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역T형 기초

2. 역T형 기초
- 98 -
2.1 역T형 기초 작업 흐름도
- 99 -
2.2 공종별 표준작업 절차서
2.2.1 굴착 작업
2.2.2 흙막이 작업
[널판 흙막이]
2.2.3 각입[앵글재] 작업
2.2.4 철근 조립작업
2.2.5 거푸집 작업
2.2.6 콘크리트 작업
- 100 -
표 준 작 업 절 차 서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송전 가공분야
시행일자 :
2.2.1 굴착 작업
SOP-FT-IT01
개정일자 :
1. 굴착 준비
1.1 작업 책임자를 선임한다.
1.작업
순서
1.2 철탑부지가 경작지인 경우에는 지표부의 경작토를 다른 토사와 섞이지 않도
처리한다.
1.3 굴착 바닥면이 침하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지반인지를 확인한다.
1.4 시공완료 후 지표부의 경작토로 원상복원 한다.
D
중심점말뚝
굴착기초
ℓ1
2.작업
ℓ2
설명도
그림 2 굴착위치 확인
그림 1 굴착준비 상태
3.1 역T형 기초공사 개요
(1) 역T형 기초는 송전용 철탑의 기초방식 중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초방식이다.
(2) 적용되는 개소도 산악지, 임야, 경작지 등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기초하중을
지지하는 지층이 지표면으로부터 비교적 얕은 위치에 존재하는 지반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3) 철탑으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대해 기초구체 주변의 지반내력에 직접적으로
3.주요
의지하는 기초 형이며, 구조가 단순하고, 시공이 쉬운 합리적인 형상이다.
착안
(4) 철탑으로부터의 하중 중에서 압축력에 대해서는 굴착이 완료된 바닥면의
사항
지반지지력에 의존하므로 굴착작업 시 예정 굴착 깊이의 바닥면 부근에
서는
중기 등에 의한 굴착으로부터 인력에 의한 굴착으로 전환하여 예정 깊
이보다 과잉 굴착하거나 바닥면이 불규칙하게 되지 않도록 한다.
(5) 굴착 바닥면이 충분한 지반내력을 갖고 있어서 유해한 침하현상이 발생하
지 않는 지반인지를 확인한다.
(6) 기초상판 부 주위 면이 원 지반에 잘 밀착하도록 시공한다.
(7) 되 메우기 작업에 있어서는 되 메우기 부분이 주변 원 지반 흙의 강도와
같은 정도로 되도록 다지기를 충분히 실시하여 시공해야 한다.
- 101 -
SOP-FT-IT01 굴착 작업
3.2 굴착준비사항
(1) 철탑부지가 경작지인 경우에는 지표부의 경작토를 다른 토사와 섞이지 않
도록 별도로 처리하여 시공완료 후 원상복원 시 사용한다.
(2) 중심점 말뚝에서 ℓ1과 ℓ2 및 굴착기초의 폭 D를 실제 측정하여 굴착위치
를 최종적으로 확인한다.(그림 2)
(3) 발파작업시 자격증을 보유한 화약기술자를 선임한다.
(4) 굴착한 흙을 가적치하는 위치는 굴착 기초에서 약 2m 이상 떨어진 장소에
1.5m 정도 이하의 높이로 성토할 수 있도록 한다.
(5) 굴착기초 주위에는 전락방지용 울타리와 각종 가설공사, 작업용 출입구 등
의 안전시설을 배치한다.
2. 굴착작업
1.1 굴착작업
(1) 굴착기의 운전은 건설기계 또는 중장비 면허 소지자가 해야 하며, 굴착기
의 수리, 부속품의 취급 작업은 작업지휘자를 정해서 실시한다.
(2) 굴착기의 이동경로, 설치장소에는 불안정한 성토, 동결토의 융해, 용수 개
소, 빗물 등에 의한 붕괴, 균열, 함몰이 생기지 않도록 필요에 따라 보강
작업을 실시한다. 무너질 우려가 있는 곳은 가설재를 깔아 기계하중을 분
산시킨다.
(3) 기종에 따라서 운전자가 기초 내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흙막이에 버켓(Bucket)이 접촉하지 않도록 유도원을 배치한다.
또 한 기계 가동 중에는 기초 안에 작업원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4) 굴착기초 사면에 돌이 있는 경우는 제거하거나 기계의 진동 등에 의해 떨
1.작업
순서
어지지 않도록 조치를 취한다.
(5) 굴착기의 회전반경 내에 사람이 서 있지 않도록 하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
해 굴착기초 내부의 작업책임자와 운전자와의 연락은 신호를 정해서 실시한다.
(6) 굴착법면의 구배는 보통토사 1 : 0.5, 암 1 : 0.3을 표준으로 하며, 굴착저
면의 폭은 구조물 규격으로부터 약 50cm의 여유 폭을 두고 굴착한다.
(7) 한 번에 굴착하는 토량은 1회 배토하기에 적당한 양만큼을 파고, 인력굴착
인 경우에는 가장자리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8) 지반이 연약하여 굴착법면의 붕괴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흙막이공사와 굴착
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굴진한다.
(9) 기계굴착은 1회 작업 굴착량이 크고, 구석부분 굴착이 곤란해서 중심부를
과 굴착할 수 있으므로 목표 깊이 근처에서는 과 굴착되지 않도록 한다.
(10) 굴착 개소의 중심부에서 목표깊이가 가까워지면 기계굴착을 중지하고 인
- 102 -
SOP-FT-IT01 굴착 작업
력 굴착으로 마감 작업을 실시한다.
(11) 착암기는 콤프레샤 용량에 적합한 대수를 사용하고, 암질에 적합한 비트
의 형상과 강도의 것을 사용한다. 또한 비트가 암반의 틈에 끼이지 않도
록 주의하여 작업하고, 방진마스크 및 노동관계법에 의한 진동 장애 예방
장치를 갖추고 작업한다. 착암기는 비트를 교환함에 따라 작업내용을 변
경할 수 있다.
(12) 시가지 지역이나 그 근방에서 작업할 경우에는 굴착기 등의 사용 시 소음․
진동 등에 관한 민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13) 굴착공정 중에 강우 등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경우는 굴착작업 개시
전에 굴착법면과 흙막이 상태, 주변지반의 상황 등을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
(14) 기초굴착을 완료하고 기초 잡석을 부설하기 전에 줄자 또는 스태프
(staff)를 사용하여 설계도면대로 굴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때의 판정
기준은 굴착저면의 폭은 설계치수의 ± 20cm 이내, 굴착 깊이는 ± 5cm 이
내를 허용 한도로 한다.
목
표
깊
이
기계굴착 중지선
인력굴착 부분
약 50cm
그림 3 기계굴착 중지선
그림 4 착암기
2.작업
설명도
그림 5 백호우 굴착장면
3.1 굴착기의 위치
3.주요
착안
사항
(1) 굴착기의 중량과 가동시의 진동 등에 의한 굴착기초 사면의 붕괴를 방지
하고, 흙막이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설치한다.
(2) 경사지역인 경우에는 절취하여 평평하게 하고, 연약한 지반은 널판 등으로
- 103 -
SOP-FT-IT01 굴착 작업
받침대를 설치한다.
(3) 굴착기를 설치할 지형의 한계경사각은 30°로 한다.
(4) 굴착기는 지형 지반에 적합한 것을 선정하고, 일반적으로 파워쇼벨, 크람
쉘, 백호우 등이 사용된다.
(가) 파워쇼벨 : 차체보다 상부의 굴착에 적합한 것으로서 차체와 반대측을 굴착한다.
(나) 크람쉘 : 입구가 작아도 사용가능 하고, 파쇄암석과 연약지반의 굴착에 적합하다.
(다) 백호우 : 차체보다 하부의 굴착에 적합하고, 비교적 단단한 지반에 사용
할 수 있으며 차체측을 굴착한다.
그림7 크람쉘
그림6 파워쇼벨
그림8 백호우
2.1 발파굴착
1.1 천공
(1) 천공작업은 자격이 있는 자가 한다.
(2) 최소의 화약을 사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천공위치를 계획한다.
(3) 천공은 착암기와 비트로 실시하고, 비트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암기와
비트 중심을 항상 일치시킨다.
(4) 천공의 깊이는 암층과 암질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 0.5m로 하고, 천공의 수는
연암인 경우 2~3개/㎡, 경암인 경우 3~4개/㎡ 정도를 기준으로 한다.
1.작업
순서
(5) 천공 구멍은 50~80cm 정도 간격으로 설치하고, 중앙을 제외하고는 경사지게
천공한다. 또한 천공구멍은 공기를 불어넣어 돌가루를 제거한 후 구멍에
토사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구멍입구를 막아둔다.(그림 10)
1.2 장전
(1) 폭약은 일반적으로 1포 45g 약량의 것을 사용한다.
(2) 지상에서 폭약에 뇌관을 장착해서 여기에 도화선을 접속한다.
(3) 폭약을 천공한 장전구멍에 장전구로 마찰, 진동, 정전기 등이 일어나지 않
도록 밀어 넣는다. 이 때 도화선이 절단되지 않도록 한다.
(4) 폭약을 장전한 구멍의 공극에 모래, 점토, 석분 등의 방화, 인화의 위험이
없는 것으로 완전히 충전한다.
- 104 -
SOP-FT-IT01 굴착 작업
(5) 폭약의 장전은 통상 1구멍에 1포, 특별히 암질이 단단한 경우에는 1구멍에
2포 정도로 한다.
1.3 결선
(1) 화선은 굴착현장의 상황과 1회의 발파 량에 따라 대피시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점화자가 점화 후 대피할 충분한 길이로 한다.
(2) 도화선의 연소속도는 표준으로는 1m 당 2분± 20초로 정해져 있으나 안전
을 위해서 100초/m로 한다.
(3) 화약류는 화기에 유의하고 충격을 주거나, 던지거나, 떨어뜨리지 않도록 한다.
