)
제안되었다 .
154
Vol ume 8, Nomber 3
담을 통해 실시되며, 임상가는 총 12문항에 대해 0~2점의 척
도상에 노인의 기능 정도를 평정한다. 총점의 범위는 0~24점
이며, 대부분의 정상 노인들의 S-ADL 총점은 0점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에서의 신뢰도 계수는 Cronbach's =0.82였다.
S-IADL은 돈관리, 가사일, 교통수단 이용 등과 같은 보다 복
잡한 생활기능을 평가한다. 이 역시 보호자와의 면담을 통해
실시되고, 임상가는 총 15문항에 대해 0~3점의 척도상에 노인
의 기능 정도를 평정하며, 총점은 0~45점의 범위이다. S-IADL
의 경우, 현재 실행능력과 잠재능력을 구분하여 평가하지만,
규준 자료가 실행능력에 초점을 두고 제작되었으므로, 본 연구
에서도 실행능력만 자료 분석에 포함시켰다. 본 연구에서의 신
뢰도 계수는 Cronbach's =0.94였다.
3. 자료 분석
본 연구의 통계 분석은 SPSS 10.0 for WINDOWS를 사용하
여 다음의 절차로 실시하였다. 첫째,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
각 문항에 대한 정상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했으며, 인
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적 t검증
및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고, 사후 검증이 필요한 경우 Schéffe
검증법을 사용하였다. 이와 함께, 각 문항에 대한 환자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했으며, 독립적 t검증을 실시하여 집단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둘째, 내적 일치도 검증을 위해, 정상 집단
및 환자 집단 자료를 대상으로 Cronbach's 를 산출했으며, 검
사-재검사 신뢰도는 척도를 두 번 실시한 결과의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측정함으로써 검증하였다. 셋째, 기준 타당
도를 검증하기 위해 정상 집단 및 환자 집단 자료를 대상으로
각 문항과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를 측정하는 문항간의 상관을
구했고, 척도의 수렴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노인의 삶의 질
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들을 측정하는 검사들과의 상관
을 구했다. 마지막으로, 요인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정상 집단
자료를 대상으로 주축 분석(Principal Axis Factoring)을 통한 탐
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Hyoung- Suk Lee , e t a l .
결
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r(11)=0.77, p<0.05로 적절한 수준이었
다(Table 2).
과
2. 타당도
1. 신뢰도
Cronbach's =0.91이었으며, 각 문항별 문항-총점 상관은 r
(340)=0.32(생활 환경)에서 r(340)=0.63(일상활동 능력 및 전반
적인 삶의 만족도)으로 비교적 높은 내적 일치도를 나타냈다
(Table 2). 이와 함께, 약 4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에서,
총점에 대해 r(19)=0.86, p<0.01의 상관을 보여 치매노인 삶의
질척도가 시간의 경과에 대해서 비교적 안정적인 검사임이 입
증되었다. 세부적으로는, 돈/재정 상태, r(19)=0.82, p<0.01, 거동
능력, r(19)=0.79, p<0.01 및 긍정적 감정, r(19)=0.74, p<0.01 등
의 문항에서 높은 검사-재검사 상관을 나타냈다(Table 2).
환자 집단에서도 Cronbach's =0.90, 총점에 대한 약 4주 간격
정상 집단에서 각 항목의 점수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문항
점수 간 상관은 r(340)=0.23(수면)에서 r(340)=0.51(전반적인 건
강)으로, 모든 항목이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특히, 총점과 전
반적인 삶의 만족도 문항 점수간 상관이 r(340)=0.69, p<0.01로
나타나 우수한 기준 타당도를 보였다.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을 측정하는 검사들과의 상관은 표
3에 제시되었다.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는 K-MMSE, r(340)=
0.13, p<0.05, S-SDQ, r(340)=-0.22, p<0.01, GDetS, r(340)=-0.20,
p<0.01, 등에서 측정하는 인지 기능과 비교적 높은 상관을 나
타냈으며, 특히 GDepS, r(340)=-0.68, p<0.01와 높은 상관을 보
Ta b le 2 . Inte rna l c o ns is te nc y , te s t- re te s t re lia b ility , a nd c rite rio n va lid ity o f the GQOL- D
Ite m
Inte rna l co ns iste ncy
Test- retest re lia bility
Crite rion va lidity
Ite m- tota l corre latio ns
r
r with Ove ra ll QOL
Norma l
Patie nt
Group(n=340) Group (n=69)
No rma l
Patie nt
Group (n= 19) Gro up (n= 11)
No rma l
Patie nt
Group (n=340) Gro up(n=69)
1. Pa in/ dis comfo rt
0 .5 1
0.62
0.33
0 .87* *
0 .35 * *
0.5 1* *
2. Ene rgy
0 .60
0.50
0 .49 *
0.52
0 .45 * *
0.48 * *
3. Slee p
0 .45
0.5 1
0 .52 *
0 .83 * *
0 .23 * *
0.24 *
4. Pos itive affect
0 .59
0.66
0.74 * *
0.38
0 .44 * *
0.54 * *
5. Me mo ry
0 .45
0.3 1
0.24
0.74 *
0 .28 * *
0 .12
*
0 .39
**
0.18
0.43 * *
**
0.50
0 .30
**
0.33
0 .84 * *
0 .44 * *
**
0.52
0 .39
