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 City 사업 현황 및 방향 u

u City 사업 현황 및 방향
u-City
2007. 9.6
목차
1
u-City 개요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3
u-City 사례
4
5
미래전략사업부문
- 1/54 -
u-City 시장전망 및 주요 이슈
u-City 사례 시연
1. u-City 개요
미래전략사업부문
- 2/54 -
1. u-City 개요
영역
지하에 대형
송유관이 지나는
지역 근처의 도시
상에서 새벽에
유독물을 실은
전복되어 폭발
재난/
재해
화재 발생 및
유독 가스
가 누출
보건/
의료
사고 발생 및
극심한 교통 혼잡
예상
시설
관리
환경
미래전략사업부문
내용
고속도로관리
고속도로 상의 사고 발생을 시민의 전화 제보없이 즉각적으로
파악
교통정보안내
가변정보판, 정류장 키오스크를 통해 인근 지역 교통이용자에게
사고발생 및 우회도로 안내
교통신호제어
제어
소방차/응급차의 신속한 사고지역 진입위한 주변도로의 교차로
기체계 조정.고속화도로
속화
진입램프
입램 차
차단으로 추가적
추가적인 차
차량
신호 주기체계
진입 방지
교통시설물관
리
사고로 파손된 고속화도로 시설물에 대한 파손 여부 원격 파악
재난상황안내
유독가스 유출에 따른 근접지역 주민에 대해 대피 안내
산불예방관리
인근지역 산림지역으로 화재가 번질 가능성을 사전에 감지하여
빠른 대응체계를 구축
응급구조/이송
응급환자 발생 위치를 인근 병원에 알려 신속히 응급 구조 및 이송
재 난 재 해
Care/Help
사고에 따른 공공복지 차원에서 보험회사, 보건, 국세/지방세,
건축행정까지 연계된 구호서비스
u-시설물관리
국가 주요시설인 대형 송유관이 주변 사고로 위협받는지를 원격
관리로 확인 및 대응책 마련
교통
고속화 도로
탱크로리가
서비스
지하시설물관
리
대기오염 감시
및 관리
유독가스 누출에 따른 영향력 하에 있는 지역을 파악하고
피해예상지역을 예상
수질감시 및
관리
사고로 따른 인근 하천 및 지하수의 오염 상황에 대한 모니터링
- 3/54 -
1. u-City 개요
등장 배경
도시인의 삶의 질에 대한 니즈
도시화에 따른 문제는 급증하고 있고 이에 대한 해결 비용은 지속적으로 지방정부 재정을 압박하고 있음
도시간 경쟁심화
문제 해결 비용증가
인구집중
공간제약
도시문제
삶의 질 저하
교통혼잡
주택부족
전력위기
환경오염
치안부재
…
지방정부의
새로운 과제
지방정부에 대한
기대 수준 증가
지방정부 제한된 예산
새로운 도시 Value 창출
Calm + Intelligent + Tailored + Yield *
* CITY = 평온하고 지능적이며 도시민의 요구에 가정 적합하며 소모적이지 않고 생산적인 도시 실현
미래전략사업부문
- 4/54 -
1. u-City 개요
등장 배경
건설 패러다임의 변화
기존 건설 중심의 SOC가 IT 와 결합된 새로운 개념의 SoC로 변해가고 있음
SoC
SOC
Social Overhead Capital
도로망 철도망,
도로망,
철도망 상·하수도망
상 하수도망 위주
건설 중심
미래전략사업부문
System on Chip
유무선 네트워크,
네트워크 센서 네트워크 주도
IT, Service 중심
- 5/54 -
1. u-City 개요
등장 배경
IT 패러다임의 변화 (1/2)
출처 : 한국전산원
미래전략사업부문
- 6/54 -
1. u-City 개요
등장 배경
IT 패러다임의 변화 (2/2)
정보공간과 물리공간의 Convergence가 일어나고 있으며 방송, 통신 등 각 네트워크가 통합화 되는 추세임
Citizen
정부 서비스 및
공공,생활 정보
획득의 물리적 한계
단 방향 정보 흐름
Netizen
특정 디바이스
획일적이고 집합적인 정보
특정 시간
특정 장소
특정 지역
원하는 정보를 일일이 검색
개인이 직접 판단
Ubitizen
어떤 단말기에서도
개인의 욕구에 가장 적합한 정보를
언제나
특정 장소나 지역에서
어디에서나
자동적으로 정보 검색
광대역 유선 네트워크(Backbone 연결)
통신 네트워크
+
무선 네트워크 (Hot spot 연결)
모바일 네트워크 (단말 연결)
센서 네트워크 (Sensing + Tracking + Monitoring + Actuator)
미래전략사업부문
- 7/54 -
Data & Control Service
(방송,통신,교통,교육,에너지,의료,공공)
1. u-City 개요
등장 배경
u-IT를 중심으로 한 정부 정책 방향
정부의 IT 산업 육성- IT 839 전략
건교부· 지자체의 첨단 신도시 개발
8 대 신규 서비스
2.3 GHz 휴대인터넷
홈네
홈네트워크
워 서비
서비스
RFID 활용 서비스
지상파 DTV
정보통신사업자의 사업 활성화
600조
IT 시장
boom up
DMB(위성/지상파)
텔레매틱
텔레매틱스 서비
서비스
W-CDMA 서비스
인터넷전화(VoIP)
3 대 인프라
디지털 홈
광대역 통합망(BcN)
u-센서 네트워크(USN)
IPv6 도입
사용자
기술 개발
9 대 신성장 엔진
차세대 이동통신
홈네트워크
차세대 PC
디지털 콘텐츠
텔레매틱스
BcN
텔레매틱스
스마트카드
FTTH
휴대인터넷
ITS
디지털 TV
IT SoC
임베디드 S/W
지능형 로봇
u-City
장비업체
서비스
제공자
첨단 IT사업
활성화
정부에서 신성장 산업 육성 정책을 위한 “IT 분야의 new deal 사업”으로 u-City 추진
미래전략사업부문
- 8/54 -
1. u-City 개요
Definition
u-City의 정의
`Ubiquitous (U) 시티 ` - 첨단 IT 기술이 총 결집된 ‘Ubiquitous 기술 기반의 지능화된 도시
Application 분야
체계화된 도시 관리, 생활의 쾌적화 및 지능화
건설을 위해 각종 수단을 이용하여 인프라가 제공
하는 각종 정보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활용하여
양질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
도시의 지리, 자원, 생태, 환경, 인구, 경제, 사회 등의
복잡한 시스템에 대해
디지털 네트워크 관리,
관리 서비스 및 정책 결정 기능을 갖춘
IT 기반의 지능화된 도시
Value Proposition
Infra 구축 분야
U Cit
City 정보 집산지,
집산지 전송 센터인 중앙 데이터 센터
광대역(Broadband),무선, 모바일 네트워크
미래전략사업부문
시민에게는 안전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제공하고
기업에는 기업경쟁력 향상과 새로운 비즈니스 공간을 제공하며
도시정부에는 효율적인 도시 관리를 가능하게 함
- 9/54 -
1. u-City 개요
Definition
u-City의 정의 (업계)
;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와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를 도시 공간에 융합하여 도시생활의 편의 증대와 삶의
질 향상, 체계적 도시관리에 의한 안전보장과 시민복지 향상, 신산업 창출 등 도시의 제반 기능을
혁신시킬 수 있는 21C 한국형 신도시……..……………………………….…………………[한국전산원]
;
도시설계단계부터 첨단정보기술의 초고속 광통신 인프라를 반영함으로써, 정보화에 따른 도시생활의
편익증대와
증
체계적인 도시관리를
시 리 통
통하여 주
주민의 안전과 복지를
지 향상시
향상시킬 수 있는 도시.
