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투석 중 채취한 검체를 이용한 Equilibrated Kt/V를

대한신장학회지 : 제 21 권 제 1 호 2002년
1)
혈액투석 중 채취한 검체를 이용한
E qu ilib r a t e d K t / V 를 예측하는 방법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임상병리학교실 *
이종수・김도하・최승원・김영일・박재후・박수길
이상구・이선호*・김성률*・박정식
<요
약>
목 적 : 단일 구획 요소 역동학 모형에서 투석 직후 혈중 요소질소 농도의 반등(pos t dialy sis
ur ea r eboun d, P DUR )은 실제 Kt/ V를 과대 평가하게 된다. 본 연구는 투석 후 평형상태의 혈
중 요소질소 농도를 가장 잘 반영하는 투석 중의 혈액 검체 채취 시점을 확인하고, 이 검체를
이용하여 계산된 Kt/ V가 요소질소 농도 반등 완료 후의 Kt/ V와 일치하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유지혈액 투석을 받고 있는 21명의 말기 신부전증 환자에서 투석 전, 투석시작 후 80분,
120분, 190분, 200분, 210분, 220분, 투석종료 시점, 투석종료 45분 후 혈액을 채취하여 각각
BUN을 측정하였다. 저자들은 투석종료 45분 후 요소질소 농도 반등이 완료된 시점의 검체를
이용한 Kt/ V (eKt/ V P DUR )를 참고치로 하여 Sm y e m eth od, double- pool Daug ir das 공식,
T att er s all 공식, 투석 중에 채취한 검체 중 하나를 이용하여 계산한 Kt/ V를 각각 비교하였다.
결 과 : 투석 후 평균 요소질소 농도의 반등은 17.2±6%였고 single poool (sp )Kt/ V와 eKt/
V는 각각 1.300±0.24, 1.120±0.20으로 spKt/ V는 eKt/ V P DUR를 13.5±4% 과대평가 하였
다. 투석 중에 채취한 검체 중 투석종료 40분 전에 채취한 검체가(27.9±9 m g/ dL ) 요소농도 반
등후의 평형상태의 혈중요소 질소 농도(28.0±9 m g/ dL )를 가장 잘 반영하였다. Double- pool
Daug ir das 공식의 Kt/ V (eKt/ V Dau =1.135±0.21, r =0.972, p < 0.001), T att er s all 공식의 Kt/
V (eKt/ V T at =1.134±0.22, r =0.972, p < 0.001), Sm y e공식의 Kt/ V (eKt/ V S m y e=1.156±0.24,
r =0.900, p < 0.001)는 PDUR eKt/ V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투석종료 40분 전에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여 계산한 Kt/ V (eKt/ V T - 40 m in =1.120±0.20, r =0.984, p < 0.001)가 가장 유의
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경향을 보였다. Blan d- A ltm an분석에서 Kt/ V T - 40 m in는 eKt/ V
P DUR과 가장 좋은 일치 정도를 보였다.
결 론 : 일반 투석기를 이용한 4시간 동안의 혈액투석에 있어서 spKt/ V는 실제 전달된 Kt/ V
를 평가하는데 부적절하며, 투석종료 40분 전에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여 계산한 Kt/ V는 요소질
소 농도 반등 후의 평형상태의 Kt/ V를 예측하는데 있어서 임상적으로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으로 생각된다.
서
* 본 연구는 2001년도 대한신장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요지
가 발표되었음 . 본 연구는 2000년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연구비의 지원으로 이루어졌음 .