**
0.36
**
*
0.66
0 .35
**
0.46
**
0 .43 * *
6. Se lf estee m
0 .53
0.59
0 .49
7. Mo bility
0 .52
0.54
0.79
8. Da ily activity
0 .63
0.75
0.64 * *
9. Pe rs ona l re latio ns hip
0 .52
0.52
0.62
10 . Ho me e nvironme nt
0 .46
0.6 1
0 .49
11. Fina nc ia l res o urces
0 .5 1
0.58
0.82 * *
0 .69 *
12 . Rec reation/ le is ure
0 .5 1
0.57
0.59
**
0.72
13 . Phys ica l e nvironme nt
0 .32
0.52
0.17
0.50
0 .28 * *
0.43 * *
14 . Ove ra ll he a lth
0 .60
0.70
0.34
0 .9 1* *
0 .5 1* *
0.68 * *
15 . Ove ra ll QOL
0 .63
0.68
0.2 1
0.78
1.00
1.00
Cro nbac h's
=0.87
Tota l
*
p <0 .05,
**
Cronbac h's
=0 .90
0.86
**
0 .77
*
*
0 .44
0 .69
**
**
**
0.58 * *
0.39 * *
0.49
0.73
**
**
p <0 .0 1
Sept ember 2004
155
The St andar di za t i on o f t he Ger i a t r i c Qua l i t y of Li f e sca l e - Dement i a (GQOL- D)
Ta b le 3 . Co nve rg e nt va lid ity o f the GQOL- D
Cognitive functio n
Pe rce ived QOL
K- MMSE
GQOL
*
No rma l Gro up
(n=340)
0.13
Patie nt Group
(n=69)
0.0 1
S- SDQ
- 0 .22
0.13
**
GDetS
- 0.20
- 0.03
**
P s yc ho lo g ic a l
we llbe ing
Be havio ra l a nd activitie s
of da ily living functioning
GDe pS
S- ADL
S- IADL
- 0.68
**
- 0 .06
- 0.24
- 0.80
**
- 0 .23
*
**
- 0.10
Pea rso n's corre latio n coeffic ie nt was us ed fo r a na lys is .
**
p <0 .05, p <0 .0 1
Note : GQOL: Ge riatric Qua lity of Life s ca le ; K- MMSE: Korea n ve rs ion- Mini Me nta l State Exa minatio n;
S- SDQ: Short form of Sa ms ung De me ntia Questio nna ire ; GDetS : Globa l Dete rioration Sca le ; GDe pS:
Ge riatric De pres s ion Sca le ; S- ADL: Seo ul- Activities Da ily Living ; S- IADL: Seo ul- Instrume nta l Activitie s
Da ily Living
*
여 심리적 안녕감과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S-IADL, r(340)=
-0.24, p<0.01과도 높은 상관을 나타냈으나, 기본적인 일상생활
활동을 측정하는 S-ADL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나
타나지 않았다.
환자 집단에서도 각 항목의 점수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문
항 점수 간 상관은 전반적인 건강 항목, r(69)=0.68, p<0.01, 등
대부분 항목이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기준 타당도가 r(69)=0.73, p<0.01로 우수하였다. 수렴 타당도에
서는 K-MMSE, r(69)=0.01, ns, S-SDQ, r(69)=0.14, ns, GDetS,
r(69)=-0.03, ns, 등 인지 기능과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
았으나, GDepS, r(69)=-0.80, p<0.01와 높은 상관을 보였고, 기
본적인 일상생활 활동을 측정하는 S-ADL, r(69)=-0.23, p<0.05,
과도 적절한 상관을 나타냈다.
3. 요인 분석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의 요인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주축
분석(Principal Axis Factoring)을 통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
하였다. Varimax 회전한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아이겐 값 1.0
이상을 기준으로 총 설명 변량 37.7%인 2개 요인을 채택하였
다(Table 4). 제 1요인은 긍정적 감정, 자기 자신 및 기억력 등
의 심리적 건강과 돈/재정 상태, 집 등의 환경 요인이 주로 포
함되어 심리적 및 물리적 환경으로 명명하였다. 제 2요인은
거동능력, 일상활동 능력, 힘/기운 및 통증/불편감 등의 문항에
서 높은 부하량을 보이고 있으며, WHOQOL의 신체 영역과 독
립성 수준 영역의 문항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신체적 건강으
로 명명하였다.
156
Vol ume 8, Nomber 3
Ta b le 4 . Fac to r a na lys is o f the GQOL- D
Ite m
4.
11.
10 .
9.
12 .
6.
5.
13 .
7.
8.
2.
1.
3.
Facto r 1
Pos itive affect
Fina nc ia l res o urces
Ho me e nvironme nt
Pe rs ona l re latio ns hip
Rec reation/ le is ure
Se lf estee m
Me mo ry
Phys ica l e nvironme nt
Mo bility
Da ily activity
Ene rgy
Pa in/ dis comfo rt
Slee p
% of va ria nce
Eige n va lues
0 .65
0 .62
0 .56
0 .55
0 .54
0 .52
0 .38
0 .35
0 .35
0 .33
20.1
2 .62
Factor 2
0 .32
0 .8 1
0 .74
0 .55
0 .47
0 .37
17.6
2.27
Factors we re extracte d by princ ipa l axis facto ring a nd
rotated by o blimin method .