(4) 전기뇌관은 전지, 전선, 전기모터, 기타의 전기설비 부근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1.4 발파
(1) 발파작업은 작업지휘자의 지휘로 한다.
(2) 작업자에게 위험구역, 대피장소 및 경로, 점화장소를 지시한다.
(3) 위험구역의 경계는 출입금지표시를 설치하고, 감시원을 배치하여 대피를 확인한다.
(4) 잘못한 결선, 결선누락, 회선의 단선 등 반드시 도통시험을 하여 이상 유
무를 점검한다.
(5) 발파석에 의한 위험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천이나 철망 또는 복토로 비산방지
처리를 한다.
(6) 발파 후는 전기발파 5분, 도화선발파 15분 이상 경과하지 않으면 발파장소
로 접근하면 안된다.
(7) 전기발파를 행한 경우에는 미리 누설전류의 유무를 검사하고, 발견된 때에는
작업을 중지하고 그 원인을 조사해 제거시킨다.
(8) 천둥발생 시에는 화약의 취급을 중단한다.
(9) 수중발파 시에는 비산과 진동이 심하므로 비산방지에 특히 유의한다.
(10) 발파의 종류는 도화선식과 전기식이 있으며, 그 특징은 (표1)과 같다.
2.작업
설명도
그림 9 백호우 굴착
그림 10
발파 천공
1.1 발파 굴착 일반사항
3.주요
착안
사항
(1) 화약류의 보관, 운반, 발파작업 등은 총포․화약류단속법 동시행령에 의거 각 종
인허가를 받아야 한다.
(2) 자격증을 보유한 화약기술자를 선임한다.
- 105 -
SOP-FT-IT01 굴착 작업
(3) 폭발물을 보관하는 용기를 취급할 때는 불꽃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철제기구나
공구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4) 화약류는 해당 사항에 대해 양도 양수 허가증의 수량에 의해 반입하고 사
용시 필요한 분량만을 용기로부터 반출하여 즉시 사용토록 한다.
(5) 폭파작업의 순서는 천공, 장전, 결선, 점화의 순서로 진행한다.
(6) 발파 시 주변에 진동, 파열, 도괴 및 비산 등에 의한 피해가 예상되는 경우
는 지연 발파를 도입하고, 진동계측기를 설치하여 기록해 두고, 주변을 사진촬영
하여 분쟁 시 증거물로 확보한다.
3.2
발파 불발시의 처리
(1) 불발된 발파구멍에서 0.6m 이상 (인력인 경우 0.3m 이상)의 간격을 두고
평행으로 천공하여 발파하고 불발 약을 회수한다.
(2) 불발된 발파구멍에서 고무호스 등에 의한 수류로 이물질 및 약류를 흐르게
해 불발 약을 회수한다.
(3) 불발된 발파 구멍에서 고무호스 등에 의한 수류 또는 압축공기로 이물질을
흐르게 하거나 전기뇌관에 이르지 않도록 조금씩 조용하게 이물질의 대부
분을 파낸다. 그 후 새로운 약포에 전기뇌관을 설치한 것을 잔 약 위에 장
전하여 재 점화한다.
(4) 파손 또는 깨진 약포나 뇌관류가 있는 경우에는 책임자의 지시를 받아 처리한다.
3.3
발파의 종류 및 특징
표 1 발파의 종류 및 특징
도 화 선 식
전 기 식
점화
점화는 개개의 도화선에 직접 한번에 폭파시킬 폭약은 한 전기회로에 접
한다.
속시켜 한번의 스위치로 한다.
발파
개개의 도화선에 각각 발파한 한 회로에 접속시킨 폭약은 동시에 발파한
다.
다.
대피
도화선 길이에 따라 폭파까지 전기회로의 리드선을 길게하여 대피장소까
시간을 정한다.
지 스위치를 가지고 온다.
확인
한 전기계통이므로 한 개소의 고장으로도
발파음의 수로 장전한 수와의
거의 발파하지 않는다. 결선누락으로 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불발 폭약이 남을 위험이 있다.
2.2. 배토작업
1.1 간이 데릭을 설치한다.
1.작업
순서
(1) 설치장소를 정비한다.
(가) 간이 데릭 주기둥의 설치장소가 경사지인 경우에는 절토하여 평탄하게 한다.
(나) 지반이 연약한 경우는 콘크리트 등으로 설치대를 세운다.
- 106 -
SOP-FT-IT01 굴착 작업
(2) 지선 앵카를 설치한다.
(가) 간이 데릭의 지선 수는 6개소 이상이 되므로 앵카도 지선과 동수인 6개소
이상을 설치한다.
(나) 앵카는 지선 장력에 적합한 스크류 앵카, 근가 목, 콘크리트근가 등을 매설한다.
(3) 주주를 세워 붐을 세트시킨다.
(가) 주주의 기초를 단단히 고정, 설치한다.
(나) 주주의 세움과 동시에 지선을 당겨 앵카를 묶는다.
(다) 주주에 붐을 세트한다.
(4) 원동기 윈치, 활차, 와이어 등의 인상장치를 세트한다.
(5) 인상장치를 세트한 후 가 물건으로 들어 올리는 시험을 실시한다.
원동기
주주
윈치
2.작업
설명도
붐대
와
이
어
로
프
굴착토
리트프
버켓
버켓
그림 11 데릭식 배토
그림13 굴착기에 의한 배토
그림 12 리프트식 배토
3.1 배토장치의 특징
표2 배토장치의 특징
배토
설비
장
점
단
점
비
고
데릭식
-설비가 간단, 조립,해체가 용이 -지선이 필요, 경사지에는 불편
-1회반출량이 많고,리프 트 -전담 운전자, 감시자, 흔들림
식에 비해 반출속도가 빠르다. 을 막는 조작자 필요
-굴착토의반출,흙막이,철근 -짐을 매달 때 와이어의 요동으
의 반입 등 용도가 넓다.
로흙막이 등에 접촉할 우려가
-탑내 하역설비로 사용가능 있다.
버켓의 반출입
에는 센타케이
싱 등과 병용
하면 효과적이다.
리프
-승강위치가 한정되어 있으 -적재량 적고, 리프트 승강속도 늦다.
므로 넓은 면적을 필요로 하지 -전석 등의 반출입 불가
않는다.
-굴착깊이가 깊으면 배토능력이
-버켓에 과적하지 않으면 떨어진다.
안정성이 높다.
구멍반경이 크
면
복수개의
리프트를 설치
할 수 있다.
3.주요
착안
사항
-굴착에도 사용할 수 있다. -행동범위가 지형조건에 따라 대형 심형기초로
입지조건이 좋은
굴삭기계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약을 받는다.
-고가이다.
장소에는효율이좋다.
캐리어
-시공 탑각이 한정된다.
-반출하중이 크다.
-전담 운전자, 감시자, 조작자 필요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짐을 매달 때 와이어의 요동
-탑내처리에도 사용 가능
으로 흙막이 등에 접촉할 우려가
있다.
- 107 -
센타 케이싱과
병용할 수 있
다.
탑내 하역설비
로 이용가능
SOP-FT-IT01 굴착 작업
2.3. 용수가 있는 장소의 굴착
1.1 펌프, 호스, 원동기 등 배수설비를 현장에 준비한다.
1.작업
순서
1.2 굴착 중 용수량이 많은 경우엔 중지하고, 굴착공법을 재검토한다.
1.3 굴착 중에는 항상 펌프 흡입장소를 설치한다.
1.4 지상으로의 배수장소를 검토한다(그림14)
1.5 수중펌프에는 감전방지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2.작업
설명도
그림15 배수시설
그림14 배수설비
3.1 보통의 널판흙막이 굴착이 가능한 용수량은 대략 0.5~0.7 ㎥/분이고, 이 이상의
용수량이 있는 경우는 굴착공법의 변경을 검토한다.
3.2 굴착하는 단계마다 펌프의 흡입구를 넣을 수 있도록 장소를 마련한다.
3.주요
3.3 흡입구를 넣는 장소는 작업 중인 지반보다 30cm 정도 낮게, 크기는 4각 50cm 한다.
착안
3.4 굴착기초가 크고, 용수량이 많은 경우는 2개소에 양수장소를 마련한다.
사항
3.5 굴착기초 근처로 배수하면 그 물이 지반에 침투하여 지반이 약해져 굴착 측
면의 붕괴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3.6 점토 등이 섞인 물을 방류하면 농지와 하천을 오염시켜 지역 환경적으로 악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침전 조 등을 설치하여 이를 사전에 방지해야 한다.
2.4. 배기가스 등의 처리
1.1 작업 전에 산소농도를 측정한다.
1.작업
순서
1.2 산소량은 18 % 이상으로 한다.
1.3 발파 후 반드시 환기설비를 작동시킨다.
1.4 가스배출을 한 후 작업을 시행한다.
1.5 환기가 잘 안 되는 장소에서는 환기가 충분히 되도록 조치한다.
2.작업
-
설명도
3.주요
3.1 굴착기초 안에서 내연기관을 내장한 착암기, 펌프, 램머 등을 사용할 경우
- 108 -
SOP-FT-IT01 굴착 작업
는 환기대책을 세워야 한다.
착안
3.2 지상에 송풍기를 설치해서 호스를 기초 안으로 넣어 강제 송풍하는 방법이
사항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3.3 굴착기초가 깊어졌을 때는 작업 전에 유독가스의 유무, 산소농도 등을 측정한다.
2.5 수중 굴착
1.1 배수 및 작업방법에 대해서 검토를 한다.
1.2 암반이 아닌 경우는 경사면에 도수로, 산마루측구 등 배수시설을 설치한다.
1.작업
순서
1.3 제3자가 근처를 통행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가설방책 등 안전시설과 안전
표지 판을 설치한다.
1.4 수중펌프나 전동기기를 사용할 경우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하고 작동여부를
확인한다.