책임저자 : 이종수 울산광역시 동구 전하동 290 - 3
울산대학교병원 내과
T e l : 052 )250 - 7020 , F a x : 052 )251 - 8235
론
투석에 의한 요소의 분획 청소율인 Kt/ V urea (이
하 Kt/ V)는 투석의 양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인체에서 요소가 분포하는 체액은 단일구획으로
- 86 -
— Jong Soo Lee, et al. : T he Method to Predict Postdialy sis Equilibr ated Kt/ V w ith Only Intr adialytic Urea Samples —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혈액투석으로 요소가 빠른 속
2 . 투석방법 및 검체 채취
도로 제거 될 때에 구획간의 요소 제거 속도의 차이
로 인하여 투석 중에는 구획간의 요소농도의 차가 발
대상 환자들은 주3회의 유지 혈액투석을 받고 있었
생하게 되고 투석 직후에는 구획간 요소농도의 재평
고 투석액은 중탄산염 완충제를 사용하였으며 투석액
형 상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혈중 요소질소 농도의
유입 속도는 500 mL/ min, 혈류속도는 250- 330 mL/
반등이 일어나게 된다 . 이러한 투석 직후 요소농도의
min로 하였고 투석시간은 4시간으로 하였다. 표면적
반등으로 인하여 단일 구획 모형을 기초로 한 Kt/ V
이 1.2 m 인 합성 셀룰로즈(Hem ophan )투석막을 사
(single pool Kt/ V, 이하 spKt/ V )는 실제 전달된 투
용하였으며 체외 요소질소 청소율은 혈류속도 300
1)
2
석양을 과대평가하게 된다 . 투석 후 구획간 요소농도
mL/ min로 하였을 때 220 mL/ min이었다. 검사는 주
가 평형상태에 이르는데 30- 60분 정도의 시간이 필요
간 투석 스케쥴에서 2번째 투석일에 시행되었고,
하므로
2)
실제 전달된 투석양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BUN 검사를 위한 혈액채취는 투석시작시점, 투석시
투석 직후 30- 60분 후의 검체를 이용해야 하지만 임
작 80분, 120분, 190분 후, 투석종료 40분 전, 30분
3 , 4)
상에서 시행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다. 최근 투석종료
전, 20분 전 및 투석종료 시점에 실시하였고 요소질소
후에 검체를 채취하지 않고 투석 후 평형상태의 Kt/
농도의 반등을 보기 위한 검체 채취는 투석종료 45분
V (equilibrat ed Kt/ V, 이하 eKt/ V )를 예측하기 위한
후에 하였다. 투석 중 검체 채취는 혈류속도를 분당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었는데 Smy e 등5 , 6 )은 투석 중
50 mL로 감소시키고 20초가 경과한 후 시행하였다.
에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여 투석 후 요소농도 반등이
3 . 사용된 공식들
완료된 혈중 요소 농도를 예측하는 공식을 제안하였
spKt/ V, 추정 eKt/ V, nPCR 및 요소질소 분포 용
다. Daugirdas 등7 ) 은 spKt/ V에서 투석의 효율에 따
라 2중 구획 Kt/ V (double- pool Kt/ V )를 추정하는 회
적은 다음의 공식으로 계산하였다.
귀공식을 제안하였으며, T atter sall 등8 )은 투석 후 요
1) spKt/ V =- Ln [(T 240/ T 0)- (0.0008×t )+
소 반등에 소요되는 시간을 예측하여 보정한 공식을
(4-3.5×T 240/ T 0)- UF/ W ]9 )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투석 중 채취한 검체들 중
2) eKt/ V by Daugirdas formulae (eKt/ V Dau )=
spKt/ V-0.6× (spKt/ V )/ hr+0.037 )
에서 투석종료 후 요소질소 농도 반등이 완료된 시점
3) Urea equilibr ated (U - Smye )5 , 6 ) =T 0/ e 1 .5 × L n ( T 8 0 / T 2 4 0 )
의 혈중 요소질소 농도와 가장 근사치를 보이는 검체
4) eKt/ V Smye =Ln [(U - Smye/ T 0)- (0.0008×t )+
의 채취 시점을 확인하고, 또한 이 검체를 이용하여
(4-3.5×U - Smye/ T 0)-UF/ W ]
계산한 Kt/ V가 실제 관찰한 투석 후 평형상태의 Kt/
5) eKt/ V by T atter sall formulae (eKt/ V T at )=
V와 일치하는 정도를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과 비교하
spKt/ V× [t/ (t+35)]8 )
고, 실제 임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T able 1 . Clin ic al Ch arac te ri s tic s of S u bje c t s
대상 및 방법
1 . 대상환자
대상 환자는 21명(남 10, 여 11)으로 평균연령은
44±10세였고 평균 투석기간은 중앙값 23개월(3- 125)
이었다(T able 1). 모든 환자들은 임상적으로 안정된
상태였으며 잔여 신기능은 GFR <0.5 mL/ min 미만
이었고, 유의한 혈관통로 재순환이 있는 환자들은 제
외되었다.