4. 인구 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
정상 표준화 집단의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에 대한 총점
평균은 36.04±7.38점이었으며, 점수의 범위는 16점에서 60점
까지였다(Table 5).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가족/친구 관계, 집 등
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아서 만족한다에 가까운 수준
이었고, 기억력, 통증/불편감 등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낮
은 편이었다.
인구 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 총점은 성별, t(339)=2.483, p<0.05과 55~64세,
Hyoung- Suk Lee , e t a l .
Ta b le 5 . Me a ns a nd s ta nd a rd de v iat io ns o f ite ms o f the GQOL- D a nd d iffe re nc e s be twe e n
the no rma l a nd pat ie nt g ro up
Gro up
Ite m
No rma l Gro up(n=340)
Patie nt Group(n=69)
Mea n±SD
t (407)
Mea n±SD
1. Pa in/ d is co mfort
2.0 1±0.94
2.28±0.94
- 2.144 *
2. Ene rgy
2.12±0.87
2.16±0.80
- 0.368
3. Sle e p
2.45±0.92
2.59±0.90
- 1.194
4. Pos itive affect
2.44±0.79
2.33±0.76
1.068
5. Me mo ry
1.93±0.8 1
1.58±0.67
3.345
6. Se lf e ste e m
2.38±0.82
2.10±0.86
2.529 *
7. Mobility
2.56±0.84
2.35±0.86
1.928
8. Da ily activity
2.52±0.80
2.39±0.83
1.2 17
9. Pe rs o na l re lations hip
2.75±0.71
2.59±0.8 1
1.485
10. Ho me e nviro nme nt
2.71±0.77
2.71±0.69
- 0.0 13
11. Fina nc ia l reso urces
2.38±0.84
2.57±0.80
- 1.672
12. Rec re atio n/ le is ure
2.55±0.8 1
2.20±0.85
13. Phys ic a l e nviro nme nt
2.32±0.85
2.46±0.66
14. Ove ra ll hea lth
2.39±0.85
2.14±0.90
2.192*
15. Ove ra ll QOL
2.52±0.70
2.38±0.73
1.549
36.04±7.38
34 .84±7.78
1.2 14
Tota l
**
*
3.322 * *
- 1.570
Inde pe nde nt s a mple t- te st was us ed fo r g roup diffe re nce .
p<0 .05, * * p<0.0 1
*
65~74세, 75세 이상의 세 집단으로 구분한 연령, F(2,337)=
3.277, p<.05 등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Table 6). 상술하
상적으로 성별과 연령을 고려하여 규준을 작성하는 관례에 따
라 규준 작성에 성별과 연령만을 포함시켰다(부록). 단, 향후
면, 전반적인 세부 항목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수준의 삶
의 질을 보고했고, 특히 거동 능력, t(339)=3.681, 통증/불편감,
총점 및 세부항목 해석시, 피검자의 교육연한과 거주지를 함께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339)=3.008, 전반적인 건강, t(339)=3.069 및 기억력, t(339)=
2.839, 등의 세부 항목에서는p<0.01 수준에서 남성이 유의미하
게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연령을 고려할 때, 55~64세의 상대
적으로 나이가 적은 노인들이 높은 수준의 삶의 질을 나타냈
다. 특히, 힘/기운, F(2,337)=8.202, 일상활동 능력, F(2,337)=
6.165, 및 거동 능력, F(2,337)=5.265 등의 세부 항목이 p<0.01
수준에서 연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무학, 초등졸,
중고졸, 대학 이상의 네 집단으로 구분한 교육연한, F(3,336)=
8.930, p<0.01, 대도시, 중소도시, 소도시의 세 집단으로 분류한
거주지, F(2,337)=7.724, p<0.01 등에 따라서도 총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집단별 사례 수에 대해 고려하였으며, 통
5. 정상 집단과 환자 집단의 비교
환자 집단의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 총점 평균은 34.84±
7.78점이었으며, 점수의 범위는 15점에서 58점까지 였다(Table
5).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가족/친구 관계, 집, 수면 등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아서 만족한다에 가까운 수준이었고,
기억력, 자기자신, 전반적 건강 등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
로 낮은 편이었다.