시 즉,,
택지개발사업 시행 시 지구 전체에 광통신 인프라망을 구축하고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정보가
교류되는 유비쿼터스 환경의 도시……………………………………………………………….[토지공사]
;
주거와 공공이 연계된 정보화로 노약자, 어린이, 장애자, 일반인에게 복지 실현과 신도시 전체
IT인프라 구축 및 도시통합네트워크 건설로 지역 경쟁력 강화와 주민 편의 극대화........[파주 u-City]
;
삼성SDS의 u-City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도시 전반의 영역을
융합(Convergence)하여, 통합되고 (Integrated), 지능적이며(Intelligent), 스스로
혁신되는(I
혁신되는(Innovative)
ti ) 도시………………………………………………………………..….…[삼성SDS]
도시
[삼성SDS]
미래전략사업부문
- 10/54 -
1. u-City 개요
Definition
LG CNS의 u-City 정의
대상
첨단정보통신인프라, 유비쿼터스 정보서비스
목적
도시생활편의/안전, 삶의 질, 시민복지, 신산업창출
방법
융합, 통합, 지능, 혁신
SI 역량
• 통합구축
• 운영능력
• PM역량
u-Service
공간
• Industry
Service
Coverage
도시공간, 도시설계단계지역, 택지개발
LG CNS의 u-City는
임베디드 컴퓨팅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기술을 바탕으로
도시 기능의 지능화(intelligence)를 구현하고,
u-Life 통합운영센터 기반의 맞춤형(Concierge)서비스 구현을 통해
지속성(Sustainability)이 유지되는 도시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사업이다
출처 : LG CNS 연구개발센터
미래전략사업부문
- 11/54 -
1. u-City 개요
Definition
u-City는
u
City는 도시기능과 관리의 효율화를 위해 기존 정보인프라를 혁신하고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간시설에 접목시켜 도시 내에 발생하는 모든 업무를 실시간으로 대처하고 정보서비스를
제공하여, 주민에게 편리하고 안전하며 안락한 생활을 제공하는 신 개념의 도시임*
지능화된 정보서비스
공공(Public)
업무(Business)
생활(Life)
u-City의 체계
생활서비스
고도화
전자공간
통합화
도시기능과 관리의 효율화
도시시설물 관리 및
관제의 고도화
(도시정보관제센터)
정보인프라 혁신
Integration
실세계공간
지능화
체계적인 정보통신
인프라 조성
Convergence
InterOperability
Intelligence
* 한국형 u-City 모델 제안, 한국전산원
미래전략사업부문
- 12/54 -
1. u-City 개요
Definition
u-City의 효율성
미래전략사업부문
- 13/54 -
1. u-City 개요
u-city사업유형
™ 추진전략별 유형
도시서비스
지능화
특화산업
육성
미래전략사업부문
™ 개발형태별 유형
• 동탄 : u-home, u-교통, 원격검침 등 도시생활
서비스 고도화
• 수원 : 행정,
행정 관광,
관광 안전관리 등의 서비스
서비 고도화
화
• 흥덕 : 시설물관리, 교통, 원격검침, 생활안전등
공공서비스 지능화
신도시
계획 수립
• 국토 균형 발전 및 지역 경제 활성화
관점에서 접근
• 송도, 무안, 동탄 등
기존도시
재개발
• 인구집중과 공간격리로 도시문제
심화, 재정 자립 취약, 삶의 질 저하
등의 도시 문제 해결과 도시경쟁력
강화 관점에서 접근
• 부산, 광주, 서울 등
산업별
클러스터
• 송도 : IT/BT/NT 산업클러스터
조성
• 광교 : BT/NT R&D 클러스터 조성
• 전주 : 영상기술/문화 클러스터 조성
경제자유
도시
• 부산 : 해양조선, 국제자유도시로서
항만, 컨벤션 등의 서비스 개발
혁신도시
• 지방이전 공공기관을 수용하기 위해
공공부문 주도로 건설
• 각 공사별 주요 이전계획 대상 도시
기업도시2)
• 민간기업주도로 개발된 도시
• 무안, 원주, 태안, 무주, 해남/영암
시범사업 선정 (2005.09)
• 각 지역별 특화 산업 강화
• 산업교역형, 지식기반형, 관광레저형,
혁신거점형으로 기눙 구분
기업컨소시엄
행정중심
복합도시주3)
• 신규 행정중심 복합도시를 첨단정보
도시로 건설하기위해 유시티
개념도입
• 국토연구원 GIS연구센터에서
행복도시 표준 u-City 모델 수립 중
기업+공공
컨소시엄
- 14/54 -
™ 도시개발주체별 유형
민간기업
• 단일 기업에서 자사의 산업단지 조성
등을 위하여 도시 전체 혹은 일부를
개발하는 형태
• 도시개발을 위한 토지수용권을
정부로부터 받아내 기업 컨소시엄의
자본으로 도시를 건설하여 지역의
발전을 꾀함
• 기업과 공공에서 공동으로 도시 개발을
추진하여 공공기관의 기능적 특성과
지역전략산업 및 혁신클러스터를
연계하여 지방도시의 경쟁력과 활력을
제고
1. u-City 개요
u-city 추진절차
토지매입
도시개발
프로세스
토지분양
도시계획수립
도시기반조성
입주
건축설계
시공
민간 시행사 (NSC, 알바트로스 등)
중앙정부, 지자체
이행주체
분양
운영
지자체/입주자대표회의
공공 시행사 (토공
토공,, 주공
주공,, 지자체 도시개발공사)
도시개발공사)
시공사 (건설사)
소요기간
3~6개월
6개월 ~ 12개월
USP, 컨설팅
기본설계/
기본설계
/실시설계
UMC구축
UMC
구축
서비스 구축구축
u-City
Cit
기간통신망 인프라구축사업(기간통신사업자)
1) 신도시개발에 따른 추진 절차임
미래전략사업부문
2~3년
- 15/54 -
U-city
city운영서비스
운영서비스
1)
1. u-City 개요
u-city 사업특성
u 경제의 Container인 u
u-경제의
u-city는
city는 사업 자체가 갖는 복합성과 무게로 인해 시장형성이 매우 어렵게 진행
되고 있음. 장기적인 활성화 방안과 더불어 조기활성화를 위한 관의 강력한 Leadership 확보와 민의 Biz
및 서비스 모델 개발 노력이 필요함
‹개념정립, 방향설정 및 인력육성의 어려움
‹건설과 ICT의 복합
‹Leader 형성의 어려움
(건설의 공간적인 제약과 ICT의 초월 지향)
. 관 : 건설교통부, 정보통신부, 행정자치부 등
‹신기술과 중간기술의 복합
. 학 : 건축, 토목, 정보, 통신..
‹인프라(컨테이너)와 서비스(컨텐츠)의 복합
. 산 : 정보,
정보 통신,
통신 건설..