P atient numbers
Age
Sex (m ale/ fem ale )
Heig ht (cm )
Body w eig ht (kg )
Volum e (L)
HD duration (m onth )
Underlying disease
Chronic g lom erulonephritis
Hyperten sion
Diabetes
Other s
*
- 87 -
m e dian(rang e)
21
44± 10
10/ 11
161.4±4
56.2±9.3
31.8±5.4
23(3- 125) *
9
5
5
2
— 대한신장학회지 : 제 21 권 제 1 호 통권 제 73 호 2002 —
T able 2 . E v olu ti on of B l ood U re a Conc e nt rati on s D u ring F ou r H ou r D i aly s i s S e s s i on
T im e (m inute )
T0
T 80
T 120
T 190
Urea (mg/ dL )
66.9± 18
43.7± 13
37.7± 12
28.9± 10
T 200 (T - 40) T 210 (T - 30) T 220(T - 20)
27.9±9
26.7±9
25.8±9
T 240
T +45
24.1±8 28.0±9
N um e rics : m inutes af ter dialy s is
6) eKt/ V PDUR =- Ln [(T +45/ T 0)- (0.0008×t )+
T able 3 . Ob s e rv e d P o s tdi aly s i s U re a Re b ou nd
an d Ov e re s tim at ion of S t and ard S in g le
P o ol Kt/ V
(4-3.5×T +45/ T 0)-UF/ W ]
7) eKt/ V T - 40=- Ln [(T - 40/ T 0)- (0.0008×t )+
(4-3.5×T - 40/ T 0)-UF/ W ]
8) nPCR=0.22+ (0.036×ID rise in BUN×24)/
interdialytic interv al(hr s )1 0 )
BUN (m g/ dL)
Kt/ V
NP CR
(g/ kg/ d ay )
9) Urea distribution volume by W at son formulae 1 1 )
t =dialy sis
ses sion
time
in
minute ;
T 0=predialy sis
Im m ediate
postdialy sis
P ostdialy sis
45 minute
△%
24.1±8
1.300±0.24
1.01±0.17
28.0±9
1.120±0.20
0.93±0.15
17.2±6
13.5±4
7.7±2.6
BUN (mg/ dL); T 80=BUN at 80 minute ses sion time (mg/
dL ); T 240=BUN at the end of dialysis (mg/ dL); T +45=
T able 4 . Ob s e rv e d P o s tdi aly s i s U re a Re b ou nd
A c c ording t o D i aly s i s E f fic ie n c y
BUN at postdialy sis 45 minute (mg/ dL ); T - 40=BUN at
40 minute before end of session (mg/ dL); UF =ultr afiltra-
Dialy sis efficiency
(K/ V )
tion volume during dialysis ; ID=interdialytic
4 . 자료분석
> 0.35
< 0.35
모든 자료는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평균±표준편차
Mean
K/ V
No.