정상 집단과 환자 집단의 총점 및 세부 항목별 차이를 검증
하였다(Table 4). 총점을 살펴보면, 환자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삶의 만족도를 보고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
Sept ember 2004
157
The St andar di za t i on o f t he Ger i a t r i c Qua l i t y of Li f e sca l e - Dement i a (GQOL- D)
Tab le 6 . Me a ns a nd s tanda rd dev iat io ns o f e ac h ite m o f the GQOL- D and d iffe re nc e s ac c o rd ing to s e x and ag e
Sex
Ite m
1
2
Ma le
(n= 108)
Fe ma le
(n=232)
Me a n±SD
Mea n±SD
2.23±0 .92
1.9 1±0.93
2.28±0 .87
2.04±0.86
Age
t(339)
2.59±0.96
1.333
5
2.11±0 .84
1.84±0.79
2.839
6
2.47±0 .80
2.33±0.82
1.479
2.45±0.79
9
2.74±0 .74
2.75±0.70
1.83±0.9 1
1.99±0 .84
2.4 1±0.79
2.68±0 .80
2.0 1±0 .95
2.42±0.85
2.53±0 .79
8
2.20±0.93
*
4
2.45±0.84
Mea n±SD
2.327
2.090
**
**
3.68 1
2.462*
- 0 .163
*
ove r 75 yea rs
(n= 102)
Mea n±SD
*
2.38±0.92
2
Mea n±SD
**
2.60±0 .90
2.80±0 .78
65 ~74 yea rs
(n= 146)
3.008
3
7
55 ~64 yea rs
(n=92)
1
3
F(2,337)
3.635
*
(1>3)
2 .03±0.87
8.202
**
(1>2 ,3)
2.36±0 .90
2 .46±0.9 1
1.799
2.63±0.85
2.34±0 .75
2 .42±0.78
3.867
*
(1>2)
2.03±0.82
1.85±0 .76
1.95±0.87
1.488
2.46±0.88
2.40±0 .8 1
2 .27±0.76
1.288
2.78±0.78
2.53±0 .84
2 .40±0.85
5.265
**
(1>3)
**
(1>3)
2.7 1±0.82
2.55±0 .78
2 .3 1±0.77
6.165
2.75±0.76
2.66±0 .70
2 .87±0.67
2.592
2.88±0.80
2.60±0 .77
2 .71±0.7 1
3.746
10
2.84±0 .73
2.65±0.78
2.202
11
2.36±0 .88
2.39±0.8 1
- 0 .320
2.35±0.89
2.33±0 .8 1
2 .49±0.8 1
1.232
12
2.44±0 .73
2.60±0.84
- 1.645
2.50±0.90
2.57±0 .76
2 .57±0.80
0.240
13
2.24±0 .85
2.36±0.84
- 1.190
2.22±0.92
2.36±0 .82
2 .35±0.80
0.945
2.58±0.80
2.32±0 .85
2 .33±0.88
2.90 1
2.62±0.72
2.52±0 .70
2 .43±0.67
1.769
62 .13± 14 .00
58.80± 10.25
58.45± 9.32
3.277
14
2.59±0 .79
2.30±0.87
3.069
15
2.56±0 .74
2.50±0.68
0.797
Tota l
37.48±7.66
35 .36±7.17
2.483
**
*
(1>2)
*
Inde pe nde nt s a mple t- test was used for gro up diffe re nce in sex, a nd o ne - way a na lys is of va ria nc e (ANOVA) was used
for gro up diffe re nce in age .
*
p <0.05 , * * p <0.0 1
은 아니었다, t(407)=1.214, p=0.225. 그러나, 세부 항목에서는
기억력, t(407)=3.345, p<0.01, 여가/취미활동, t(407)=3.322, p<
있으므로, 주관적인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치료에서
중요하다는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치매 환자 집
0.01, 등에서 환자 집단의 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자기
자신, t(407)=2.529, p<0.05, 전반적인 건강, t(407)=2.192, p<0.05,
거동 능력, t(407)=1.928, p<0.05 등에서도 환자 집단의 만족도
가 낮은 수준이었다.
단에 독특한 삶의 질 영역과 인지 기능상의 제한점을 고려한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Dementia;
GQOL-D) 를 개발하고, 국내 상황에 맞게 이를 표준화 하고자
하였다.
신뢰도 분석 결과, Cronbach's =0.91로 문항간 동질성이 높
은 검사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약 4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
뢰도가 총점 및 세부 항목에 대해 모두 우수한 수준으로, 이
시간 간격 내에서는 개인의 삶의 질이 비교적 안정적으로 측
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
의 전반적인 신뢰도가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타당도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 각
문항의 점수와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문항 점수 간에 높은 상관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기준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이와 함께
고
찰
임상 장면에서 신체 생리학적인 증상의 향상 외에도 환자가
지각한 이익을 고려해야 한다는 인식이 증가하면서, 만성적인
질환을 경험하는 노인들의 경우에도 삶의 질을 측정하는 것이
주요한 치료 경향으로 자리 잡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치매의
경우 현재의 의학 수준에서는 인지기능 개선의 치료에 한계가
158
Vol ume 8, Nomber 3
Hyoung- Suk Lee , e t a l .