건설
‹민간과 공공의 혼재
‹표준화, 법.제도 정비, 솔루션 출시.적용의 어려움
‹조기.대형시장에 대한 기업의 기대가 큼
‹구축사업의 대형화, 운영사업(수익모델)의 모호함
‹결과적으로 시장 형성의 장기화
‹결과적
미래전략사업부문
- 16/54 -
목차
1
u-City 개요
2
u-City의
의 주요 구성요소
성
3
u-City 사례
4
5
미래전략사업부문
- 17/54 -
u-City 시장전망 및 주요 이슈
u-City 사례 시연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u-City 추진 절차
도출된
출 u-서비스
서비 및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반 인프라 구축
지역 특성에 맞는 비전
u-Life(개인) u-Biz
(기업), u-Pub(공공)
등 모델 도출 및
운영 방안 수립
서비스 모델 및 기반
인프라 상세 설계
u-City 서비스 운영
u-서비스 및 Infra 구축
및 전략 수립
실시 설계
u-서비스 통합운영을
위한 센터 구축
u-서비스
u
서비스 도출
Ubiquitous 솔루션 및
서비스로 지능화 도시의
u-City 구현
u-City 정보화
비전 및 전략 수립
통합운영센터 구축
USP1) 수립
미래전략사업부문
설계
- 18/54 -
구축
운영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u-Public
u-Work
u-Transport
u-Home
u-Shopping
u-Healthcare
u-Security
u-Media
u-Education
Service
Space
상황실
전산실
통신실
Channel
Call
Center
Portal
Station
Manage
ment
설비/자재
Billing
건물
Connected service :의료, 교육 …
응용서비스
연계기술
N/W
Storage
디지털홈
스마트카드
체험관
협력업체
보안
RFID시스템
IBS
에너지
Public service: 민원, 금융, 교통, 환경..
Server
USN
임대차
Device
GIS
Contents
CCTV
도시통합관제기술
ITS
영상회의
Consul
ting
미래전략사업부문
RFID
Bluetooth
USP
GPS
Sensor,Tag
IPv6
SoC
통합설계
- 19/54 -
Embeded S/W
Utility Computing
전문인력
암호화/보안
장비유지보수
Infra
기반
기술
통합센터운영
Infra
Control
아
웃
소
싱
서비스운영
도시
통합
운영
센터
주요 구성 요소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u-City Strategic Planning
USP 정의
“u-City전략 계획” 이란?
XX USP의 목적 (예시)
수익성을 고려한 운영계획 수립
XX의 특성을 고려한 u-City계획
“u-City 전략계획(USP:
전략계획
u-City
Strategic Planning)” 이란,
•
XX의 특성을 고려한 특화 서비스 개발방법
•
차별화된 기업 지원을 위한 서비스 설계
•
u-City 구축을 위한 상세 추진 비용 및 방안
대상 도시 및 지역의 장래상을 달
성하기 위하여,
•
서비스를 위한 정보 기반 수요 예측
•
과제별 투자 우선순위
어떻게 효과적으로
Ubiquotous 기술을 연계하고
적용 것인가에
적용할
에 대한,
u-City
추진계획 수립
통합 운영센터의 주요 역할 및 책임
•
운영 센터의 수익성 있는 운영 모델
•
운영 비용 조달 방안
GOAL
통합운영센터
운영모델 수립
u-City
u
City
SPC 설립 및
운영계획 수립
전략 및 해결책을 찾고
실행계획을 수립해 나가는
일련의 과정임
미래전략사업부문
•
u-City구축비용조달
u
City구축비용조달 및 추진방안 수립
- 20/54 -
•
적절한 u-City 사업 추진 방식 및 조직
•
u-City 구축을 위한 사업비 조달 방법
•
민간과 공공 기관의 참여 방식 (SPC 설립
방안 등)
•
사업 추진 시, 고려 사항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u-City Strategic Planning
USP Framework
u-Strategy
u-City 비전 및 전략 수립
XX시 핵심현안 및 미래상 도출
비전 및 목표 수립
u-Service
u
Service 도출
u-Service 설계
u-Security
u-도시관리
u-Healthcare
u-Governance
전략 도출
Infrastructure 설계
Application
Platform
Device
Network
사업모델 및 운영방안 도출
통합운영 센터 운영 방안 설계
Business model
통합운영 센터
u-Healthcare
Service
미래전략사업부문
Infrastructure
- 21/54 -
Business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u-City Strategic Planning
u-Service Matrix
1
2
u-Public
3
u-Transport
u-Security
원격 민원행정
도시 기반시설 관리
환경 관리
첨단 도로/
도로/교통 관
리
지능형 무인 단속
통합 교통정보
물리적 보안관리
원격영상감시
정보 보안
원격 민원발급
도시기반 시설물관
리
환경시설물 관리
실시간 교통제어
자동 교통단속
교통 정보
화재/범죄 감시
거리감시
IT 보안
전자투표/행정참여
안전사고 및 재난예
방
환경오염 감시
돌발 상황 관리
중차량 관리
버스정보/운행관리
누수/누전 감시
행정시설관리
보안 통제통합
현장 행정지원
원격 검침 (AMR)
환경 모니터링
실시간 교통시설물
관리
자율요일제 무인단
속
도로상태 정보
긴급 신고/출동
녹지화재 감시
재난 복구
주차 정보
4
u-Media & Contents
Digital Street
양방향 디지털컨텐
츠
u-컨벤션
도시 정보 제공
동영상 컨텐츠 판매
전시/홍보관
u-Board 설치
디지털 전환
체험관/테마파크
엔터테인먼트 컨텐
츠
7
양방향 제공
Public Welfare
u-Hospital
만성질환자 관리
사회 복지
의료 서비스
전자 처방
원격 진료
통합 단지 관리
업무지원
스마트업무공간
서비스용역
홈오토메이션/원격
제어
통합 주민카드
입주자 지원
Asset
Management
Communication
Support Service
IT 아웃소싱
원격 건강관리
u-Life 포탈
관리자 지원
PLM
Smart Office
인력 아웃소싱
방범/방재
디지털 컨텐츠
시스템 관리
CRM
빌딩 자동화
콜센터 아웃소싱
인터넷 가전
단지 외부 연계
단체 건강관리
의료 스마트카드
u-Classroom
u-Campus
멀티미디어 강의실
위치정보 서비스
출결 관리
전자 도서관
u-Learning
u-Shopping
지능형 쇼핑정보
u-옐로 페이퍼
Connected
Learning
u-카탈로그
원격 강의
통합 스마트카드
- 22/54 -
Connected Library
실시간 주문/
주문/배달
마일리지
실시간 Direct 주문
(거주민)
u-Point
개인맞춤 쇼핑정보
출처 : LG CNS 연구개발센터
미래전략사업부문
9
u-Education