patient s
Urea
rebound (% )
0.40±0.04
0.29±0.03
6
15
23.4±4.5 *
14.7±4.6
K / V : K t/ V/ hour, *p <0.001 comp are d to K / V <0.35
g roup
로 표현하였다. 자료들의 상관관계는 Pearson방법으
로 하였으며, 참고치와의 일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Bland- Altm an분석12 )을 적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은
고효율 투석에서 K/ V < 0.35인 투석에서 보다 투석
p< 0.05로 하였다
후 요소농도 반등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23.4±
4.5% vs . 14.7±4.6% p< 0.001, T able 4). Daugir das,
결
T atter sall 및 Smye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eKt/ V는
과
각각 1.135±0.21, 1.134±0.22, 1.156±0.24였다(T able
투석종료 시점과 투석종료 45분 후의 혈중 요소질
5). 투석 종료 40분 전 검체를 이용하여 계산한 eKt/
소 농도는 각각 24.1±10 mg/ dL, 28.0±9 mg/ dL로
V T - 40은 1.120±0.20으로 eKt/ V PDUR와 가장 근
관찰되어 투석 직후 평균 혈중 요소질소 농도의 반등
사한 값을 나타내었다(T able 5). 관찰된 eKt/ V (eKt/
은 17.2±6%였고, 투석 중 채취한 검체 중 투석종료
V PDUR)를 참고치로 하고, 각각의 방법들과 일치
40분 전에 채취한 검체의 요소질소 농도(27.9±9 mg/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measurem ent bias는 eKt/ V
dL)가 투석종료 45분 후의 요소 반등(28.0±9 mg/
T - 40, eKt/ V Dau, eKt/ V T at , eKt/ V Smy e에서
dL, r =0.996, p< 0.001)을 가장 잘 반영하였다(T able
각각 0.00022, - 0.014, - 0.014, - 0.035로 나타났다
2). spKt/ V와 eKt/ V는 각각 1.300±0.24, 1.120±0.20
(T able 5). 일치정도의 한계(limits of agreem ent )는
으로 spKt/ V는 eKt/ V를 13.5±4% 과대평가 하였으
투석종료 40분 전 검체를 이용한 eKt/ V T - 40에서
며 단일구획 모형에서 nPCR은 7.7±2% 과대평가 되
- 0.0708- 0.0712로 나타나 eKt/ V Dau (- 0.112- 0.083),
었다(T able 3). 투석 중 평균 한외 여과량은 3.12±
eqKt/ V T at (- 0.116- 0.088), eqKt/ V Smye (- 0.2473-
1.0 L/ 4 hr였으며, 투석 간 평균 체중증가는 2.74±
0.176)에서 보다 좋은 일치정도를 나타내었다(T able
1.0 kg이었다. 투석의 효율에 따라 투석 후 혈중 요소
5, F ig . 1- 4).
질소 농도의 반등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K/ V > 0.35인
- 88 -
— 이종수 외 9인 : 혈액투석 중 채취한 검체를 이용한 Equilibr ated Kt/ V를 예측하는 방법 —
T ab le 5 . S t ati s tic al Com pari s on be tw e e n M e as ure d e Kt/ V P D U RR an d e Kt/ V E s tim ate d by S m y e ,
D aug irda s , T atte rs all F orm ul ae an d U s ing In tradi aly tic S am ple at 4 0 M inut e b e f ore E n d of
S e s s i on
Mean SD
△ %
r
LOA
Bias
95% CI
eKt/ V PDUR
eKt/ V T - 40 m in
eKt/ V Dau
eKt/ V T at
eKt/ V Sm ye
1.120±0.20
Ref.
Ref.
Ref.
1.120±0.20
2.57± 1.85
0.984
- 0.0708
0.07121
0.00022
0.0163
- 0.0159
1.135±0.21
3.50±2.57
0.972
- 0.1125
0.0837
- 0.014
0.0079
- 0.0367
1.134±0.22
3.66± 2.62
0.972
- 0.1160
0.0881
- 0.014
0.0093
- 0.0371
1.156±0.24
7.61±4.97
0.900
- 0.2473
0.1765
- 0.035
0.01287
- 0.0836
Ref.
Ref.