인지, 심리적 안녕감, 행동 및 일상활동 능력 등 노인의 삶의 질
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을 측정하는 검사들과도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상관을 보여, 적절한 수렴 타당도가 확인
되었다. 이는 치매 노인의 삶의 질을 이해하기 위해서 지각된
적 상태를 적절히 보고한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치매 노인 삶
의 질 척도의 문항 형식 및 실시 방법의 근간이 되는 QOL-AD
의 연구 결과와 대체로 일치하는 것이었다11,24) . 또한, 환자 집
단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한 척도의 내적 일치도, 검사-재검
삶의 질, 심리적 안녕감, 행동 및 환경 요인을 포괄적으로 고려
한다는 Lawton12)의 치매 노인 삶의 질 프로파일 개념의 타당성
을 부분적으로 입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스스로 지각한
삶의 질을 측정하는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와 심리적 안녕감
을 측정하는 GDepS가 높은 상관을 보였는데, 두 척도 모두 주
사 신뢰도, 기준 타당도 및 수렴 타당도 등도 적절한 수준으로,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가 치매 노인에게 신뢰롭고 타당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지지하는 결과로 보여진다. 정상 집단의 결
과와 비교할 때, 총점에서 유의미하지 않으나, 다소 낮은 삶의
질을 보고하였으며, 이는 기억력, 여가/취미활동, 자기자신 등
관적인 영역의 삶의 질을 측정한다는 점에서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단, 본 연구에서는 환경과의 상호 작용을
측정하는 도구가 포함되지 않아서 다차원적 개념의 삶의 질 프
로파일을 통합적으로 논의하는데 무리가 있어 보인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노인의 보호자 등 심리적 환경 측면 뿐만 아니
라, 물리적 환경의 측면까지 모두 고려한 전반적인 환경과 치매
노인의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도 흥미로운 주제일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치매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에서, 총 설명 변량 37.7%인 2개 요인
을 채택하였으며, 각 요인은 심리적 및 물리적 환경, 신체적 건
강으로 명명되었다. 정상 집단의 자료를 대상으로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이는 치매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해서도 의의를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첫 번째 요인인 심리적 및 물리적
환경은 그 자체로 Lawton12)의 치매 노인 삶의 질 프로파일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는 심리적 안녕감, 환경 요인 등과 일
치하는 것이며, 인지, 행동 및 일상활동 능력을 제외하면 삶의
의 세부 항목에서 환자 집단이 뚜렷하게 낮은 만족도를 보고
한 것을 반영하는 결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 기능
상의 제한 뿐만 아니라, 무감동/무관심, 우울과 행동 상의 어려
움 등 치매 환자에게 특징적인 증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함께, 환자 스스로가 기억
력이나 외부 활동에 참여하는 스스로의 능력상 제한점을 인식
하고 이를 적절히 보고한 것으로 생각되어, 치매노인 삶의질
척도가 치매 노인 삶의 질을 측정하는데, 신뢰롭고 타당한 도
구임을 지지하는 또 다른 증거가 되는 것으로 보인다. 단, 수렴
타당도에서는 인지 기능과 삶의 질 간 직접적인 관련성이 나
타나지 않았으며, 이는 환자의 삶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를 향
상시키기 위해서 치료 과정에서 인지기능 외에도 정서 및 행
동 상의 어려움 등에 대해 개입할 여지가 많음을 시사하는 것
으로 여겨진다. 이상에서,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가 인지 능
력상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평가에 참여하는 환자의 능력을 촉
진하며, 치매와 관련된 문제가 삶의 질에 끼치는 영향도 평가
할 수 있는 측정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임상가가
질 프로파일에서 주관적으로 보고하고 측정하는 대부분의 요
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체적 건강 요인은 치매 환자를
30)
비롯한 노인의 삶의 질에서 가장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으나 ,
노인, 특히 치매 노인의 경우 오히려 이러한 신체적 건강이 삶
의 질에 미치는 중요성은 다소 작아질 수 있다. 즉, 신체적 건
질문을 불러 준다는 실시 방법상 융통성을 적용할 수 있어, 치
매 환자에게 적용하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개발 과정에서 문항
강은 일이 있는 집단과 없는 집단에 대해서 갖는 의미가 다르
며, 일이 있는 집단의 경우 일의 수행을 가능케 하는 건강이
개념을 차용한 WHOQOL의 하위 영역 및 문항 개념이 충분히
잘 정의되어 있었다는 점이 이러한 제한점을 어느 정도 상쇄시
필수적 요건이기 때문에 건강 상태가 삶의 질에 더 유의한 영
향을 미친다는 것이다19) . 단, 이러한 논의가 확증적으로 이루
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정상 집단을 대상
으로 한 척도의 표준화에 중점을 두었으므로, 연구 대상에 포함
된 치매 환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다. 따라서 타당도 검
증 및 요인 분석, 정상 집단과의 비교 등에서 논의된 치매 환자
어지기 위해서는 향후 환자 집단의 자료를 대상으로 요인 분
석 및 모델 검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적절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난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를 환자 집단에게 실시한 결과, 경도 혹은 중증도
치매 환자의 경우 문항을 적절히 이해하고 이에 반응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다. 특히 K-MMSE 10점인 환자가 스스로 내
개념에 대한 만족도를 질문하는 단순한 문항 형식을 고려한 관
계로, item pool 및 예비 문항의 수가 충분하지 않았다. 단, 문항
의 삶의 질을 확정적으로 논의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
단된다. 따라서 향후 충분한 수의 환자 집단을 포함하여 치매
노인 삶의 특성 및 이에 대한 모델 검증 등의 연구가 이루어져
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렇듯,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가 치
Sept ember 2004
159
The St andar di za t i on o f t he Ger i a t r i c Qua l i t y of Li f e sca l e - Dement i a (GQOL- D)
매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을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본 척도를 임상 장면에서 활
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적극 검토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요
약
목적: 저자들은 치매 환자 집단에 독특한 삶의 질 영역과 인
지 기능상 제한점을 고려한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GQOL-D)
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규준 집단을 대상으로
GQOL-D를 표준화하고, 척도를 치매 환자 집단에 예비적으로
적용한 결과를 소개하는 것이다.
방법: 정상 집단은 신체적으로 건강하고, 치매와 같은 인지
장애가 없는 55세 이상의 노인 340명과 그들의 주요 보호자였
다. 환자 집단은 치매 진단이 확정된 69명의 노인과 그들의 주
요 보호자였다.