2.작업
설명도
그림 16 수중굴착장면
3.1 수중 굴착기는 토질에 적합한 것을 선정한다.
3.2 수중 지반의 고저는 연결봉으로 조사해서 높은 장소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실시한다.
3.주요
착안
사항
3.3 물을 많이 포함한 토사를 사토장에 쌓으면 물이 침투하여 지반이 연약하게
되므로 파 올린 토사는 물기를 제거해야 한다.
3.4 굴착기초의 구석 부분은 굴착이 어려우므로 조심스럽게 작업한다.
3.5 수중 굴착의 경우는 바닥다지기를 하면 지반을 연약하게 하므로 잡석을 넣
기 까지 다지기를 하지 않는다.
3. 기초 지반내력 확보 작업
1.1 바닥다지기를 시행한다.
1.작업
순서
(1) 파헤쳐진 흙은 바닥에 남지 않도록 긁어모아 밖으로 배토시킨다.
(2) 굴착기초 내의 굴러다니는 흙과 잡석들은 밖으로 내보낸다.
(3) 기초내의 흙을 정리하고, 측정 기구를 이용하여 F.L로부터의 굴착 깊이를
확인하고, 기초의 구석까지 평탄하도록 바닥면 고르기를 한다.
- 109 -
SOP-FT-IT01 굴착 작업
(4) 나무 햄머나 램머 등으로 바닥을 잘 다진다.
(5) 용수가 있는 점토층에서는 바닥다지기를 하면 오히려 지반이 연약하게 되므로
바닥다지기를 생략한다.
1.2 기초 잡석 깔기를 시행한다.
(1) 잡석 부설 및 다지기
(가) 잡석을 깨끗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굴착기초 안에 넣는다.
(나) 잡석은 끝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세워서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부설한다.
(다) 잡석은 1층으로 설계두께가 되도록 하고, 작은 잡석은 2층, 3층으로 해
서 설계 두께를 채우는 시공을 해서는 안 된다.
(라) 잡석을 부설하고 일반적으로 채움 자갈을 잡석의 틈에 완전히 채운다.
(마) 채움 자갈을 채우고 나면 지반과 기초재가 잘 접촉되도록 하기 위해 나
무망치나 램머로 충분히 다진다.
(바) 채움 자갈 대신에 콘크리트를 채울 경우는 잡석만을 잘 다진다.
(사) 연약지반에서 경미한 용수가 나오는 경우는 굴착 완료 후 바로 잡석을
시공해야 하지만, 용수 분출량이 많을 경우에는 펌프 등으로 고인 용수
를 배출시켜야 하며, 버림 콘크리트 위로 용수가 분출되지 않도록 조치
한다.
(아) 용수 분출량이 극단적으로 크면 용수 뽑기 관정을 삽입하여 비닐호스 등
으로 기초 체 바닥 밖으로 용수 관을 매설한 후 배수하면서 기초 체 콘크
리트 타설시 용수가 콘크리트내로 침입하지 않도록 조치한다.
(자) 다지기에 따라서 오히려 지반이 약해지는 고결점토 등의 지반은 쌓기에
따라 잡석자체가 무의미해지기 때문에 충분히 주의를 요한다.
1.3 버림 콘크리트(Lean Concrete)를 타설한다.
(1) 과 굴착한 경우 기초 잡석으로 설계 깊이를 유지하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적당량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설계깊이를 유지시킨다.
(2) 버림 콘크리트의 타설은 “ 콘크리트공사”에 준하여 실시한다.
1.4 기초 지반의 내력을 측정한다.
(1) 스웨덴식 사운딩에 의한 내력측정
(가) 길이 80cm의 로드 끝에 스크류 포인트를 설치(부착)하고, 끝에서부터
50cm 정도에 적재용 클램프 아래면을 맞춘 후 밑의 판을 통하여 수직으로
세운다.
(나) 로드가 땅속으로 뚫고 들어가는가를 확인하고 들어갈 경우에는 적재용
클램프 중량 5kg에 대한 관입 량으로 기록한다.(그림17)
(다) 그 다음 10kg의 추를 적재하고 멈출 때까지 관입 량을 구해 총하중 15kg
에 대한 관입 량으로 기록한다.
(라) 하중을 점차 늘려가며 앞의 조작 및 기록을 반복한다. 추의 종류는 10kg
- 110 -
SOP-FT-IT01 굴착 작업
이2개, 25kg이 3개 있으며, 여기에 클램프 자체 중량 5kg을 합해서 총
100kg 이 된다. 추의 적재단계는 5, 15, 25, 75, 100kg의 5단계이다.
(마) 적재용 클램프가 기초계획높이에 이르면 추를 제거하고, 로드가 부족하
면 잇고, 클램프를 50cm 인상하여 앞의 사항과 같은 조작을 실시한다.
(바) 스크류 포인트가 단단한 지층에 이르고, 관입량 5cm당 반회전수가 50회
이상이 될 경우엔 측정을 중지한다.
(2) 자동식 동적 콘 관입 시험기에 의한 내력측정
(가) 동적 콘 관입시험기의 타격과 관입량 기록을 자동화한 타입으로 변위계
에 의해 자동 기록한다.
(나) 원추형 콘을 붙인 로드(Rod)를 수직으로 유지한다.
(다) 콤푸레샤에 접속한다.
(라) 30kg의 햄머를 에어로 매달아 올린다.
(마) 35cm 높이에서 자유낙하 시킨다.
(바) 로드를 10cm 박는데 필요한 타격횟수를 계측한다.
(사) 시험결과를 기록, 정리한다.
(아) 측정된 값에서 N값을 환산할 경우 각 토질에 따른 N값 환산식을 이용하여 구한다.
(3) 소형 동적 관입 시험기에 의한 내력측정
(가) 5kg의 햄머를 50cm 높이에서 자유낙하 시키고, 로드를 10cm 박는데 필요
한 타격 횟수를 계측하는 방법이다.
(나) 타격횟수의 기록, 정리 및 N값 환산 등은 자동식 관입시험 방법과 같다.
2.작업
설명도
그림 17
3.주요
착안
스웨덴식 관입시험
그림18 콘페네트로 미터
3.1 기초 잡석 시공 준비
(1) 소정 크기(일반적으로 10~30cm, 표준은 15cm)의 자연잡석이나 천연석을
- 111 -
SOP-FT-IT01 굴착 작업
적당한 크기로 깬 돌로 입도가 양호하고 내구력이 있는 잡석을 준비한다.
채움자갈 또는
버림 콘크리트
잡석
잡석의 크기
( 10- 30cm)
그림19 기초 잡석
사항
(2) 굴착이 완료되면 굴착기초 부근으로 옮겨 놓는다.
(3) 굴착 바닥다지기 후 붕괴된 토사나 고인 물 등은 완전히 제거한다.
3.2 기초 지반의 내력측정의 준비
(1) 간이 관입시험기의 사양을 확인하고, 사양서에 근거하여 적응 토질, 측정
심도, 측정치 정밀도 등으로 시험 목적에 적합한 기종을 선정한다.
(2) 대부분의 간이 관입시험기가 시료채취를 할 수 없으므로 시료의 채취를
필요로 하는지를 확인하여 필요하면 준비한다.
(3) 휴대용 콘패네트로 미터는 심층탐사에 적합하지 않으나 간단한 내력측정에는
적합하다.(그림18)
- 112 -
표 준 작 업 절 차 서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송전 가공분야
2.2.2 흙막이 작업
시행일자 :
SOP-FT-IT02
(널판 흙막이작업)
개정일자 :
1. 흙막이 설계 및 재료
1.1 흙막이 설계
(1) 설계조건
(가) 설계구조도를 기초로 굴착 폭 및 굴착 깊이를 결정한다.
(나) 토질조건 및 지하수위는 보링 주상도를 참조한다.
(다) 굴착기초 주변에 건설기계와 굴착 토 등의 중량이 가해지는 것을 고려하
여 흙막이재의 강도를 검토한다.
(2) 흙막이 설계
(가)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흙막이를 설계한다.
① 측압(토압, 수압)에 충분히 견딜 것
② 굴착장소의 주위나 굴착저면 지반의 붕괴에 대해 안전할 것
③ 근접구조물 또는 매설물에 침하 등의 장애를 주지 않는 견고한 장소일 것
(나) 흙막이 설계에 근거하여 흙막이 조립도를 작성한다.
1.2 흙막이 재료
(1) 목재널판
1.작업
순서
두께 3.5~5.0 cm, 폭 20~30 cm, 길이 2~4 m의 소나무를 사용한다.
(2) 경량 강 널판
인발에 저항이 적고, 목재널판에 비교해서 누수, 토사의 유출이 적으며,
더구나 손상이 적기 때문에 반복사용이 가능하다.
(3) 강 널판
경량 강 널판에 비해 보다 대규모인 흙막이에 사용하는 형상으로서 단면
성 능의 예는 (표2)와 같다.
(4) 목재 띠 장
(가) 보통 원형 또는 각재의 소나무를 사용하고, 나무의 굵기(강도)는 흙막이
폭, 띠 장 간격, 내부 버팀 재의 유무, 보조기 등의 유무 등에 따라 달
라지나, 최소 20cm 정도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나) 띠 장의 구석이음은 “상결형”과 “45도형”이 있고, 45도형은 소규모
흙막이의 내부 버팀 재와 보조기둥을 이용하지 않을 때 사용하고, 상결
형은 내부 버팀재와 보조기둥을 사용하고, 띠장재 양단의 전단력이 적은
경우에 적용한다.
(다) 외부 토압력이 큰 경우에는 띠장 재의 간격을 좁게 하지만 보통
- 113 -
SOP-FT-IT02 흙막이 작업(널판 흙막이)
1.0~1.5m
정도로 한다.
(5) 강재 띠 장
(가) 흙막이 규모와 외부토압이 크게 되면 목재로서의 강도에 한도가 있기 때
문에 (표 3)의 H형강을 써서 강도상 신뢰성이 있는 띠 장으로 한다.