신생아 관리
통합 의료정보 공유
u-Work
u-Town
8
입주민 건강관리
6
u-Home
홈 네트워크
u-모델하우스
u-Healthcare
건강 관리
5
전자 쿠폰
시 Direct 주
주문
실시간
처리/배달
(근린상가)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u-City Strategic Planning
USP 수행 절차
기초정보 분석
고객요구사항 분석
u-Vision & Strategy
수립
u-City 모델 설계
u-vision 및 전략
략
도출
업무 이해
이행계획 수립
이행 Roadmap
일정계획
고객이해
•
•
•
•
•
•
3C
SWOT
기술 트랜드 분석
벤치마킹
고객의 비즈니스 현황이해
정보화 현황검토
선진사례분석
표준 Framework
자원 및 비용계획
기대효과
개선과제 도출
과제 설계
•
•
•
•
•
Output
ƒ 요구사항정의서
ƒ 현황분석서
ƒ u-Vision & Strategy
선언서
Service Design
Infrastructure Design
Space Design
Business Model Design
Operation Model Design
To-Be
Be 모델 설계서
ƒ To
LG CNS 기술연구부문, USP 방법론 참고
미래전략사업부문
- 23/54 -
추진조직
변화관리 방안
ƒ Master Plan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주요 구성 요소
서비스 (예시)
세부 구성 내역
시설물 유지보수
사용자
음성/영상 형태의 게시 신청 메시지 전송
콘텐츠 제공관리
통합운영센터
문화/공공/광고 콘텐츠의
양방향 스마트 포스트 콘텐츠 제공
- 생활가로의 Terrace zone에 스마트
포스트를 설치하여 공공정보 및
광고물을 조회할 수 있도록 설치함
감상 및 놀이체험
- 스마트 포스트에서 손동작을 이용한
상가
Gallery zone
Pass zone
보도
Terrace zone
도로
Traffic zone
게임 및 영상물을 동적으로
체험하도록 구현함
참여 거리 문화 콘텐츠 제공
-핸
핸드폰으로
폰으로 시민이 SMS, Photo,
영상물을 전송하면 스마트 포스트에
콘텐츠 종류
문화예술영상 광고물 영상
공공게시물
경기 중계
일정시간 해당 SMS가 게시되도록
공연 중계
오락물
구축함
고려사항
• 시설물 보호에 대한 시민 문화 인식
개선이 전제되어야 함
출처 : 서울시
미래전략사업부문
- 24/54 -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주요 구성 요소
통합운영센터
출처 : 한국토지공사
미래전략사업부문
- 25/54 -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주요 구성 요소
통합운영센터 (예시)
공공 u
u-서비스의
서비스의 관
리
• u-서비스에 대한 서비
스 운영 및 관리
• 뉴타운 포탈을 통한 사
용자의 서비스 편의성
강화
통합운영센터
첨단
GIS 도시관리
지능형
뉴타운
원격검침
관리
점용시설물
안전
한
뉴타
운
양방향 문화가로 다양한
테마가
있는
자연친화 디지털거리
상징가
로
첨단 가로등
뉴타운 CCTV
뉴타운포탈
도시 긴급상황 모니
터링
• CCTV 모니터링 및 제
어
• 화재, 범죄 현장에 대한
분석
• 저장된 이미지에 대한
기록 및 관리
• 발생 이벤트에 대한 유
관기관 정보 전송
뉴타운 시설물 관리
따듯함 원격커뮤니케이션
이
넘치는
원격영상진료
뉴타운
공통 시스템
• GIS를 이용한 뉴타운
내 시설물 모니터링
• RFID 미들웨어를 이
용한 시
시설물 관리
리
• 도로 및 7대 지하시설
물 관리
• u-서비스용 CCTV,공
공 LCD,가로등 등 u서비스 시설물 관리
외부기관 정보 연계
대용량 스토리지 서버
스트리밍서버
RFID 미들웨어
사용자 인증 서버
무선지원 서버
유무선 포탈관련서버
메일 및 연계서버
GIS 서버
통합 DB서버
L4/백본 스위치
라우터
• 광역단지관리센터
광역단지관리센터, 서
울시 연관시스템,
TOPIS 등과의 연계
상황 시스템
상황실
시
공통 네트워크
방화벽
출처 : 서울시
미래전략사업부문
- 26/54 -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주요 구성 요소
통신인프라 (예시)
연계기관
인터넷망(민간용)
서울특별시청
주거단지(댁내)
세대기
전력량계
광역단지관리센터
수도
전기
홈G/W
ONT
OLT
가스감지기
은평구청
OLT
Settop Box
제어기
가스밸브
상가
행정기관
통합운영센터
인터넷망
(공공서비스용)
POS
무선AP
ONT
IP전화
splitter
이동통신사
OLT
VAN /
금융기관
생활가로/공원(공공)
splitter
무선AP
Mesh Network
ONT
기타 기관
학교/보건소/유치원등
CCTV(공공)
- 통합운영센터는 공공 u-서비스와 공공시설물 관리에 관한 운영을 담당, 광역단지관리센터는 지역내 개별세대 및 상가지역의 서비
스 및 시설물에 관한 운영을 담당
- 일부 학교, 병원, 상업시설등은 자체 네트워크 구축하는 경우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광역단지관리센터와의 연동은 메트로 이더
넷으로 구성할 수 있음
- 공공기관 및 결제 관련 기관(금융기관, 은행 혹은 VAN사) 과의 연동은 전용회선으로 구성
- 뉴타운 내의 각 세대및상가에서 사용하는 인터넷서비스은 광역단지관리센터,혹은 통신사 자체국사를 통한다고 가정함, 생활가로에
서 사용하는 공공서비스용 인터넷서비스는 통합운영센터를 통해 이루어짐
-광역단지관리센터부터 각 세대간 통신방식 및 구성은 민간사업자의 구축방식에 따라 상이함
- 기타 연계기관에는 상수도사업본부, TOPIS, 가스사업자,전력사업자, 민간컨텐츠 제공업체등이 포함됨
ONT
CCTV
출처 : 서울시
미래전략사업부문
- 27/54 -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주요 구성 요소
운영 방안 (예시)
구청 내 조직 구성 안
통합운영센터 총괄
개요
 뉴타운의 통합운영센터 및 u-서비스를 관리하는 조직을 은평구
청 내에 구성
 기획을 제외한 서비스 운영,
운영 시스템 관리 등은 위탁운영함
장점
 상대적으로 저렴한 유지운영비용
단점
 서비스의 전문성 및 고급화 어려움
 부서간 통합 업무의 성격의 서비스가 많아 담당 부서 선정의 어
려움 예상
 서비스의 변화가 발생시 유연한 대처가 어려움
 구청 조직의 변화가 필요하며, 업무영역이 불확실한 부분 발생
통합운영센터장(1)
u서비스지원
기술지원
센터운영
u-서비스
담당
(6)
기술지원
담당
(3)
행정담당
(1)
인원합계
상주인원: 11명
비상주인원:
시설물유지보수인원
은평구 시설관리공단 운영 안
개요
 통합운영센터를 시설관리공단에서 일괄 위탁운영함
유지보수이행
장점
시설물 및
서비스 시스템
유지보수
 서비스의 전문성 및 지속성 확보 가능
 신규 서비스의 생성 등 서비스의 변화에 유연한 대처 가능
 서비스 성격에 무관하게 서비스 운영조직 구성 가능
단점
 서비스 유지운영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음
※ 통합운영센터는 24시간 운영
출처 : 서울시