결과: 정상 집단과 환자 집단에서 내적 일치도, Cronbach's
가 각각 0.87, 0.90이었으며, 문항-총점 상관이 적절하였다. 검
사-재검사 신뢰도도 각각 r=0.86, 0.77로 시간에 대해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각 문항과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 문항과의 상관
이 적절하여 기준 타당도가 확인되었으며, GQOL-D와 인지 기
능, 심리적 안녕감, 행동 및 일상생활 활동을 측정하는 척도와
의 상관을 통해 적절한 수렴 타당도도 증명되었다. 요인 분석
결과, 총 설명량 37.7%의 2요인이 추출되었다. 정상 집단과 환
자 집단 각각의 자료에 대한 GQOL-D의 문항별 평균 및 표준
편차가 제시되었으며, 차이 검증을 통해 기억력, 여가/취미활
동, 자기자신, 전반적 건강, 거동능력 등의 문항에서 두 집단간
만족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고찰: GQOL-D가 치매 노인들에게 신뢰롭고 타당하게 적용
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치매 환자의 인지 기능 외에도 정서,
행동 상의 어려움 등에 대해 개입할 여지가 많음이 시사됨에
따라, 향후 GQOL-D가 치매 환자와 관련된 연구 및 임상 장면
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것이다.
국문요약: 삶의 질(QOL), 치매, 표준화, 신뢰도, 타당도
참 고 문 헌
1) The WHOQOL Group. Study protocol fo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ject to develop a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WHOQOL). Qual Lif e Res 1993;2:153-9.
160
Vol ume 8, Nomber 3
2) Lawton MP. A multidimensional view of quality of life. In:
Birren JE, Lubben JE, Rowe JC, Deutchman DE eds. The
concept and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in the frail elderly.
New York: Academic Press; 1991;p4-27.
3) McDowell I, Newell C.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4) 편성범, 김상한, 한명수, 권희구, 이항재. 뇌졸중 후 편마비
환자의 삶의 질. 대한재활의학회지 1999;23(2):233-9.
5) Rabins PV, Kasper JD. Measuring quality of life in dementia:
Conceptual and practical issues. Alzheimer Dis Assoc Disord
1997;11(6):100-4.
6) 대한노인정신의학회. 한국형 치매평가 검사. 서울: 학지사
7)
8)
9)
10)
11)
2003;p189.
Logsdon RG, Teri L. The Pleasant Events Schedule-AD: Psychometrics properties of long and short forms and cognition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Gerontologist 1997;37(1):40-5.
Pearson JL, Teri L, Reifler BV, Raskind MA. Functional status
and cognitive impairment in Alzheimer's patients with and
without depression. J Am Geriatr Soc 1989;37:1117-21.
Teri L, Borson S, Kiyak HA, Yamagishi M. Behavioral disturbance, cognitive dysfunction, and funtional skill: Prevalence
and relationship in Alzheimer's disease. J Am Geriatr Soc
1989;37:109-16.
Brod M, Stewart A, Snads L, Walton P.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quality of life in Dementia: The Dementia
Quality of Life Instrument(DQoL). Gerontologist 1999;39(1):
25-35.
Logsdon RG, Gibbons LE, McCurry SM, Teri L. Assessing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cognitive impairment. Psychosom Med 2002;64(3):510-9.
12) Lawton MP. Assessing quality of life in Alzheimer Disease
research. Alzheimer Dis Assoc Disord 1997;11(6):91-9.
13) Lawton MP. Quality of life in Alzheimer Disease. Alzheimer
Dis Assoc Disord 1994;8(3):138-50.
14) Rabins PV, Kasper JD, Kleinman L, Black BS, Patrick DL.
Concepts and methods in the development of the ADRQL: An
instrument for assess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ersons
with Alzheimer's disease. J Men Health Aging 1999;5(1):3348.
15) Whitehouse PJ, Orgogozo JM, Becker RE, Gauthier S, Ponte-
Hyoung- Suk Lee , e t a l .
corvo M, Erzigkeit H, Rogers S, Mohs RC, Bodick N, Bruno
G, Dal-Bianco C.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 dementia drug
development. Alzheimer Dis Assoc Disord 1997;11(Suppl 3):
56-60.
16) Testa M, Simonson D. Current concepts: Assessment of quality of life outcomes. N Eng J Med 1996;334:835-40.
17) Parmelee PA, Lawton MP, Katz IR.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among the institutionalized
aged. Psychol Assess 1989;1:331-8.
18) Teri L, Wagner A. Assessment of depression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Concordance between informants. Psychol
Aging 1991;6:280-5.
19) 진기남, 이규식. 노인의 삶의 영역별 만족도와 삶의 질. 보
건과 사회과학 2000;6:7:35-53.
20) 이형석, 김도관, 고혜정, 구형모, 권의정, 김지혜. 노인 삶
의 질 척도(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의 표준화.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2003;22(4):859-81.
21) Christensen KJ, Multhamp KS, Nordstroal S, Voss K. A cognitive battery for dementia development and measurement characteristics. Psychol Assess 1991;3:168-74.
22) 강연욱, 나덕렬, 한승혜. 치매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KMMSE의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과학회지 1997;15(2):300-7.