(나) 띠 장의 길이는 흙막이 벽의 마감치수보다 약간 짧은(일반적으로 0.1~0.2m정도)
것으로 한다.
(6) 긴 통나무, 내부버팀목, 보조기둥
(가) 긴 통나무는 띠 장의 종 간격을 네 모서리 모두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
여 사용하고, 띠 장 재에 따라 목재, 강재를 거의 같은 정도의 것을 사
용한다.
(나) 내부 버팀 재, 보조기둥은 흙막이 규모가 큰 경우에 띠 장의 보강을 위
해 사용되고, 띠 장 재와 같은 정도의 것을 사용한다. 또 띠 장은 그 강
도에 적절한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확실히 조립한다.
그림 2 경량강 세로널판 공법
그림 1 목재 세로널판 공법
2.작업
설명도
그림 3 강널판, 시트파일 세로널판공법
그림 5 널말뚝 공법
그림 4 가로 널판공법(목재+H강)
그림 6 흙막이 공법
- 114 -
SOP-FT-IT02 흙막이 작업(널판 흙막이)
3.1 흙막이 공법의 선정
(1) 역T형 기초의 시공은 비교적 양호한 지반의 홍적층의 구릉지나 산지, 지하
수가 작은 경작지 등에서의 굴착이다.
(2) 흙막이는 굴착규모, 지형, 토질, 지하수 등의 조건을 고려하여 공법을 선정한다.
(3) 역T형 기초에 적용되고 있는 흙막이 벽재, 지지재 및 적용실태는 표1 과 같다.
표1 흙막이 재료의 종류 및 적용실태
흙막이 벽 재료
지지재
목재널판
적용실태
목재(각재, 통나무)
4각기초 또는 상판부에 적용
경량강널판
강재(H형강 등)
소형기초에 적용
강널판
강재(H형강 등)
대형기초에 적용
엄지말뚝(H강)
횡널판(목재)
강재(H형강 등)
지반상태가 좋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적용
(4) 연약지반이나 지하수가 풍부한 지반 등 추정토압이 큰 개소에는 엄지말뚝
횡널판과 강널판(sheet pile)으로, 산지의 비교적 얕은 굴착에는 경량
강 널판을 선정한다.
3.주요
(5) 역T형 기초의 흙막이 공법으로는 세로널판공법, 엄지말뚝 가로널판공법을
착안
들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소규모용 흙막이에는 목재나 경량강 세로널판공
사항
법을, 토압이 큰 경우에는 가로널판공법이나 시트파일공법을 적용한다.
3.2 강 널판의 단면성능
표 2 강 널판의 성능
치
수
강 널 판
폭
높이
두께
w
h
t
mm
mm
mm
400
100
400
1 매 당
벽 폭
단면2차 단면
단위
모멘트
계수
중량
㎝²
㎝⁴
㎝²
kg/m
10.5
61.18
1,240
152
125
13.0
76.42
2,220
400
150
13.1
74.42
400
170
15.5
400
185
500
500
1M 당
단면2차 단면
단위
모멘트
계수
중량
㎠/m
㎝⁴/m
㎠/m
kg/㎠
48.0
153.0
8,740
874
120
223
60.0
191.0 16,800 1,340
150
2,790
250
58.4
186.0 22,800 1,520
146
96.99
4,670
362
76.1
242.5 38,600 2,270
190
16.1
94.21
5,300
400
74.0
235.5 41,600 2,250
185
200
24.3
133.80
7,960
520
105.0
267.6 63,000 3,150
210
225
27.6
153.00 11,400
680
120.0
306.0 86,000 3,820
240
단면적
- 115 -
단면적
SOP-FT-IT02 흙막이 작업(널판 흙막이)
3.3 H형강의 단면성능
표3
호 칭
표준단면치수
(mm)
H
B t1 t2
H형강의 단면성능 예
단면적 단위중량
㎠
kg/m
단면2차모멘트
㎝⁴
Ix
Iy
단면2차
반경(cm)
ix
iy
단면계수
(㎤)
Zx
Zy
100× 100 100 100
6
8
21.90
17.2
383
134
4.18 2.47 76.5 26.7
150× 150 150 150
7 10
40.14
31.5
1,640
563
6.39 3.75
219
75.1
200× 200 200 200
8 12
63.53
49.9
4,720
1,600
8.62 5.02
472
160
250× 250 250 250
9 14
92.18
72.4
10,800 3,650 10.80 6.29
867
292
300× 300 300 300 10 15 119.80
94.0
20,400 6,750 13.10 7.51 1,360 450
350× 350 350 350 12 19 173.90
137.0
40,300 13,600 15.20 8.84 2,300 776
2. 세로널판 공법
1.1 목재 널판 흙막이
(1) 띠장 조립(그림 7)
(가) 일반굴착으로 1.0~1.5 m 깊이까지 굴착하고, 조립도에 따라 띠장을 조립한다.
(나) 네 모서리의 띠장이 만나는 곳의 접속은 볼트, 꺽쇠 등으로 확실하고 단단하게 조인다.
(다) 띠장은 굴착 깊이와 추정되는 외부토압의 크기에 따라 3단, 4단으로 넣는데, 적
어도 2단은 조립해서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긴통나무를 띠장재에 고정한다.
(라) 굴착폭이 크거나 추정토량이 커서 보조기둥을 넣는 경우는 보조기둥이음
과 띠장의 접속을 견고하게 한다.(그림 9)
(2) 널판설치
(가) 널판은 띠장 외측에 밀착해서 이어가고, 모서리로부터 순차적으로 흙에
1.작업
순서
조금씩 박아가면서 세운다.
(나) 나무널판을 사용하는 경우 널판의 건입 방향은 널판 끝의 경사부분 타입시 토
압에 의해 널판과 널판이 밀착하여 수밀 성을 보존할 수 있는 방법으로 한다.
(다) 널판의 건입은 한 면이 끝나면 그 면에 밀착시켜 다음 면의 1매 순으로 건입한다.
(라) 지반이 비교적 좋은 경우는 널판과 널판을 밀착시키지 않고 조금씩 간격
을 벌려서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장미널판 흙막이)
(마) 4면 건입이 끝나면 나무널판의 경우에는 띠장과 널판을 1면당 2~3개소에 꺽쇠
등으로, 강재널판의 경우는 용접으로 띠장이 내려오지 않도록 가 고정하고 널
판의 외측에는 사이가 뜨지 않도록 흙으로 묻어 단단하게 고정하여 둔다.
(바) 나무널판, 경량 강 널판의 타입에는 나무 햄머, 램머 등, 강 널판은 진동 햄머
를 사용하나 어느 것이든 널판의 두부가 깨지지 않도록 쿠션재를 사용한다.
(3) 널판박기
(가) 일반적으로 널판을 박으면서 굴착하는데 굴착 면은 널판의 날 끝이 노출
- 116 -
SOP-FT-IT02 흙막이 작업(널판 흙막이)
되는 깊이까지 내려가지 않도록 한다.
(나) 부드러운 모래와 점토지반에서는 널판 근입이 얕으면 널판외측의 토압에
따라 토사가 널판의 하측을 돌아 널판내측으로 들어와서 외측이 침하되
어 흙막이 자체가 붕괴되는 경우도 있다.(그림 8)
(다) 널판의 타입과 병행해서 띠 장을 내리고, 띠 장의 내림은 망치 등으로
네 귀퉁이를 동시에 하고 띠 장을 경사지게 해서는 안 된다.
(라) 띠 장을 내리는 위치는 가능한 한 굴착 면까지 깊이의 중앙이 되도록 한다.
(마) 널판의 타입은 건입의 순서와 같이 면의 끝에서 순차로 하는 것이 보통이만
굴착토의 배토에 편리하도록 면의 중앙부를 최초로 타입할 경우도 있다.
(4) 널판 뽑기
(가) 널판을 뽑기 전에 하측의 띠장 재가 묻히지 않을 정도까지 되 메우기를 한다.
(나) 하단의 띠장 재를 해체 철거한다. 널판에 가고정한 경우에는 널판에서 끊어낸다.
(다) 상단의 띠장 재를 해체 철거한다.
① 하단 띠장 재를 철거한 후 굴착기초의 중간 정도까지 되 메운다.
② 굴착기초 깊이의 약 1/2까지 되 메우기한 후 외측토압의 널판에의 영향
을 감시하면서 상단의 띠장 재를 널판에서 분리하여 해체 철거한다.
③ 상단 띠장 재에 외부토압에 의한 하중이 남아 있는 경우에는 널판 상부
에 별도의 가재료를 설치하여 띠장재에 하중이 없도록 한 후 철거한다.
④ 널판을 뽑는다.
⑤ 널판의 뽑기에는 굴착용 기계나 장비로 널판에 와이어를 걸어 뽑으면 좋다.
⑥ 널판과 널판의 밀착 또는 맞물림 때문에 뽑아내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널판의 접속 부를 햄머로 두들기거나 강널 판은 바이브로 햄머로 진동
을 주면 비교적 간단히 뽑을 수 있다.
⑦ 널판의 뽑는 순서는 변의 중심 1매를 뽑아 외측 토압을 줄인 후 순차적
으로 귀퉁이 쪽으로 뽑으면 좋다.
⑧ 중심널판의 뽑기가 곤란한 경우에는 타입과 역순으로 뽑는다.
1.2 경량 강 널판 흙막이
(1) 1차 굴착
(가) 소정의 위치에 안내 줄을 설치한다.
(나) 중간 버팀재가 교차하는 위치 부근에 중간지주를 박는다.
(다) 깊이 1.5~1.8m까지 일반굴착을 실시한다.(그림 10)
(2) 하단 띠장 설치
(가) 굴착한 바닥부의 네 변을 소정의 높이로 정리하고, 띠 장을 배치한다.
(나) 이음 부를 직선으로 정리한 후 소정의 플레이트와 볼트로 접속한다.