L OA : lim its of ag re em ent, CI : conf iden ce inte rval
F ig . 1 . A mp litude of lim its of ag reem ent of intradialy tic samp ling m e thod of es tim ation of
e quilibrate d K t/ V (eK t/ V) according to
B land and A ltman analy s is.
F ig . 3 . A mp litude of lim its of ag reem en t of T atte rsall m e thod of es tim ation of e quilibrate d
K t/ V (eK t/ V) according to B lan d and A ltm an analy sis.
고
찰
1980년대에는 혈액투석 후 혈중 요소질소 농도 반
등은 10% 이하였다가 고효율 투석기의 개발 등으로
투석효율이 향상됨에 따라 투석 후 요소질소 농도반
등은 증가하게 되었다13 ) . 본 연구에서 관찰된 투석 후
혈중 요소질소 농도의 반등은 17.2%이었고, Kt/ V는
13.5%가 과대평가 되었는데 다른 연구들과14 , 15 ) 비슷
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대상 환자들에게 고효
F ig . 2 . A mp litude of lim its of ag re em ent of D aug irdas m ethod of estim ation of e quilibrate d
K t/ V (eK t/ V) according to B land and A ltm an analy s is.
율 투석기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Kt/ V는 고효율 투석
기를 사용빈도가 많은 연구15 )에서와 투석 후 혈중 요
소질소 농도 반등의 정도가 비슷한 수준이었다. 이는
대상 환자들이 서구의 환자들과 비교하여 체격이 작
아 요소 분포 용적이 적고 또한 대상 환자들의 투석
간 과다한 체중 증가로 인한 투석 중 많은 양의 한외
- 89 -
— T he Korean Journ al of Nephrology : Vol. 21, No. 1, 2002 —
체의 요소질소 농도를 이용하여 투석 후 요소질소 농
도 반등 완료 후의 평형상태의 요소질소 농도를 예측
하는 공식으로 eKt/ V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mye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eKt/
V가 다른 방법들로 계산한 값보다 실제 관찰한 eKt/
V (eKt/ V PDUR)와 낮은 일치도를 보였고 이는 다른
연구들에서도 관찰할 수 있는 소견이어서
15 , 17 )
임상적
으로 사용하기에 제한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 at ter ssal 등 은 Smye 등의 두개의 평행한 선형로그
8)
직선에서 두 직선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시간의 차이는
투석 후 구획간의 용질 이동과 심폐 재순환(cardio-
F ig . 4 . A mp litude of lim its of ag re em ent of S m y e
m e thod of es timation of e quilibrate d K t/ V
(eK t/ V) accord ing to B lan d and A ltm an
analy sis..
pulm onary recirculation )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가정
하였으며 이 시간은 용질의 종류와 환자에 따라 일정
한 것을 관찰하여 이것을 patient clearance tim e이라
여과량으로 투석량이 증가 된 것에 의하였을 것으로
하였고 요소질소에서는 35분으로 관찰되어 이것으로
생각된다. 실제 대상 환자 21명 중 6명에서 고효율
보정한 공식으로 eKt/ V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투석에 해당되는1 6 ) K/ V > 0.35의 투석효율을 보였으
T atter ssal공식을 이용한 eKt/ V는 참고치와 비교적
며 이 환자들의 요소질소 농도 반등은 23.4±4.5%로
좋은 일치도를 보였으나, 본 연구 환자들을 대상으로
K/ V < 0.35 이하의 투석효율을 보인 환자들의 요소질
한 patient clearance tim e은 평균 42분으로 관찰되어
소 농도 반등(14.7±4.6%)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자료별도 표시 없음) patient clearance tim e은 환자
투석 후 요소 질소 농도 반등이 완료되는데는 30-