23) 민성길,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
의 질 척도(WHOQOL)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000;39(1):78-87.
24) Logsdon RG, Gibbons LE, McCurry SM, Teri L. Quality of
life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 and caregiver reports. J
Men Health Aging 1999;5(1):21-32.
25) 최성혜, 나덕렬, 오경미, 박병주. 단축형 Samsung Dementia
Questionnaire (S-SDQ)의 개발과 타당도 평가. 대한신경과
학회지 1999;17(2):253-8.
26) Reisberg B, Ferris SH, DeLeon MJ, Crook T. The Global Deterioration Scale for assessment of primary degenerative dementia. Am J Psychiatry 1982;139(9):1136-9.
27) 정인과, 곽동일, 신동균, 이민수, 이현수, 김진영. 노인 우
울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1997;36(1):103-12.
28) 권의정, 구형모, 이형석, 고혜정, 김지혜, 김도관. 일상활동
평가-기초(Seoul-Activities of Daily Living; S-ADL)의 신뢰
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출판 중.
29) 구형모, 김지혜, 권의정, 김성환, 이형석, 고혜정, 안상미,
김도관. 일상활동평가-복합(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ADL)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2004;43(2):
189-99.
30) Keng KA, Hooi WS. Assessing quality of life in Singapore:
An exploratory study. Soc Indicators Res 1995;35:71-91.
Sept ember 2004
161
The St andar di za t i on o f t he Ger i a t r i c Qua l i t y of Li f e sca l e - Dement i a (GQOL- D)
부록 1 . 연령과 성별을 고려한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GQOL- D)의 규준
남
T점수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162
55~64세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성
65~74세
여
75세 이상
18
19
20
19
20
21
21
22
22
23
23
15
16
17
18
19
성
65~74세
15
16
17
18
19
20
24
24
25
25
26
26
20
21
22
23
27
27
28
29
30
28
29
30
31
32
33
31
32
33
34
34
35
36
35
37
38
36
37
39
38
40
41
39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0
42
41
43
44
42
43
45
46
44
47
45
48
49
46
50
51
52
47
48
49
50
53
54
55
Vol ume 8, Nomber 3
55~64세
51
52
53
56
57
54
58
55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21
22
75세 이상
16
17
18
19
20
21
22
23
24
23
24
25
25
26
26
27
27
28
28
29
30
29
30
31
32
33
34
35
36
37
31
32
33
34
35
36
37
38
38
39
40
39
40
41
42
41
42
43
44
45
43
44
46
47
48
49
50
45
46
47
48
49
50
51
52
53
51
52
54
55
53
54
56
57
58
55
56
59
60
57
58
59
T점수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Hyoung- Suk Lee , e t a l .
부록 2.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GQOL-D) 검사자를
위한 지시문
치매 노인 삶의 질 척도(GQOL-D)는 아래의 지시에 따라 면
담 형식으로 실시된다. 환자에게 질문지를 제시하고, 다음의
검사 지침을 읽어 준다. 이 때, 환자도 질문지 앞부분의 검사
지침을 보도록 한다.
이 질문지는 자신의 생활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입니다. 우리의 생활에 대해서 생각해 보면, 건강, 에너
지 수준, 가족, 돈과 같이 여러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
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이러한 영역들에 대해 몇
가지 질문을 하려고 합니다.(질문지에 있는 네 가지 단어들을
손으로 짚어 가면서) 지난 2주 동안의 생활을 생각하면서, 각
질문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만족하지 않는다, 보통이다, 만족
한다, 아주 만족한다 중에서 하나만 골라 표해 주십시오. 질
문이 무슨 뜻인지 확실히 모르는 경우에는 저에게 물어보십시
오. 또한, 답이 애매한 경우에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저에게
말씀해 주십시오.
보통 환자가 질문을 잘 이해하는지 못하는지 명확히 알 수
있는데,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간단한 질문에 답할 수 있는 환
자의 경우라면 대부분은 질문을 이해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
다. 만약 환자가 모든 질문에 같은 대답을 하거나 이해하지 못
하는 것 같다면, 질문을 명확하게 이해하도록 격려해야 한다.
그러나 어떤 경우라도 검사자가 답을 말해 주어서는 안 된다.
환자가 어떤 질문에 대해서 답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따로
기록해 둔다. 환자가 질문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두 개 이상의
질문에 답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검사를 중단하며, 이러한 경
우에도 따로 기록해 둔다.
아래의 질문을 읽어 주고, 만족하지 않는다, 보통이다, 만족
한다, 아주 만족한다 중 적절한 답을 골라 표시하도록 한다.
만일 환자가 표시하는 것을 어려워 하거나 거부하면, 단어를
가리키거나 말하라고 해서 검사자가 대신 표시한다. 환자에게
질문지를 제시하고, 다음의 질문을 읽어 준다.
1) 머리, 등, 허리 부위의 통증 때문에 불편하십니까? 이런
통증 때문에 불편한 정도에 대해서 어떻게 느끼시나요? 만족
하지 않는지, 보통인지, 만족하는지, 아주 만족하는지 하나를
골라 표시해 주십시오.