(다) 모서리부에서는 띠장재를 직각으로 정리하고, 모서리 부분의 접속재를 설치한다.
(라) 버팀 재를 설치한다.(그림11)
- 117 -
SOP-FT-IT02 흙막이 작업(널판 흙막이)
(3) 상단 띠장 설치
(가) 띠 장은 소정의 위치에 달기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근가 또는 나무말뚝
등에 매달아 4면 모두 고정한다.(그림 12)
(나) 상, 하단 띠 장 사이에 통나무를 삽입하고 와이어로 당겨 결속한다.
(다) 모서리 부분에는 띠 장을 직각으로 정리하고, 모서리부분의 접속 재를 부착한다.
(라) 버팀재를 설치한다.
(4) 경량강널판의 삽입(그림13)
(가) 경량강널판을 한 장씩 삽입하되, 설계시 조건에 따라 조인트를 맞물리게 한다.
(나) 경량강널판이 굴착벽면에 닿는 부분은 인력으로 수정하여 수직이 되도록 한다.
(다) 건입한 널판과 띠장사이에 빈틈이 있으면 널판누름쐐기(캠버)를 부착한다.
(라) 삽입 중간에 흙막이 전체의 상태를 점검하면서 4면의 삽입을 완료한다.
(5) 2차 굴착
(가) 한번에 0.5~1.0m씩 굴착을 반복하여 설계도의 깊이까지 굴착한다.
(나) 하단 통나무를 수직으로 설치한다.
(다) 널판누름쐐기(캠버)를 일단 제거하고 널판을 굴착 바닥면까지 내린다.
(라) 흙막이 전체의 상태를 점검한다.(그림14)
(6) 1차 되 메우기
(가) 되 메우기 전에 기초 내의 배수 및 잔재를 철거한다.
(나) 0.3m 두께로 되 메우기하고 다지기를 한다.
(7) 하단 띠장 철거
(가) 하단의 버팀 재, 모서리부분 접속 재를 철거한다.
(나) 상단 띠장과 연결해 둔 와이어를 제거하고, 통나무를 제거한다.
(다) 띠 장을 기초 밖으로 반출하고 접속 부를 해체한다.
(8) 2차 되 메우기
(가) 0.3m 두께로 되 메우기하고 다지기를 한다.
(나) 되 메우기 및 다지기의 과정을 상단 띠장 위치까지 반복한다.
(다) 하단 띠장의 철거와 같은 순서로 상단 띠장을 철거한다.
(9) 3차 되 메우기 및 널판 뽑기
(가) 0.3m 두께로 되 메우기하고 다지기를 한다.
(나) 되 메우기 및 다지기의 과정을 지표면 위치까지 반복한다.
(다) 경량 강널 판을 1장씩 뽑는다. 변의 중심을 1장 뽑고, 외측토압을 줄인
후 차례대로 모서리 쪽으로 가면서 널판을 뽑는다.
(라) 땅을 고르게 정리한다.
1.3 강 널판 흙막이(시트파일공법)
(1) 강 널판 박기(진동 햄머 사용 시)
(가) 소정의 위치에 안내 줄을 설치한다.
- 118 -
SOP-FT-IT02 흙막이 작업(널판 흙막이)
(나) 강 널판을 설치할 경계선의 바깥 측에 강널판 지지용 H빔을 설치하고 고정한다.
(다) 크레인의 메인 훅크에 진동 햄머를 달고, 보조 훅크에 강널판을 매단다.
(라) 건입한 강 널판을 진동 햄머에 물리고 추를 이용하여 연직방향 기준선에
맞도록 조정한다.
(마) 먼저 건입한 강널판이 함께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먼저 건입한
강널판을 H빔에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바) 진동 햄머를 작동시켜 강널판을 소정의 깊이까지 박아 넣는다.
(2) 강널판 박기(사일런트 파일러 사용시)
(가) 반력가대 고정
① 인가밀집 등으로 저소음, 저 진동이 요구되는 경우에 채택하여 사용한다.
② 크레인으로 반력가대를 달고 수평으로 설치한다.
(나) 사일런트 파일러 고정
① 크레인으로 사일런트 파일러 본체를 들어 올려 반력가대에 고정한다.
② 반력에 의해 카운트 웨이트의 적재량을 조정한다.
(다) 초기 파일 박아넣기
① 강널판을 크레인으로 매달아 드럼부분에 삽입한다.
② 드럼을 조이고 실린더슬라이드를 반복 작동시켜 1장씩 압입한다.
③ 1장 압입 후 리더마스트를 이동하고 2장 째를 상기와 같이 압입한다.
(라) 반력가대 철거
① 반력가대에 의해 차례대로 3장 째, 4장 째의 강 널판을 압입한 후 반력가대를 철거한다.
② 강널판의 길이가 긴 경우 반력용 강 널판으로서 짧은 강 널판을 압입하여 이용한다.
(마) 강널판의 압입
① 반력가대 철거 후 파일러 본체를 압입완료 널판에 세트한다.
② 강널판을 드럼에 삽입 후 드럼을 조이고 실린더슬라이드를 반복 작동시
켜 1장 압입한다.(그림 15)
③ 2장째 강널판을 자동기능으로 세트하고, 이후 연속적으로 강 널판을 압입한다.
(3) 1차 굴착
(가) 상단 띠장 설치위치로부터 0.5m정도 하부까지 굴착한다.(그림 16)
(나) 굴착도중에 지하수가 나오는 경우에는 모서리부분에 집수부를 설치한 후
펌프로 배수한다.
(4) 상단 띠장 설치
(가) 강 널판에 브라켓트를 용접한 후 띠장을 그 위에 올린다.(그림 17)
(나) 이음 부를 직선으로 정리한 후 소정의 플레이트와 볼트로 접속한다.
(다) 모서리 부분에는 띠 장을 직각으로 조정하고, 모서리부분의 접속재를 부착한다.
(라) 강널판과 띠장 사이에 간격이 벌어지는 개소는 캡퍼 등을 끼워 고정한다.
- 119 -
SOP-FT-IT02 흙막이 작업(널판 흙막이)
(5) 상단 중간 버팀재 설치
(가) 띠장에 중간부연결금구 등을 취부하고, 이것과 중간지주 사이에 중간 버
팀 재를 임시로 설치한다.
(나) 중간 버팀재의 휨을 조정하고, 띠 장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조정한 후
중간 버팀 재를 취부 한다.
(다) 중간 버팀재의 교차부분을 U볼트 등으로 견고하게 고정한다.
(라) 버팀재는 모서리 버팀 재, 중간 버팀 재의 순으로 취부 한다.(그림 18)
(6) 2차 굴착
(가) 하단 띠장 취부깊이까지 굴착한다.(그림 19)
(7) 하단 띠장 및 하단 중간 버팀 재 설치
(가) 강 널판에 브라켓트를 용접하고 띠장 재를 그 위에 올린다.
(나) 이음 부를 직선으로 조정한 후 소정의 플레이트와 볼트로 접속한다.
(다) 모서리 부분에는 띠 장을 직각으로 조정하고, 모서리부분의 접속 재를 부착한다.
(라) 이하 (5)에 준하여 하단 중간 버팀재를 취부 한다.(그림 20)
(8) 3차 굴착
(가) 기초 설계도의 목표깊이까지 굴착한다.
(나) 상판 부 부근은 인력굴착에 의한다.(그림 21)
(9) 1차 되 메우기
(가) 되 메우기 전에 기초 내의 배수 및 잔재를 철거한다.
(나) 한번에 0.3m 두께로 되 메우기하고 다지기를 한다.(그림 22)
그림 7 띠장의 조립
그림 8 널판박기
2.작업
설명도
그림 9 보조기둥이음과 띠장의 접속
- 120 -
SOP-FT-IT02 흙막이 작업(널판 흙막이)
그림 10 1차굴착(경량강널판)
그림12상단띠장 설치(경량강널판)
그림 14
2차굴착(경량강널판)
그림 11 하단띠장 설치(경량강널판)
그림 13 널판의 건입
그림 15 강널판 박기
그림 17 상단띠장 설치(강널판)
그림 16 1차굴착(강널판)
- 121 -
그림 18 상단 중간버팀재 설치
그림 19 2차굴착(강널판)
그림20하단띠장․중간버팀재
그림 21 3차굴착(강널판)
그림 23 널판뽑기
그림 22 1차되메우기(강널판)
3.주요
착안
-
사항
3. 가로널판 공법
1.1 엄지말뚝 박기
(1) 소정의 위치에 안내 줄을 설치한다.
1.작업
순서
(2) 엄지말뚝을 박을 위치를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양옆에 안내 보를 설치하여 고정시킨다.
(3) 엄지말뚝을 타입 할 위치를 표시한다. 엄지말뚝의 간격은 1m~2m 범위로 하
되 1.5m를 표준으로 한다. 또한 엄지말뚝과 굴착저면 상판부의 순 간격은
- 122 -
SOP-FT-IT03 각입(앵글재)
50cm 이상 확보되어야 한다.
(4) 엄지말뚝은 정확하게 연직으로 설치하며, 그 연직도는 근입 깊이의
1/100~1/200 이내가 되도록 한다.
(5) 크레인의 메인 훅크에 진동 햄머를 달고, 보조 훅크에 H빔을 매달아 추를
이용하여 연직방향 기준선에 맞도록 조정한다.
(6) 떨공이의 무게는 말뚝무게의 2~3배 정도의 것을 사용하고, 말뚝머리에는
직경 5cm정도의 구멍을 뚫어 당김 줄의 연결 또는 빼내기에 대비한다.
1.2 널판삽입
(1) 엄지말뚝과 엄지말뚝 사이에 목재 널판을 세로로 삽입하되, 널판 간에 잘
밀착 되도록 수직으로 삽입한다.
(2) 4면에 대해 약 1m 정도의 높이까지 널판을 끼운다.