들간의 편차가 상당히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60분 정도의 시간이 경과되므로3 , 4 ) 실제 전달된 투석
본 연구에서 투석종료 40분 전에 채취한 검체의 혈
양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투석종료 후에 채취한 검체
중 요소질소농도는 투석종료 후 평형상태의 요소질소
를 이용하여야 하는데, 이를 실제 임상적으로 이용하
농도와 가장 근사한 값을 보였으며, 이 검체를 이용하
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근래에 투석 후 검체를 채취하
여 계산한 eKt/ V는 다른 방법들에서 보다 더 좋은
지 않고, 투석 후 요소농도 반등이 완료된 시점의
참고치와의 일치도를 나타내었다. Bhaskaran 등19 )은
eKt/ V를 예측하는 여러 방법들이 제안되었는데 Dau-
투석종료 30분 전에 채취한 검체의 혈중 요소질소 농
girdas 등7 )은 체내에 요소질소가 분포하는 장기의 혈
도가 투석종료 후의 평형상태의 요소질소 농도와 근
류량의 차이로 투석 후 요소질소 농도 불균형이 일어
사한 값을 보이는 것을 관찰하였는데 이 연구에서는
날 것이라고 가정하는 국소 혈류양 차이에 따른 2중
참고치인 평형상태의 혈중요소 농도 검체 채취시점을
구획 모형 을 제안하였으며, 요소질소 농도의 반등에
투석종료 30분 후로 하여 본 연구와 차이가 있었다.
따른 △Kt/ V는 투석의 효율을 나타내는 K/ V에 비례
투석 종료 30분 후에는 요소질소 농도 반등의 85±
하는 소견을 관찰하여 eKt/ V를 예측하는 회귀 공식
90% 정도만이 완료되고3 ) , P edrini 등18 ) 의 연구에서도
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Daugirdas공식을 이용
투석종료 평균 48분 후에 혈중 요소질소 농도 반등이
한 eKt/ V는 실제 관찰한 eKt/ V (eKt/ V PDUR)와 좋
완료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므로 본 연구에서의 검체
은 일치도를 보여 임상적으로 채택될 수 있는 방법으
채취시점이 더욱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8시간
로 생각된다. Smye 등5 , 6 ) 은 투석시작 80분 후부터는
의 고식적인 혈액투석 치료 중 적절한 검체 채취 시
동맥혈과 전체 체액의 요소질소 농도의 로그값이 투
점을 밝히기 위한 연구17 ) 에서도 본 연구에서와 유사
석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직선의 기울기가 동일하고
하게 전체 투석시간의 80% 시점에서 채취한 검체가
두 직선의 절편의 차이가 투석 후 요소농도의 반등이
투석종료 후 평형상태의 혈중 요소질소 농도를 가장
될 수 있는 것에 착안하여 투석 시작시점, 투석종료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이 이를 더욱 뒷받침하
시점 및 투석 중(투석시작 후 약 70- 90분 정도)의 검
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 90 -
— Jong Soo Lee, et al. : T he Method to Predict Postdialy sis Equilibr ated Kt/ V w ith Only Intr adialytic Urea Samples —
결론적으로 고식적인 4시간의 혈액투석 치료에서도
상당한 투석 후 요소질소 농도의 반등이 있어 spKt/
V는 실제 전달된 투석양을 평가하기에 부적합하며 투
석 중 채취한 검체를 이용하여 계산한 eKt/ V는 임상
적으로 정확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
되지만 향후 전체 투석시간을 달리하고 좀더 많은 환
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이를 더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A b s t ra c t =
T h e M e t h o d t o P re dic t P o s t di al y s i s
E q u i li b ra t e d K t/ V w it h On ly
In t ra di al y t ic U re a S am pl e s
J on g S oo Lee , M .D., Do H a Kim , M .D.
S eu n g W on Ch oi, M .D ., You n g Il K im , M .D .
J ae - Hoo P ar k , M .D ., S u - K il P ar k , M .D .
S a n g Koo Lee , M .D ., S e on H o Le e , M .D . *
Su n g Ry u l Kim , M .D. * an d J un g Sik P ar k , M .D .