미래전략사업부문
- 28/54 -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주요 구성 요소
수익 모델 (예시)
제공서비스
운영위원회 참여사
‰ IT/전기통신 분야 구축 및
개발
XX기업도시 SPC
‰ 통합건물관리 서비스
주거단지
거주자
기업/연구소
‰ 통합고객지원 서비스
강원도
출자
XX시
XX기업도시
u-City SPC
‰ u-Healthcare
운영수수료
근무자
실버타운
‰ u-Silvercare
방문자
‰ u-Shopping
‰ u-Learning
기타 출자자
‰ u-Parking
P ki
‰ Advertise/u-Media
SI사업자 전국사업자 금융사
미래전략사업부문
병원
입주자
대표회의
사업자
학교
‰ 골프장 IT서비스
상가
- 29/54 -
목차
1
u-City 개요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3
u-City 사례
4
5
미래전략사업부문
- 30/54 -
u-City 시장전망 및 주요 이슈
u-City 사례 시연
3. u-City 사례
은편 뉴타운
u-city추진현황
U-Life@파주
용인흥덕 u-Cityy
판교 u-Cityy
화성동탄 u-Cityy
계획수립단계
인천경제자유구역
U-City
상세설계단계
구축 단계
광교 u-city
뤙원주기업도시
아산신도시
태안기업도시
u-충북
행정복합도시
대전 Future-X
U 광주
U-광주
U-부산
u-제주
미래전략사업부문
사업구상단계
- 31/54 -
3. u-City 사례
u-city추진현황
은평뉴타
운
아산
신도시
원주
기업도시
판교
신도시
광교
신도시
태안
기업도시
화성
동탄
파주
운정
행복
도시
구축 중
타당성
조사완료
USP
수립 중
설계
완료
USP
완료
USP
수립 중
구축 중
설계 중
USP
완료
지능형CCTV
O
O
O
O
O
O
O
O
O
첨단 가로등
O
O
O
O
O
O
워터스크린
O
O
분류
서비스 명
O
감성음악벤치
문화/
Entertai
nment분
야
디지털 징검다리
O
O
테마브릿지
O
u-아트
O
미디어보드
스마트포스트
마
O
미래전략사업부문
O
O
O
O
O
O
O
O
O
info-booth
u-플래카드
O
O
O
O
- 32/54 -
O
3. u-City 사례
분류
문화/
Entertai
nment분
야
서비스 명
은평
뉴타운
아산
신도시
원주
기업도시
판교
신도시
광교
신도시
태안
기업도시
화성
동탄
파주
운정
행복
도시
구축 중
타당성
조사완료
USP
수립 중
설계
완료
USP 완
료
USP
수립 중
구축 중
설계
계중
USP
완료
공공 인터넷
O
디지털카페
O
O
u-관광/문화
O
u-Entertainment
커뮤니티
//쇼핑분
핑
야
u-포탈/u-커뮤니
티
O
O
O
O
u-커머스
u-Home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정주분야
무인택배 서비스
방범/방
재 분야
방범방재
미래전략사업부문
O
O
O
O
- 33/54 -
O
O
O
3. u-City 사례
분류
서비스 명
지리정보
은평
뉴타운
아산신도시
원주
기업도시
판교
신도시
광교
신도시
태안
기업도시
화성
동탄
파주
운정
행복
도시
구축 중
타당성
조사완료
USP
수립 중
설계
완료
USP 완료
USP
수립 중
구축
중
설계
중
USP
완료
O
첨단 통관리
첨단교통관리
교통 정보안내
교통분야
O
O
O
O
O
O
O
O
O
O
O
O
O
O
O
u-주행정보제공
u
주행정보제공
O
u-긴급차량지원
O
주차관리
보건복지
분야
O
O
불법주정차단속
O
u-Healthcare
O
O
O
O
O
O
O
O
O
O
u-장애인/독거노
인
미래전략사업부문
O
O
u-119
노약자/자녀위치
약자/자녀위치
정보
O
O
O
O
- 34/54 -
O
O
O
3. u-City 사례
u-서울
u-서울 추진계획
추진 단계
u-Care
u
Care
1단계 (2006 년 ~ 2007년)
2단계 (2008년 ~ 2010년)
원격 영상 진료, 지능형 장애인 이동 지원 등의
복지 분야 서비스 적용*)
3단계 추진
(2011년
단계~ )
원격 의료 상담 및 진단 서비스
서울 의료원 중심 환자 정보 연계 네트워크 구축
u-Fun
u-Library를 통한 지식/정보
연계 및 모바일 서비스 고도화
u-Library 운영 시스템 및
장애인 서비스 도입
청계천 중심 지역 특화 정보 제공
u-Green
유비쿼터스 기반의 문화 랜드마크 조성
RFID를 통한 문화 자산 관리
환경 정보 통합 제공
환경 오염 실시간 신고 기반 조성
통합 생태 DB 구축
지능형 공원 시설 관리/안내 서비스 도입 및 생태 체험 공간 조성
u-Transport
u-Business
TOPIS를 통한 지하철 정보
정 수집 및
대중교통 정보 전달 채널 다양화
대중교통 연계/환승 및 최적이동 경로 제공
재래시장 활성화 지원 및
외국인을 위한 u-Service 가이드
유비쿼터스 인큐베이션 Zone 구축
통합운영센터 구축*)
u-뉴타운 확산
u-Governance
인프라
국제/광역 교통 연계
모바일 행정 기반 조성
원격화상 응급 구조/재해 및 재난 감시
선도 사업 지원을 위한 인프라 도입
분야별 전략 서비스 모델 지원을 위한
유비쿼터스 인프라 도입
유비쿼터스 인프라 적용 및 확산기
출처 : 서울시
미래전략사업부문
- 35/54 -
3. u-City 사례
u-인천
인천경제자유구역
IFEZ
목표 서비스 개념도
„
청라
(관광 산업)
u-Air Port
RFID/USN 등 uLogistic
솔루션을 통한
신속하고
효율적인 최적의
물류 서비스 제공
영종
(물류 산업)
„
u-Sea Port
RFID/USN을
통한 컨테이너와
팔레트의
위치관리 및
제품정보 확인
1) DEC : Digital Entertainment Cluster * IFEZ : 인천경제자유구역, IFEZA : 인천경제자유구역청
미래전략사업부문
- 36/54 -
„
u-IT Cluster
RFID/USN,
Telematics,
DEC1) 융합
제조/서비스 단지
구성
„
Bio Hub 구축
의료서비스 및
생물산업 융합
제조/서비스
단지 육성
u-Tech 기반
복합 Theme
Park 개발
송도
(비즈니스
클러스터)
러 터)
3. u-City 사례
u-송도
인천경제자유구역
구분
송도지구1)
영종지구
청라지구
위치/면적
연수구 동춘동 일원 1,611만평
중구 영종/용유도 일원 4,184만평
서구 경서동 일원 538만평
사업기간
2003 ~ 2020
2003 ~ 2020
2003 ~ 2012
계획인구
25만명(9만7천세대)
15만6천명(6만세대)
9만명(3만1천세대)
기본
현황
황
개발사업자
주요 개발 계획
개발 방향
미래전략사업부문
인천광역시, NSC, KODA2) , 해양수산
부
인천광역시, 한국토지공사, 인천도시개
발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인천광역시, 한국토지공사, 농업기반
공사
국제업무 지, 지식정
지식정보산업단지
산업 지
국제업무단지,
영종국제도시,
영종국제 시, 운북복합레저
운북복합레저단지
지
금융/레저단지
금융/레저 지
첨단바이오단지, 국제학술연구단지
용유/무의관광단지
화훼단지
IT Cluster, 송도신항 등
영종, 용유역세권 개발 등
자동차 R&D 단지