1.3 1차 굴착
(1) 깊이 1.5~1.8 m까지 일반굴착을 실시한다.
(2) 굴착도중에 지하수가 나오는 경우에는 모서리부분에 집수부를 설치한 후
펌프로 배수한다.
(3) 중간 버팀재가 교차하는 위치 부근에 중간지주를 박는다.
1.4 널판 내리기
(1) 굴착한 모서리부분을 잘 정리한 후 널판을 눌러 내린다.
(2) 널판을 내려 흙막이 벽체가 형성되면 상기 (3.2)(3.3)의 과정을 반복한다.
(3) 기타 띠 장, 중간 버팀 재, 모서리 버팀재의 설치는 시트파일 공법에 준하
여 실시한다.
2.작업
설명도
그림 25 시트파일과 가로널판을
동시 적용한 경우
그림24 가로널판 시공
3.주요
착안
-
사항
- 123 -
표 준 작 업 절 차 서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송전 가공분야
2.2.3
SOP-FT-IT03
각입[앵글재] 작업
시행일자 :
개정일자 :
1. 각입준비
1.1 주각재, 앵커재, 조립볼트 등의 각입재 및 트랜시트, 레벨, 스태프, 실, 내
림 추, 스틸테이프 등의 각입 공구와 각입 블럭, 셋팅 플레이트, 고정용 지
지재 등의 기타재료를 굴착 구 부근의 작업이 편리한 장소로 운반한다.
1.2 기울기의 측정은 주각재의 최하단부에서만 측정이 가능하지만, 각입 도면에
표기된 기울기 값은 주각재와 앵커 재를 조립한 전체의 길이에 대한 기울기
1.작업
순서
이므로, 주각재 만의 길이를 정확히 측정하여 비례식으로 적절한 기울기를
산출한다.
1.3 주 각재와 앵커재를 조립한 후, 전체의 길이를 정확히 측정하여 각입 도면
의 수직거리에 S2 값을 곱하여 일치여부를 확인하고, 오차가 있을 시 각입
블럭의 고저차를 조정한다.
1.4 각입 블럭 설치로 인하여 상판 부 하단의 철근절단이 불가피하므로, 기초
형태에 따라, 각입 블럭에 소정의 철근을 삽입하여 제작한다.
20 - 40 cm
40 - 60 cm
철판
배근용공간
보강용앵글
조정용볼트
40 - 60 cm
그림 2 셋팅 플레이트
그림1 각입 블록(콘크리트 제)
2.작업
설명도
미세조정용 턴버클
각입재 연결부
길이조정용 볼트
고정말뚝(파이프
또는 통나무)
그림 3 고정용 지지재
3.주요
착안
사항
3.1 각입 작업을 실시하기 전 미리 설치된 규준틀의 정확도를 충분히 확인하고,
오차가 있으면 반드시 수정한다.
3.2 기초 각입 수치 도에 기입된 수치의 착오여부를 확인하고, 실제로 계산하여
착오 유무를 확인한다.
- 124 -
SOP-FT-IT03 각입(앵글재)
2. 각입제의 투입
1.1 각입 블럭 및 셋팅 플레이트 설치
(1) 중심점 규준틀과 탑각 규준틀과의 사이에 띄움 줄을 늘이고, 각입 수치 도
에 따라 각입재 하부 중심점과 상부 중심점의 위치를 측정해서 띄움 줄 위
에 포인트를 표시한다.
(2) 띄움 줄의 각입 재 하부 중심점 표시위치에서 추를 내려 이 중심점과 일치
하 도록 각입 블럭을 놓고, 높이를 조정한다.(그림 4)
(3) 규준틀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 중심점말뚝 위에 레벨을 설치하고, 레벨을
이용해 탑각의 중심점을 잡고, 이 점에서 추를 내려 각입 블럭이 정확히
중심점에 설치되도록 조정한다.
(4) 셋팅 플레이트를 각입 블럭 위에 설치하고, 수평이 되도록 조정한다. 셋팅
1.작업
순서
플레이트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입 블럭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하
여 맞추어야 한다.(그림 5)
1.2 각입재 투입
(1) 중량이 가벼운 각입재는 지상에서 조립한 후 로프 등을 이용하여 인력으로
내리고, 각입재 고정용지지재를 부착하여 임시로 세워둔다.(그림 7)
(2) 중량이 큰 각입재는 중장비 등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내려 굴착구내에서
조립 및 본조임을 실시한 후 각입재 고정용지지재를 부착하여 세워둔다.
(그림 8)
(3) 각입재 고정용지지재는 주각재의 조인트 볼트구멍을 이용해서 서로 직각방
향으로 2개를 부착하고, M16 이상의 볼트 및 와샤로 단단히 조여 풀리지
않도록한다.
(4) 각입재를 거부하기 전에 각입재의 머리부에 면방향 측정을 위해 실이나 끈
을 이용하여 앵글재의 중심을 표시해둔다.(그림 9)
2.작업
설명도
그림 4 블럭 설치도
- 125 -
그림 5
셋팅플레이트
SOP-FT-IT03 각입(앵글재)
그림 6
각입블럭 설치
그림 8 각입재 머리부 중심표시
그림 7
각입재 투입
그림 9 고정용 지지재 설치
3.1 일반사항
(1) 철탑 기초재는 주각재와 Anchor재를 조립한 후 침하되지 않도록 소정의
Concrete Block위에 설치한다.
(2) 철탑 기초재를 설치할 때는 접지봉(혹은 판)을 기초 바닥부근의 흙속에 매
설하고 연결선을 소정의 장소에 Bolt로 견고하게 취부 한다.
3.2 철탑기초 각입
(1) 4본 동시 각입
(가) 철탑부지중심에 측량기를 설치하고 철탑 4각의 굴착 상태를 재확인한다.
3.주요
(나) 4각기초의 바닥을 견고하게 다지고 블럭(Block)을 설치한 후 트랜싯
착안
(Transit)으로 전후 철탑과의 방향을 확인 후 본 철탑의 방향을 결정한
사항
다음, 대각 및 수평거리를 정확히 측정하고 철탑 기초재를 콘크리트 블
록 중심에 설치하여 4본 동시 각입을 하고 기초부분의 가 조립을 한다.
(다) 철탑기초재의 본조임 및 각입 조정 완료 후 즉시 콘크리트 타설을 시행
하여야 한다.
(2) 1본 각입
(가) 철탑부지의 중심에 트랜싯(Transit)을 설치하고 대각방향으로 양 지점에
기초 주각재 높이로 줄을 늘이고 줄에 각의 앵커 중심과 기초 주각재의
높이에 해당하는 Slope점을 표시한다.
(나) 블록위에 철탑 기초재를 설치하고 줄에 표시된 각의 앵커 중심에 추를 내
- 126 -
SOP-FT-IT03 각입(앵글재)
려 기초 주각재 상단을 표시된 Slope 점과 일치시킨다.
(다) 철탑기초주재의 위치와 Slope를 조정한 다음 기초주각재의 방향을 중심
과의 대각선에 바르게 위치하도록 조정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시 기초
주각재가 흔들리지 않도록 조치를 한다.
(라) 1본 각입은 1각의 굴착작업 완료 후 즉시 연결 시행하여 타설까지 완료
하고, 각입 조정 시 특히 세밀하게 조정하여야 한다.
3. 각입제의 설치
1.1 각입재 높이 및 면 거리 맞추기
(1) 각입재를 들어 각입재의 하단외측을 각입 블럭 또는 셋팅 플레이트의 상부
표시위치에 맞춘다.(그림10,11)
(2) 각입재 상부에 부착한 고정용지지재를 이동시켜 띄움 줄 위에 표시된 포인
트와 각입재 상단 높이를 맞춘다.
1.2 면 방향 맞추기
(1) 각입재의 면방향이 띄움 줄 또는 면 방향 표시 점을 중심으로 좌우가 일치
하는지를 체크하고, 고정용지지재를 이동시켜 정확히 맞춘다.(그림 12)
(2) 고정용지지재의 끝부분에 고정말뚝을 박아 지지재가 밀려나지 않도록 한다.
(그림 13)
(3) 규준틀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등변 직각 삼각자에 수직선을 표시한
자로 수시 점검하여 주각재의 면 방향 일치를 확인한다.
1.3 기울기 맞추기
1.작업
순서
(1) 각입재의 기울기 치수는 각입재 상단에서 내측에 수직으로 추를 내려뜨려
소정의 치수가 되도록 조정한다.
(2) 각입재 상단의 레벨조정은 미리 설치된 트랜시트나 레벨에 의해 중심점 규
준틀을 기준으로 측정하고, 각입재 하단과 블럭 사이에 패킹 등을 끼워서
조정한다.(그림 14)
(3) 각입 도면의 각입재 수직거리는 앵커재까지 조립이 완성된 부분에 대한 값
이므로,
각입 준비에서 산출한 값으로 기울기를 맞춘다.
(4) 각입재 상단에서 내측에 수직으로 추를 내려뜨려 최하단부의 경사치수와
1m 지점의 경사치수를 비교하여 조정한다.
(5) 주체부까지 콘크리트 타설 완료 후의 각입 점검은 1m 지점의 기울기를 감
안하면 된다. 특히, 154kV T/L의 15T 이하의 철재는 구부러짐이 많은 상태
이므로 기울기 조정 시 유의해야 한다.
1.4 미세조정
(1) 중심점 규준틀의 중심점에서부터 각입재 상단부에 각 부분까지의 거리를
- 127 -
SOP-FT-IT03 각입(앵글재)
이용하여 소정의 수평거리가 되도록 다시 한번 체크한다.
(2) 상부 고정용지지대 밑 부분의 양측에 흔들림 방지용 고정말뚝을 박고, 면
방향을 각입재 상단에 표시한 표시위치에 대각선 띄움 줄의 한 점이 모아지도록 조
정한다.