0.001), T atter sal form ulae (eKt/ V T at =1.134±0.22, r =
0.972, p < 0.972, p < 0.001) and Sm ye form ulae (eKt/ V
Sm ye =1.156±0.24, r =0.900, p < 0.001) sh ow ed g ood
correlation w ith eKt/ V PDUR. eKt/ V c alculated by
the sam ple of 40 minute before end of session (eKt/ V
T - 40=1.120±0.20, r =0.984) h ad tendency of the best
correlation w ith eKt/ V PDUR. Am ong these different
meth ods, eKt/ V T - 40 h ad the best degree of ag reement w ith eKt/ V PDUR by Bland - Altm an an aly sis .
C o n c l u s i o n : Our result s sug gest th at the u se of
spKt/ V is n ot adequate t o estim ate the am ount of
delivered hem odialy sis d ose becau se of the ex istence
of significant postdialy sis urea rebound even conv entional 4 h our dialy sis . Intradialytic sampling m eth od
is a simple and accurate m ethod t o predict eKt/ V
for u se in clinical practice. (K ore an J N e phrol 20 0 2 ;
2 1 (1) :8 6 - 9 2 )
K e y W o rd s : P ost - dialy sis urea reb ound, Equilib rated Kt/ V, Kinetic urea, Dose of
dialy sis
참 고 문 헌
D ep artm ents of I nte rnal M edicine, D ep artm ent of
Clin ical P athology * , Colleg e of M e dicin e,
Univ ers ity of Ulsan, S e oul, Ulsan, K orea
P u r p o s e : P ostdialy sis urea rebound (PDUR) causes
the ov erestim ation of actu al am ount of delivered dialy sis in Kt/ V from single pool urea kinetic . T o c orrect PDUR and predict equilibrated Kt/ V (eKt/ V )
s ome m ethods h ave sugg ested by Daug irdas, et al.,
Sm ye, et al. and T attersall, et al. T he purposes of
this study w ere t o determ ine the optim um intradialytic urea sample tim e th at fits best w ith PDUR
and t o com pare calculated Kt/ V by this sam ple w ith
the different other m ethods .
M e t h o d s : T he subject s w ere 21 patient s w h o
w ere dialyzed at three tim es 4 h ours w eekly , u sing
bicarbon ate and cellulosynthetic m embranes . Blood
s amples t o m easure BUN w ere obtained at initiation
of dialy sis session and then at 80, 120, 180, 200, 210,
220 minutes, and the end of dialy sis session tim es
and then at 45 m inutes of postdialy sis . We com pared
four different m eth ods of eKt/ V w ith the equilibr ated
45- minute PDUR Kt/ V (eKt/ V PDUR) as the reference m eth od .
R e s u l t s : T he m ean PDUR w as 17.2±6%. spKt/ V
and eKt/ V PDUR w as 1.300±0.24 and 1.120±0.20
respectively , leading t o ov erestim ation of actu al delivered Kt/ V by 13.5±5% . T he best tim e for intr adialytic sampling to fit w ith PDUR BUN w as 40
m inute before the end of session . eKt/ V by Dau g irdas formulae (eKt/ V Dau =1.315±0.21, r =0.972, p <
- 91 -
1) Depner T A : Refining the m odel of urea kinetics :
Com partm ent effect s . S em in D ial 5 :147- 154, 1992
2) Depner T A : Multicom partm ent m odels, in Prescribing Hem odialy sis : A Guide t o Urea M odeling ,
edited by Depner T A . Bost on , Kluw er Academ ic
Publisher s, 1993, p92- 126
3) Daugirdas JT , Depner T A , Gotch F A , Greene T ,
Keshav iah P , Levin NW , Schulm an G, HEM O
Study Group : Com parison of m eth ods t o predict
equilibr ated Kt/ V in the HEM O pilot study . K id ney I n t 5 2 :1395- 1405, 1997
4) Leblanc M , Chardonneau R, Laulumiere G, Car tier P , Deziel C : P ostdialy sis urea reb ound : Determ in ants and influence on dialy sis delivery in
chronic hem odialy sis patients . A m J K idn ey D is
27 :253- 261, 1996
5) Smy e SW , Ev an s JHCC, W illis E, Brockleb ank
JT : P aediatric haem odialy sis : estim ation of treat m ent efficiency in the presence of urea rebound .