국제물류ㆍ비즈니스ㆍ지식정보산업
제물류 비 니
지식정 산업
거점을 조성하여 다국적 기업의 아ㆍ
태지역 본부와 ITㆍBT관련 국제기업
유치
국제물류와 공항지원 기능 및 국제관광
도시로 건설
국제업무 지 2004년부터
부터 2014년
국제업무단지는
까지 24조원 투자되어 컨벤션센터,
아시아 트레이드 타워, 국제학교, 중앙
공원 등 건설 예정
금융을 비롯한 국제업무기능, 첨단레
저 시설과 첨단화훼단지 조성
운북복합레저단지 : 해안친수공간을 활
용한 관광/레저단지(리포컨소시엄)
국제업무타운 : 지상 66, 88층 랜드마
크 타워, 서울대병원 등(대우건설 컨소
시엄)
용유/무의관광단지 : 주거형리조트,
주거형리조트 워
터파크 등 휴양문화시설
테마파크형 골프장 : 27홀 골프장 및
부대시설(롯데건설 컨소시엄)
영종국제도시 : 산업물류/국제업무단지
테마형 레저/스포츠단지 : 아쿠아파크,
레포츠시설 등(해원에스티 컨소시엄)
- 37/54 -
3. u-City 사례
u-송도
u-송도
u 송도
개요
u-City 구성요소
기간 : 2005. 4. 22 ~ 2005. 10. 22
참여사
주요
내용
투자
규모
미래전략사업부문
• KT
• Bearing Point
• 삼성
• 한진정보통신
• 인천경제자유구역
u-City
u
City 구축을 위한
u-City 정보화 전략
• u-City 비즈니스 모델 수립 및
IT 과제 도출
• 송도국제도시의 인프라 기본방향
설정
• 총 6조 3천억원
- 공공투자 3천억
(통합관제센터 1.6천억)
- 민간투자 6조
(u-NW 4조3천억)
u-Infra
u-Network
통합관제센터
네트워크 인프라 기반
도시 통합관제
u-Life Agent
u-WALLet
안전/편리한 생활환경 외국인 생활편의
uService
uu
Driver &
Industry
추진
기반
일정
- 38/54 -
항만/항공 물류
u-Traffic
쾌적한 교통환경
u-Biz Support
u-Foreign Admin
비즈니스 공유 기반
외국인 행정편의
u-Port
u-IT
IT H
Hub
b
IT Cluster
u-City PMO
u-City 체험관
추진 조직기반
홍보 기반
• 1단계 : 기반구축단계
-2008
• 2단계 : 고도화단계 2008
2008-2011
2011
• 3단계 : 확산단계
2011-2014
3. u-City 사례
u-송도
송도 국제업무단지 (1/2)
송도 국제업무단지는 2004부터 2014년까지 약 24조원이 투자되어 국제학교, 컨벤션센타, 중앙공원,
업무시설 등이 건설될 예정이며, 자사의 Exclusive Right Projects는 국제학교, 컨벤션센타, 125 BL
주상복합
주상복합,
Super 구획도
Block 사업임
송도지구
송도 국제업무단지 조감도
Exclusive Right Project
오피스
호텔
공공청사
국제병원
국제학교
S
Super
Block
Bl k
포스코건설
사옥
송도 국제업무단지인 1,3공구에
년까지 24조원이
원이
2014년까지
투자되어 시행사인 NSC 주도로
국제학교, 컨벤션센터, 중앙공원,
업무시설 등이 건설될
예정임
Block 22
공립학교
Block 20/21
아시아
트레이드타워
워터프론트파크
근린상가
가
125 BL
주상복합
컨벤션센터
백화점/영화관/
상업시설
골프장/빌라
미래전략사업부문
- 39/54 -
공립학교
국제학교
중앙공원
3. u-City 사례
u-송도
송도 국제업무단지 (2/2)
School
병원/약국
u-Station
Parking Lot
u Life
u-Life
Web Portal
Internet /
Wireless Internet
u-Learning
u
Learning
SVC
u-Healthcare
SVC
주거
Facility Mgmt
SVC
u-Station
System
Customer SVC
Center
Media &
Contents
System
u-Media SVC
Smart Card
System
Billing &
Tenant Mgmt.
u-Parking
SVC
기본서비스
미래전략사업부문
u-Golf SVC
Connected SVC
- 40/54 -
u-Shopping
SVC
UMC 영역
오피스/상점
골프
코스
3. u-City 사례
u-송도
u-Life JV
NSC
LG CNS
시장 확보
IT 설계 및 견적, 이행 구축 현장 지원
u-Life Business Model
개발 및 수익모델 분석
전담 support 조직 운영
JV 운영
UMC 설계 및 구축 운영
Space별 IT 기준 제안
통합 FMS 솔루션 제공
R&D
R&D
홍보 및 마케팅
홍보 및 마케팅
송도 홍보 동영상 제작
/홍보활동
세미나 및 발표회 개최
미래전략사업부문
u-Life
JJV
- 41/54 -
JV 운영
송도 국제 업무단지의 u송
Life
IT 사업권 보장 노력
향후 운영사업에 대한
시장확보 방
시장확
방안 수립
IT 계약 및 발주 수행 및
영업이익 확보
건설사별 영업활동
LG CNS와의 공동 R&D 수행
송도 개발 계획과의 연계
하에 u-Life 서비스 모델
홍보
3. u-City 사례
대전
대전 FutureX
사업명
대전은행1구역 도심재개발 복합용도 (MXD-Mixed Used Development) 개발 사업
시행사
알바트로스플러스 (2004년 시행사 1위 업체)
사업개요
 총 분양면적 35만평,(부지 3만평)
사업비 3조5천억(공사비 2조)
유비쿼터스 사업비(안) :3,000~5,000억
-> 본 사업은 은행Funding후 자체 사업진행예정
50층 8동, 호텔 69층
세대수 : 1,900세대(40~70평)
1 900세대(40 70평)
유비쿼터스 총괄 진행 조직
- 총괄 : 알바트로스플러스 u-City그룹
- 통신 : KT, SK, 데이콤
- H/N : LG
LG, 삼성
- 솔루션 : SI업체
- 전문업체 : 벤쳐기업
향후일정
 7/2 : 조합창립 총회
 7/15 : 정비구역 지정
 7/29 : 조합설립인가
 8/5 : 시공사 선정
 10/28 : 사업시행 인가
 12월말내 유비쿼터스 시행 업체 선정
미래전략사업부문
- 42/54 -
3. u-City 사례
기타
동탄-은평-판교
동탄 은평 판교
구분
개발 규모
u-City 사업비
진행 단계
운영 비용 (년)
화성 동탄
미래전략사업부문
성남 판교
• 272만평
• 4만 가구, 12만명
• 105만평
• 1만 5천 가구, 4만 2천명
• 281만평
• 2만9천 가구, 8만8천명
• 330억
• 220억 (USP 추정금액)
• 857억 (USP 추정금액)
• 구축 단계
• 2006년 11월 시범서비스 오픈
• USP 완료
• 설계/구축사업자 발주 준비 중
• 2007년 12월 오픈
• USP 완료
• 실시설계 발주 준비 중
• 2008년 12월 오픈
• 25억
• 15억 (운영인원 : 11명)
• 27억 (운영인원 : 17명)
5개 분야 15개 서비스
6개 분야 15개 서비스
•환경
-기상정보제공, 대기/수질오염 정보
제공, 상하수도 누수 관리
•생활안전
-CCTV,
CCTV 안심서비스,
안심서비스 교통약자지원,
교통약자지원
재난/재해 예방
•교통
-실시간 교통제어, 공용주차장 관리,
대중교통정보 제공
•시설물 관리
-공공매설물 관리, 가로등 제어
•교육
-원격교육
•민원
민원
-u-민원, 미디어보드
3개 분야 5개 서비스
서비스 모델
서울 은평뉴타운
• u생활안전