2) 일상생활을 하기에 충분한 힘이나 기운을 가지고 있다고
느끼십니까? 자신의 힘이나 기운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지, 보
통인지, 만족하는지, 아주 만족하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3) 잠자는 것은 어떻습니까? 잠들기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리
는지, 잠자는 도중에 깨지 않고 깊게 자는지, 새벽에 너무 일찍
깨지는 않는지, 잠자는 시간은 얼마나 되는지 등을 모두 생각해
보십시오. 그리고 잠자는 것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다, 보통이다,
만족한다, 아주 만족한다 중에 하나를 골라 표시해 주십시오.
4) 행복이나 희망과 같은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십니까? 이러
한 좋은 감정을 느끼는 정도에 대해서 만족하지 않는지, 보통
인지, 만족하는지, 아주 만족하는지 생각해 보십시오.
5) 기억력이나 집중력은 어떻습니까? 자신의 기억력이나 집
중력에 대해서 만족하지 않습니까? 보통입니까? 만족합니까?
아니면, 아주 만족합니까?
6) 자기 자신이 가치 있고 중요한 사람이라고 느끼세요? 스스
로에 대해서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만족하지 않는다, 보통이
다, 만족한다, 아주 만족한다 중에서 골라 표시해 주십시오.
7) 몸을 움직이기, 걸어 다니기 등의 거동할 수 있는 능력에 대
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자신의 거동능력에 대해서 만족하지
않습니까? 보통입니까? 만족합니까? 아니면, 아주 만족합니까?
8) 일상생활에서 해야 하는 여러가지 일을 수행하는 능력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만족하지 않습니까? 보통입니
까? 만족합니까? 아니면, 아주 만족합니까?
9) 가족이나 친구들을 비롯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대해
서는 어떻게 느끼십니까? 만족하지 않습니까? 보통입니까? 만
족합니까? 아니면, 아주 만족합니까?(가족이나 친구가 없다고
말하면, 형제, 자매, 조카, 기타 친척들에 대해서 묻는다)
10) 현재 살고 있는 집의 상태나 분위기에 대해서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습니까? 만족하지 않습니까? 보통입니까? 만족합
니까? 아니면, 아주 만족합니까?
11) 쓸 수 있는 돈이나 재산 등 자신의 경제적인 상태에 대
해서 어떻게 느끼십니까? 경제적인 상태에 대해 만족하지 않
는지, 보통인지, 만족하는지, 아주 만족하는지 생각해 보십시
오(환자가 답하는 것을 주저하면, 돈이 얼마나 있는지 알고 싶
은 것이 아니라고 설명한다).
12) 여가활동이나 취미활동을 할 기회나, 이러한 활동에 참
여하는 정도는 어떻습니까? 자신의 여가활동이나 취미활동에
대해서 어느 정도 만족하십니까? 만족하지 않는다, 보통이다,
만족한다, 아주 만족한다 중에서 골라 표시해 주십시오.
13) 기후, 소음이나 공해와 같이 현재 살고 있는 곳의 환경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자신이 살고 있는 환경에 대해
만족하지 않는지, 보통인지, 만족하는지, 아주 만족하는지 표
시해 주십시오.
14) 자신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에 대해서는 어떻게 느끼시나
요? 만족하지 않습니까? 보통입니까? 만족합니까? 아니면, 아
주 만족합니까?
15) 모든 것을 고려해 봤을 때, 자신의 전반적인 생활에 대해
어떻게 느끼십니까? 만족하지 않습니까? 보통입니까? 만족합
니까? 아니면, 아주 만족합니까?
Sept ember 2004
163
The St andar di za t i on o f t he Ger i a t r i c Qua l i t y of Li f e sca l e - Dement i a (GQOL- D)
치매노인 삶의질 척도(GQOL-D)
이름(등록번호):
횟수:
일시:
이 질문지는 자신의 생활에 대해서 어떻게 느끼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입니다. 우리의 생활에 대
해서 생각해 보면, 건강, 에너지, 가족, 돈과 같이 여러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
습니다. 지금부터 이러한 영역들에 대해 몇 가지 질문을 하려고 합니다.
지난 2주 동안의 생활을 생각하면서, 각 질문에 대한 자신의 느낌을 만족하지 않는다, 보통이다, 만족
한다, 아주 만족한다 중에서 하나만 골라 표해 주십시오. 질문이 무슨 뜻인지 확실히 모르는 경우에는
저에게 물어보십시오. 또한, 답이 애매한 경우에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저에게 말씀해 주십시오.
만족하지 않는다 보통이다
만족한다
아주 만족한다
1
통증과 불편감
①
②
③
④
2
힘이나 기운
①
②
③
④
3
수면(잠자는 것)
①
②
③
④
4
긍정적인 감정(행복, 희망 등)
①
②
③
④
5
기억력 및 집중력
①
②
③
④
6
자기 자신
①
②
③
④
7
거동능력
①
②
③
④
8
일상적인 활동능력
①
②
③
④
9
가족관계 및 친구관계
①
②
③
④
10
집
①
②
③
④
11
쓸 수 있는 돈이나 재정 상태
①
②
③
④
12
여가활동이나 취미활동
①
②
③
④
13
생활환경(기후, 공해, 소음 등)
①
②
③
④
14
전반적인 건강상태
①
②
③
④
15
전반적인 생활
①
②
③
④
총
164
Vol ume 8, Nomber 3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