Clin P hy s P hy s iol M eas 13 :51- 62, 1992
6) Smy e SW , Dunderdale E , Brow nridg e G, W ill E :
E stim ation of treatm ent d ose in hig h - efficiendy
h aem odialy sis . N ep hron 67 :24- 29, 1994
7) Daugirdas JT , Schneditz D : Overestim ation of
hem odialy sis dose dependent on dialy sis efficien cy by reg ion al blood flow but not by conv en tion al tw o pool urea kinetic an aly sis . A SA I O J
4 1 :M719- 724, 1995
— 대한신장학회지 : 제 21 권 제 1 호 통권 제 73 호 2002 —
8) T atter sall JA, Det akat s D, Cham ney P , Greenw ood RN, F arring t on KL : T he post - hem odialy sis
reb ound : Predicting and qu antifying its effect on
Kt/ V . K idney I nt 50 :2094- 2102, 1996
9) Daugirdas JT : Second g eneration log arithmic
estim ates of sing le pool v ariable v olum e Kt/ V :
An an aly sis of error . J A m S oc N ep hrol 4 :12051213, 1993
10) Jindal KK, Goldstein MB : Urea kinetic m odeling
in chr onic hem odialy sis : Benefit s, pr oblem s, and
practical solution s . S em in D ial 1 :82- 85, 1988
11) W at son PE, W ats on ID, Batt RD : T otal body
w ater v olum es for adult m ales and fem ales estim ated from simple anthr opometric m easurem ent s .
A m J Clin N utr 33 :27- 39, 1980
12) Bland JM , Altm an DG : St atistical m eth ods for
assessing agreement betw een tw o meth ods of
clinic al m easurem ent . L ance t 1 :307- 370, 1986
13) Albouze G, Yan ai M , Calam ai M , T estou D,
Jung er s P , M an NK, Robinet M : Urea rebound
and residu al ren al function in the calculation of
KT / V and protein cat ab olic rate . K idney I nt 43
(Suppl 41):S278- S 281, 1993
14) Jean G, Chazot C, Ch arr a B, T errat JC, Vanel T ,
Calem ard E , Laurent G : Is post - dialy sis urea reb ound sig nificant w ith long slow hem odialy sis?
B lood P urif 16 :187- 196, 1998
15) Maduell F , Garcia_Valdecasas J, Garcia H, HdezJar as J, Sig uenza F , Del P ozo C, Giner R, M oll
R, Garrig os E : Validation of different meth ods t o
calculate Kt/ V c on sidering postdialy sis reb ound .
N ep hrol D ial T ransp lant 12 :1928- 1933, 1997
16) Spiegel DM , Baker L, Babcock S : Haem odialy sis
urea reb ound : the effect of increasing dialy sis efficiency . A m J K idney D is 25 :26- 29, 1995
17) Jean G, Charra B, Ch azot C, Laurent G : Quest
for postdialy sis urea reb ound - equilibr ated Kt/ V
w ith only intradialytic urea samples . K idn ey I nt
56 :1149- 1153, 1999
18) Pedrini La, Zereik S , Ram sy SL : Cau ses, kinetics
and clinical im plication sof post - hem odialy sis urea
rebound . K idney I nt 34 :817- 824, 1988
19) Bhask aran , S , T obe S , Saiph oo C, M old oveanu
A , Raj DS , M an NK, Robinet M : Blood urea
lev els 30 minutes before the end of dialy sis are
equiv alent t o equilibrated blood urea . A SA I O J
43 :M759- 762, 1997
- 9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