-CCTV, 상수도 누수관리
• u교통정보
-실시간 신호 제어, 실시간 교통 정
보 제공
• u공공행정
-미디어보드, 동탄 포털
• 안전/교통
-CCTV, 원격화상 응급의료 지도,
대중교통정보 실시간 제공
• 복지
-원격영상진료, 지능형보행안내, 부
모자녀간 u-커뮤니케이션
• 교육
-전자교실,
전자 실, u-Learning포털
g 털
• 도시관리
-GIS, RFID기반 점용시설물 관리,
원격검침, 뉴타운포털
• Landmark
-양방향
양방향 문화가로,
화가
첨단가 등 자연
첨단가로등,
친화 디지털 문화가로
- 43/54 -
3. u-City 사례
기타
해외 개발 사례
세계 u-City 개발 사례
두바이 (아랍에미리트)
비전
샌프란시스코
스페인
(Zamora)
EU
•세계로 열린 중동의 비즈니스 및 관광 허브
•지리적 이점을 활용한 중계 무역 및 지식산업
•비즈니스
비즈니스 허브
¾자유무역지대, 지식산업 거점 (인터넷 시티, 미디어
시티, Knowledge Village), 국제금융센터 조성
일본
두바이
•관광 허브
홍콩
¾4년간 관광객 1.8배 증가
(04’년
(04
년 210만, 2010년 1500만 목
목표))
¾세계 최고급 호텔 (Burj Al Arab, 7星 호텔)
¾세계적 이벤트 개최 (쇼핑, 경마, 골프, 테니스, 자
동차 )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특징
•초대형 개발 프로젝트*
¾인공섬(Palm Island, The World), 인터넷 시티
¾세계 최고층 건물 (Burj Dubai, 800m, 2008년
완공)
일본
(e-Japan)
말레이시아
(MSC)
‰ 첨단 IT 국가 건설 계획
‰ 아이치현 등 IT기반 도시 건설
EU
(Intel City)
‰ 첨단 정보도시
‰ 실리콘밸리, 인도 방갈로 모델
스페인Zamora ‰ 세계 최초의 WiFi 도시
(Hot City)
‰ 첨단 정보통신 인프라 구축
홍콩
‰ 디지털 클러스터
(Cyber Port) ‰ 사무환경의 지능화에 초점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
‰ EU의 정보화 사회 프로젝트
‰ 사회통합 수단으로 IT 활용
¾기가급 광통신망
시사점
샌프란시스코 ‰ Bio-Tech 클러스터
(Mission Bay) ‰ 기가급 네트워크 구성
•위기를
•선택과
•최적의
•차별적
차별적
기회로 바꾸는 리더십
집중을 통한 성공 모델 확산
기업환경 조성을 통한 투자 유치
도시(국가) 마케팅
* 전 세계 타워크레인의 10%가 두바이에 있다.(日經비즈니스, 2005.4.18)
미래전략사업부문
- 44/54 -
목차
1
u-City 개요
2
u-City의 주요 구성요소
3
u-City 사례
4
5
미래전략사업부문
- 45/54 -
u-City 시장전망 및 주요 이슈
u-City 사례 시연
4. u-City 시장전망 및 주요 이슈
u-City 사업의 Value
‰ SI,, NI 역량을 활용한 신규 비
비즈니스
니 기회 창출
-도시기반 SI사업(Smart Card, Digital Home, IBS, LBS, ITS 등)
-도시기반 NI사업(기업,가정,공공인프라 영역에 대한 네트워크구축)
-공공
공공 부문에 대한 ITO 사업
-도시 핵심 인프라(통합센터)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업 기회 발굴
‰ 신 기술에 기반한 사업수행 역량 강화
-차세대 통합 네트워크 등 Ubiquitous 관련 기술
-Ubiquitous 네트워크 기반 통합 도시 운영 솔루션 개발
략 위
위한 전략적인
략적 비
비즈니스
니 모델 및 솔루션
루 확
확보
‰ 해외시장 공략을
-중국, 동남아 등 해외 시장의 도시기반 SOC 구축 사업
미래전략사업부문
- 46/54 -
4. u-City 시장전망 및 주요 이슈
u-City 시장전망
현재는 신도시 중심의 통신 인프라 및 일부 공공서비스 구축을 위한 예산사업이 주류이나, 향후에는
기존도시
기
시 및 신도시를
시 대상
대상으로 민간 참여에 의
의한 복합 서비
서비스 사업의 비
비중이
이커
커질 것
것으로 예상됨
현재 u-City 시장
신도시개발 사업
•토지공사
•주택공사
•도시개발공사
구도시사업
•행정자치부
•지자체
공공서비스
(시설, 교통, 안전, 환경, 행정)
중장기적 u-City 시장
민간서비스
(IBS
(IBS,
홈네트워크)
Convergence Service
(u Healthcare, u
(u-Healthcare
u-Home
Home,
u-Learning, u-Media…)
도시통합정보센터
도시통합운영 센터, 복합커뮤니티 센터
Infra (유무선 Network)
u-Infra (BcN, RFID/USN)
전략수립 (USP)
IT Engineering
u-지역정보화
u-지역정보화
‰ 신도시 택지개발이 주류임(파주, 판교, 광교, 동탄, 흥덕 등)
‰ 토공, 주공, 개발공사등이 주도하는 공공예산사업
‰ 분양 활성화 목적의 인프라 구축과 일부 공공시설물 관리 사
업
‰ 일부 지자체가 USP 수립하였으나 구체적 추진계획 없음
미래전략사업부문
공공서비스
(문화, 복지)
- 47/54 -
‰ 수익성있는 서비스 중심으로 민간투자 형태로 사업추
진
‰ 구축단계에 건설 + IT 융합 형태의 새로운
Engineering Biz. Model 출현
‰ 신도시와 기존 도시를 대상으로 한 복합 서비스 모델
중심 사업
4. u-City 시장전망 및 주요 이슈
u-City 사업의 주요 이슈
u-City 건설지원법 제정 (건교부)
u-City 계획, 건설, 관리‚운영 지원을 위한 법‚제도적
기반 마련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 어려움
u-City 건설계획기준, 모델‚기반시설에 관한 사항
u City 건설 재원 조달 및 운용에 관한 사항
u-City
공공서비스 위주로 구축
u-City 표준/인증 정비 (정통부, u-City포럼)
구축 및 사업비 주체 논란 (시행사 vs
지자체)
u-City 인프라/서비스 모델에 대한 표준 수립
u-City 인증제 도입
기존 도시 중심의 u-City화 (행자부)
민간사업자의 수익성 한계
지자체 u지역정보화 공동 발주
지역정보센터의 도입 및 공통 서비스에 대한 지원
법.제도적 지원 미비 (예산 지원,
개인정보보호)
민간(상용) 서비스 기반 마련
- 부처간 역할 정립
단지 중심의 관리 Î 광역 관리
원격의료 제한, IPTV 등 산업 규제 관련 사항 정비
미래전략사업부문
- 48/54 -
4. u-City 시장전망 및 주요 이슈
u-City 사업의 비용 관련 이슈
분야
제공 주체
구성
공공서비스
중앙
범용
정부
서비스
지자
체
역내
서비
스
공공
센터
자가
망
민간서비스
전국
사업
자
역내
사업
자
미래전략사업부문
범용
서비스
역내
서비
스
민간
센터
서비스 예시
구축비용
• G4C
• 무인 발급/Kiosk
N/A
• 환경 감시
•기업지원센터
•ITS
•GIS/m-GIS
•공공지역 CCTV
•원격 공공시설물
관리
구축비용 주체 운영비용
중앙
정부
200
~
300
억
분양가
N/A
전국사업
자
운영비용 주체
고려 사항
중앙정부
• 현재는 인터넷을 통한 공공 컨
텐츠를 제공하는 모델임
지자체
• 원격지에서 시설.