(3) 고정용지지재의 미세조정용 턴버클을 이용하여 각입재 높이, 면 거리, 면 방향,
기울기를 반복하여 정확히 일치할 때까지 조정한다.(그림15 )
그림10. 각입재 설치(블럭)
그림11 각입재 설치(셋팅플레이트)
그림12 면방향 조정
그림13 고정말뚝 박기
2.작업
설명도
그림15 각입 미세조정
그림14 기울기 측정 장면
3.5 규준틀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초보자의 유의사항
(1) 계각차이가 큰 개소에서는 맨 처음 각입은 중심점에서 트랜시트로 각입재
의 상단부 바깥부분을 관측할 수 있는 다리부터 시행한다
(2) 계각차가 큰 개소에서 고저차 및 대각거리 측정 시 스태프 등으로 관측하면
- 128 -
SOP-FT-IT03 각입(앵글재)
스태프의 수직 설치 여부, 비람에 의한 흔들림, 이음 부분의 이완 등으로
정확한 관측이 어려우므로, 스틸테이프로 각입재 상단부 외측과 트랜시트
의 중심점까지 거리를 실측한 후, 각도를 읽어 삼각함수를 적용하여 관측
한다.
(3) 중심점에서 트랜시트로 각입재 상단의 외측 끝이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각
3.주요
착안
사항
입재 내측을 실측한 후, 다음 식을 이용하여 고저 차 및 수평대각거리를 보정한다.
(4) 고저 차 측정 시 계각 차가 1m 미만인 경우에는 스태프 등을 이용하고, 계
각 차 가 큰 경우에는 각도 법을 활용하여 오차를 줄인다.
(5) 철탑기초 각입은 4각이 조화를 이루어야 함으로, 중심점에서 트랜시트로
직접 시준 할수 있는 각을 기준하여 각입 토록하며, 4각이 각입완료 후 상
관관계를 면밀히 검측 한다.
(6) 각입 검측서 작성 시에는 각입 도면을 정밀 검토하여 오차가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7) 실수를 예방키 위하여 반드시 검산을 한다.
4. 각입치수 검사
1.작업
순서
1.1 각 길이가 허용오차 이내에 들어오는지 콘크리트 타설 후, 조립전에 확인한다.
1.2 오차한도 이내가 될 때까지 조정한다.(그림16)
1.3 점검결과를 기록 보관한다.
그림 16 각입 미세조정
그림 17 각입완료 상태
그림 18 각입 검측
그림 19 각 입
2.작업
설명도
- 129 -
SOP-FT-IT03 각입(앵글재)
3.1 각입 허용오차
표 1 각입 허용오차
3.주요
착안
항 목
오차한계
고 저 차
± 5mm 이내
면 거 리
설계치의 ± 0.1% 이내
대각거리
설계치의 ± 0.1% 이내
사항
주각재 길이 5m 미만
± 2mm 이내
주각재 길이 5m 이상
± 3mm 이내
기울기
- 130 -
표 준 작 업 절 차 서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송전 가공분야
시행일자 :
2.2.4 철근 조립작업
SOP-FT-IT04
개정일자 :
1. 철근가공
1.1 철근가공 도 준비
(1) 기초배근을 위해 제작된 사이즈별의 철근배근도를 준비한다.
(2) 가공전의 철근은 능률적으로 가공기에 삽입할 수 있도록 정리해서 배치해 둔다.
1.2 철근 가공
(1) 가공은 철근가공도에 따라 절단 및 구부림을 한다.
(2) 가공도에 철근의 구부림 반경이 지시되어 있지 않을 때의 구부림 가공은
다음을 표준으로 한다.
(가) 원형철근의 갈고리는 통상 반원형으로 하고, 반원형의 끝에서부터 철근
직경의 4배 이상으로 6cm 이상 곧게 늘인다.(그림 1)
(나) 이형철근의 갈고리에서 반원형 갈고리의 경우는 원형철근과 같이 하고,
1.작업
순서
직각갈고리의 경우는 구부림에서부터 철근직경의 12배 이상 곧게 늘인다.
(그림 2)
(다) 표시되지 않은 갈고리와 스트럽 및 띠철근의 구부림 반경은 (표2)의
치를 표준으로 한다.
(3) 이형철근의 구부림 가공에 주의한다. 일반적으로 종 방향 리브가 가공되어
있으므로 구부림 방향에 주의한다.
(4) 스트럽에 이형철근을 사용할 경우에 정착 직각고리 또는 예각 고리는 그 끝
부분을 구부려 철근 직경의 6배 이상에서 6cm 이상 곧게 늘인다.(그림 3)
(5) 구부림 철근의 구부림 반경은 철근 직경의 5배 이상으로 한다.(그림 4)
(6) 콘크리트부재의 측면에서 2ψ + 2 cm 이내의 거리에 있는 철근을 구부림
철근으로 이용할 경우에는 그 구부림 반경을 철근 직경의 7.5배 이상으로 한다.
(7) 라-멘 구조의 구석부분 외측의 구부림 반경은 철근 직경의 10배 이상으로 한다.
(그림 5)
4ψ이상, 6cm이상
스트럽의 경우에는
6ψ이상, 6cm이상
r
r
ψ
ψ
직각고리(이형철근)
반원형 고리
그림2 이형갈고리
그림1 원형 갈고리
- 131 -
12ψ
이상
SOP-FT-IT04 철근 조립작업
ψ
4ψ이상, 6cm이상
5 ψ 이
r
ψ
상
5ψ이상
예각 고리
그림3
그림4 구부림 철근의 구부림 반경
예각 고리
2.작업
설명도
그림 5 라-멘 구조 구부림 반경
그림6
철근절단기
그림7철근절곡기
3.1 재료 및 공구
(1) 철근재료
(가) 철근재료의 품질은 설계서에 지시된 양질의 것을 사용한다.
(나) 철근의 재질증명서를 항상 보관해야 한다.
(다) 가공으로도 교정이 어려울 정도로 구부려진 철근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라) 기초공사에 주로 사용되는 철근의 규격은 (표1)과 같다.
표1 철근콘크리트용 봉강(KS D 3504)
호칭명
중 량
(kg/m)
공칭직경
(mm)
공칭단면적
(㎠)
공칭둘레
(cm)
0.713
마디 높이(mm)
최소치
최대치
3.0
0.4
0.8
표준길이
(m)
3.주요
착안
D10
0.560
9.53
사항
D13
0.995
12.7
1.267
4.0
0.5
1.0
D16
1.560
15.9
1.986
5.0
0.7
1.4
D19
2.250
19.1
2.865
6.0
1.0
2.0
D22
3.040
22.2
3.871
7.0
1.1
2.2
D25
3.980
25.4
5.067
8.0
1.3
2.6
D29
5.040
28.6
6.424
9.0
1.4
2.8
D32
6.230
31.8
7.942
10.0
1.6
3.2
- 132 -
3.5, 4.0,
4.5, 5.0,
5.5, 6.0,
6.5, 7.0,
8.0, 9.0,
10.0
SOP-FT-IT04철근 조립작업
3.2 철근의 표준 구부림 반경
표2
철근의 표준 구부림 반경
(ψ : 철근직경)
구부림 반경 ( r )
종
류
열간압연
봉
강
열간압연
이형봉강
기 호
갈고리
스트럽 및 띠철근
SR 24
2.0 ψ
1.0 ψ
SR 30
2.5 ψ
2.0 ψ
SD 24
2.0 ψ
1.0 ψ
SD 30
2.5 ψ
2.0 ψ
SD 35
2.5 ψ
2.0 ψ
SD 40
3.0 ψ
2.5 ψ
2 철근조립
1.1 상판부 조립순서
(1) 상판부의 최하부 바닥면의 4각 가장자리 철근을 설계치수에 따라 배치하고,
설계된 간격에 따라 바닥면을 완전히 배근한다.(그림 8)
(2) 상판부의 내부를 하부부터 차례로 배근하고, 필요에 따라 결속철근을 삽입한다.
(3) 앵커재의 상부까지 배근되면 앵카재에 대한 철근을 배근한다.
(4) 상판 부 배근 완료 후 치수를 확인한다.
1.작업
순서
1.2 주체 부 조립순서
(1) 주체부 배근에 앞서 띠철근을 크기 순서로 분류하여 철근의 위치가 바뀌지
않도록 한다.
(2) 최하단과 최상단의 띠철근을 이용하여 정착근을 배근한다.
(3) 하부에서부터 차례로 띠철근을 결속하되 띠철근의 공급은 각입재 최상부를
통해서 실시한다.(그림 9)
(4) 띠철근 및 교점은 빠짐없이 견고하게 결속한다.
(5) 배근 완료 후 치수를 확인하고, 기록해 둔다.(그림 11)
2.작업
설명도
그림 9 주체부 철근배근(하부)
그림 8 상판부 철근배근(1)
- 133 -
SOP-FT-IT04 철근 조립작업
그림 10 주체부 철근배근(상부)
그림 11 철근조립 완료후 검사
3.1 철근운반 및 보관
(1) 같은 치수, 같은 가공 철근을 운반에 편리한 중량으로 결속한다.
(2) 침목, 깔판을 깔고, 빗물 방지용 시트를 덮는다.
(3) 보관중인 철근 위에 무거운 것을 놓지 않는다.
3.2 철근 조립
(1) 조립일반
(1) 철근조립 전에 오물과 녹을 깨끗이 털어낸다. 오물이나 녹이 있는 경우에
는 콘크리트와 철근의 부착이 나쁘게 되고, 철근콘크리트의 설계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으므로 깨끗이 청소한다.
(2) 철근의 배치는 설계도대로 정확한 위치에 배치하고, 견고하게 조립한다.
배근할 철근과 철근의 상하, 횡 간격, 또는 덮개는 설계도에 의해 정확한
위치에 배치한다.