시설 장비를 활용
한 서비스로 확대될 것임
N/A
20
~
30억
중앙정부
지자체
•구축비용은 시행사가 전액
부담하거나 지자체와 공동
부담함
•운영비용은 지자체가
세금으로 운영해야 함
• IPTV/VOD
• WiBro
N/A
전국사업자
• 전국사업자가 수익성을 기준으
로 지역 내 투자 여부 결정함
• u-Learning
•통합 시설물 관리
•통합 단지 관리
•Home Network
연계 서비스
역내사업
자
- 49/54 -
역내사업자
•수익성을 기준으로 투자 여부
결정
•새로운 형태의 전문 u-City
운영사업자가 주체가 될 것임
4. u-City 시장전망 및 주요 이슈
재원 조달 방안
중앙정부예산/지자체 예산
• u-Public, u-Transport, 통합 관제 센터 등 공공성이 높은 사업에
적용 가능
• 건설교통부, 교육부, 문광부 및 혁신도시 등의 IT 예산 활용
PPP
(Public-Private Partnership)
• 정부와 민간 기업이 파트너쉽을 맺고 공공영역에 대해 민간이 투자
하고 다양한 형태로 보상 받는 방법
• 공공성이 강하고 민간 운영시 효율성 향상이 기대되는 분야에 적용
Project Financing
•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SPC를 설립하고 금융기관 등을 통하여 대규
모 사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받는 방법
• 수익성이 보장되는 사업에 적용 가능
외자 도입
• 인천자유, 부산/진해, 광양 및 R&D 첨단 도시 등 외자 유인 요소가
있는 지역에 적용 가능
•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요구됨( Financial
Financial, Non-Financial
Non Financial Incentive )
기업 직접투자/자체투자
• 일반 민간 기업에서 자체 자본 혹은 차입을 통하여 투자하는 방법
• 사업 위험이 낮고 소요되는 자금이 적으며 수익성이 보장되는 사업
미래전략사업부문
- 50/54 -
4. u-City 시장전망 및 주요 이슈
관련 법률
u-City 건설지원법(가칭) 제정
개발 주체에 대한 u-City
y 구축 지원 근거
u-City 관련 지구단위 인증 제도
적용 기술 및 서비스 모델의 표준화 절차 및 방안 등
기존 관계 법령 정비
효율적 u-City
y 추진을 위한 IT 서비스 적용
용 및 도시개발 관련법의 단계적 정
정비
도시개발
관련 법
서비스 적용
관련 법
미래전략사업부문
‰ 도시계획법, 국토계획법, 국가지리정보체계의 구축 및 활용 등에 관한 법률
‰ 도시개발법,
도시개발법 개발제한구역법,
개발제한구역법 농지법,
농지법 도로법,
도로법 건축법
‰ 전기통신공사업법, 전기통신기본법 등
‰ 정보화촉진기본법, 전기통신사업법, 정보통신망법, 개인정보보호법
‰ 유통산업발전법, 항공법, 항만법, 관세법, 교육법, 의료법
‰ 교통체계효율화법, 도로교통법, 주택법 등
- 51/54 -
7. 사례 시연
1 정상 상태
2 이상 상황 발생
3 방재 시나리오-1
센서 시뮬레이터에서는 정상적
인 데이터를 보내고 상황판/개
별 관제 화면은 정상 상태를 모
니터링함
센서 시뮬레이터에서 공동구
내 화재 센서로부터 이상 상태
가 감지되고, 관제센터 내 상황
판과 상황근무자 화면에 내역
이 표출됨
자동으로 소방방재본부에 상황
이 전파되고 화재발생 반경
300M내 주민에게 화재발생 경
고가 이루어짐.
센서 시뮬레이터
상황판(지도, CCTV)
개별 관제 화면(관제화면, CCTV,
센서관리)
센서 시뮬레이터
상황판(지도, CCTV)
개별 관제 화면
개별 관제 화면
유관 기관(소방서)
동보 대상 - LED, 세대기, DTV
5 방재 시나리오-4
4 방재 시나리오-3
4 방재 시나리오-2
현장의 화재가 진압되고 결과
가 소방방재본부로부터 상황실
로 전달되면 상황근무자가 확
인하고 해제 동보 후, 상황 해
제[끝]
상황 근무자는 관제 화면상에
서 영상과 센싱 값을 통해 심각
성을 인지하고 소방 담당자와
영상회의를 통해 인근지역 대
피령을 지역에 내림
소방~상황실에 사고가 접수되
고 지역 주민들은 화재 상황을
확인함 (소방방재본부는 출동
대를 편성 후, 현장 출동해 화
재 진압 시작)
인천시 BMS
세대기, DTV
미래전략사업부문
개별 관제 화면
유관기관(소방서)
동보 대상 -LED, 세대기, DTV
- 52/54 -
개별 관제 화면
유관기관(소방서)
동보 대상 -LED, 세대기, DTV
6. 사례 시연
6 시설물 관리 시나리오-1
7 시설물 관리 시나리오-2
8 시설물 관리 시나리오-3
화재와 시차를 두고 인근 시설
물 센서로부터
센서
터 공동구 내 가스
밀도 이상/누전이 감지되고, 관
제센터 내 상황판과 상황근무
자 화면에 내역이 표출됨
상황근무자는 누전 상황 확인
후, 확산을 막기 위해 긴급히
인근 작업반을 검색하여 호출
하고 긴급 작업지시를 하달함
작업자는 내용을 확인 후, 출동
상황
상황근무자는
자는 작업자의 이동상
이 상
황을 확인함
도착한 작업자로부터 영상으로
상황 보고받고 구두조치 하달
센서 시뮬레이터
개별 관제 화면-상황관제/작업
자 조회
작업자 단말
개별 관제 화면-상황관제/영상
/
커뮤니케이션
작업자 단말
인천시 BMS
세대기, DTV
9 시설물 관리 시나리오-4
(현장 조치 후) 작업자는 작업
결과를 보고함
상황 근무자는 화면에서 작업
결과를 보고받고 상황을 해제
함
개별 관제 화면-상황관제/영상
커뮤니케이션
작업자 단말
미래전략사업부문
- 53/54 -
감사합니다.
이창기 : 010-3911-4400,
02-6363-6726
02
6363 6726
[email protected]
미래전략사업부문
- 54/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