(3) 콘크리트 타설 중에 이동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조립용 철근을 사용한
3.주요
착안
사항
다. 조립용 철근의 사용개소는 일반적으로 배근도에 표시되어 있으나 표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립용 철근을 사용
하는 경우가 있다. 조립용 철근은 주 철근보다 한 단계 작은 굵기의 철근
을 사용한다.
(4) 철근과 합판과의 간격(피복두께)은 철제 스페이서나 몰타르 블럭, 플라스
틱 블럭 등을 사용하여 바르게 유지시킨다.
(5) 철근의 피복은 지시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고, 지시되지 않은 경우에는
철근의 직경이상 또는 (표3)을 표준으로 한다.
(2) 철근 이음부의 시공
(가) 단면의 강도저하 방지 및 콘크리트 타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철근의 이음
을 한 단면에 모이지 않도록 한다.
(나) 중요한 인장철근의 겹 이음은 가로방향 철근에 의해 보강을 한다.
(다) 압축철근의 겹이음 길이는 상기 식 L의 80% 이상이고, 또 20D 이상으로 한다.
- 134 -
SOP-FT-IT04철근 조립작업
(라) 겹 이음은 정해진 길이 L을 서로 겹쳐 직경 0.9 mm 이상의 결속 선으로
여러 군데를 묶는다. 이 경우 결속 선을 감는 길이는 짧은 것이 좋다.
표3 철근 피복의 두께
종
류
최소피복두
께
굴착구덩이 내면
7.5 cm
거
ψ16mm이상
푸 사용철근의
집
지름
ψ16mm미만
면
5.0 cm
비
고
굴착면에 직접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거푸집 시공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할
경우
4.0 cm
(마) 이음에는 겹 이음 외에 스리브 이음, 용접이음 등이 있으나 이음에 가해
지는 응력의 상태와 시공개소의 상황에 맞는 적당한 것을 사용한다.
(바) 철근의 연결부분 길이가 명시되어 있지 않을 때는 (표 4)에 의한다.
표4 철근의 겹이음 길이
구 분
겹이음 길이
D13
30cm 이상
D16
30cm 이상
D19
40cm 이상
D22
55cm 이상
D25
70cm 이상
- 135 -
비
고
SD 30 철근 및
σ ck =180kg/㎠ 기준임
표 준 작 업 절 차 서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송전 가공분야
2.2.5 거푸집 작업
SOP-FT-IT05
시행일자 :
개정일자 :
1. 목재 거푸집
1.1 제작
(1) 구조
(가) 설계 지시된 치수에 맞도록 만들고, 콘크리트 타설작업 중의 콘크리트 측
압과 진동 등에도 견디는 안전한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한다.
(나) 콘크리트 타설 후 제거 시에도 콘크리트에 충격을 주지 않는 구조로 되어야 한다.
(다) 합판과 합판의 이음사이로 몰탈이 흘러나오지 않는 구조로 한다.
(2) 합판 치수설계
(가) 거푸집 설계시 각 부의 치수. (그림3)
(나) 기초 상판부의 거푸집은 (그림3)의 D 및 B를 각각 가로, 세로로 하여
사각형의 면을 4면 조합시킨다. 단, 조합부의 각목 부분에 관해서는 다음
의 주체부와 마찬가지로 맞물림 치수를 (+) 또는 (-) 한다.
(다) 주체부의 치수는 다음의 순서에 따라 만든다.
➀
이음부분을 단단하게 하고, 양단을 각목으로 고정하고, 소요 넓이의 거
푸집용 합판을 작성해서 평평한 장소에 설치한다.(그림4)
1.작업
순서
➁ 거푸집용 합판 위의 한 끝에 약간의 여유를 두고 주체부 거푸집용 합판에
먹물을 입힌다.
➂ 합판 위에 (그림4)의 점①과 점②를 잇는 직선(길이 L1 또는 L2의 수직선)을 긋는다.
➃ 점②에서 ①-②에 수직인 직선을 그어서 δ1h의 길이에 상당하는 점③을 잡는다.
➄ 점①에서 ①-②에 수직(②-③에 평행)인 직선을 양측에 긋고, 주체부 상
단폭 a의 1/2에 상당하는 점④와 ⑤를 잡는다.
➅ 점③에서 양측에 ②-③을 연장하여 주체부 하단폭 C의 1/2에 상당하는
점⑥과 ⑦을 잡는다.
➆ ④-⑥-⑦-⑤-④를 이어 거푸집 치수가 완성된다.
(3) 거푸집 제작
(가) 설계도의 외곽선 ④-⑥과 ⑤-⑦에 따라 (그림 5)와 같이 각목(합판을 세
로로 이어 주는 것)을 세운다. 단 각목은 (그림6)과 같이 맞물린 치수
를 외곽선에서 (+) 또는 (-) 해 주어야 한다.
(나) 각목은 (그림5)와 같이 못으로 합판에 여러 개소 박아 임시로 고정한다.
(다) 필요시 중앙부에도 1개 또는 여러 개의 각목을 같은 방식으로 합판에 임
시 고정시킨다.
- 136 -
SOP-FT-IT05 거푸집 작업
(라) 설계치수선의 상단 ④-⑤에 합판 가로방향의 상단을 맞추고, 가로 방향의
한 끝을 (그림6)과 같이 설계치수선 ④-⑥의 순서로 합판을 붙여 이음을
견고하게 맞추면서 각목에 못을 박아 붙여간다.
(마) 합판의 최하단은 주체부 하단의 선 ⑥-⑦에 일치시킨다.
(바) 합판에 각목을 전부 고정했으면 나머지 부분을 잘라내고 합판에서 각목을 떼어낸다.
(사) 거푸집은 1각에 외면거푸집의 좌형, 우형, 내면거푸집의 좌형, 우형의 4
종이 1조가 된다.
(아) 보통 합판의 낭비를 없애기 위해서 주체부 거푸집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한다.
(4) 박리제 도포
(가) 거푸집 내면에 바르는 박리제에는 중유와 광유, 비눗물 등을 사용 하였으
나 최근에는 거푸집 전용의 수성 및 유성박리제가 제품화되어 있으며, 이
들에 대한 특징은 (표 1)에 나타낸다.
(나) 도포는 거푸집 조립 직전에 해서 콘크리트 부착방지효과가 약해지지 않도
록 한다.
1.2 조립
(1) 설치
(가) 거푸집은 정해진 콘크리트 위치에 정확히 설치한다.
(나) 주체부 거푸집은 상판 부 콘크리트 타설 후 그 위에 조립되어야 하기 때
문에 콘크리트가 다소 굳어진 후에 조립하여야 한다.
(다) 정확한 위치에 4면의 거푸집을 가조립해서 설계도에 적합한 형상이 되는
가를 확인한다.
(2) 조립
(가) 거푸집 형상에 문제가 없으면 내측에서부터 못을 박는다.
(나) 거푸집 형상이 고정되면 조임재를 적당한 위치(콘크리트 타설후 내압에
견딜 수 있도록)에 한단씩 교대로 끼워 넣고 볼트 또는 철선으로 확실히
결속한다.
(다) 조임재의 조임 용 철선이 콘크리트 내부를 통과하도록 사용한 경우는 거
푸집 해체 후 철선을 콘크리트 표면에 남지 않도록 한다.
(3)지지재 고정
(가) 조립이 완료되면 거푸집이 콘크리트가 굳어진 후까지 이동되지 않도록 지
지 재를 굴착 면에서부터 고정한다.
(나) 지지재를 발받침, 각입틀 등과 연결해서는 안 된다.
(다)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이 부상하기 쉽기 때문에 지지대는 측벽에서 거푸
집으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도록 한다.
(라) 지지재의 측벽 부는 패킹을 이용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마) 지지재에는 충격이나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 137 -
SOP-FT-IT05 거푸집 작업
1.3 해체
(1) 거푸집 존치기간
(가) 타설된 콘크리트 자체가 외력이나 자중에 대해 충분한 강도를 갖고 해체
시 작업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을 정도로 양생 후 시행한다.
(나) 최저기온 섭씨 5도 이상의 경우 거푸집 존치기간의 개략적인 표준은 (표2)
와 같다.
(다) 거푸집 존치기간 중에 기온이 섭씨 5℃ 이하로 될 경우는 그 1일은 0.5일
로 환산해서 위 표의 기간을 연장하고, 기온이 섭씨 0℃ 이하로 내려가는
기간은 일수에 산입하지 않는다.
(2) 해체 및 보관
(가) 통상의 해체 시기는 아직 콘크리트 양생이 진행 중에 있고 그 강도는 외
력에 대하여 약하기 때문에 콘크리트에 힘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나) 해체한 거푸집에 부착된 콘크리트를 깨끗이 떨어내고 박리제를 충분히 발
라서 다음에 사용할 때까지 건조되지 않도록 보존한다.
주각재
합판
조임재
지지재
볼트 또는 밴드철선
각목
조임재
패킹
패킹
합판
상판부
각목
그림 2 목재거푸집의 구성(평면도)
그림1 목재거푸집의 구성(단면도)
a
a/2.
a/2.
a
a
S2
S1
a/2.
a/2.
2
L1 = h + S1
2
L2 = h + S2
외
내
2
면
2.작업
2
H
C
h
면
설명도
d1h
D
c/2
C
c/2 d1h
C
B
내면거푸집
외면거푸집
그림 3 목재거푸집의 치수 설계
- 138 -
d2 = 2 d1
d1
H : 기초의 깊이
B : 기초의 폭
D : 상판부 높이
h : 주체부 높이
a : 주체부 상단폭
c : 주체부 하단폭
S 1: 외면거푸집 면위치차
S 2: 내면거푸집 면위치차
L 1: 외면거푸집 면길이
L 2: 내면거푸집 면길이
SOP-FT-IT05 거푸집 작업
④
설계선
⑥
합판
2
L 또는 L
⑦
면
② ③
⑥ d1h ⑦
각목
각목
1
2
내
각목
⑥
c/2
⑤
⑦
④
못
C
그림4 거푸집용 합판 설계
합판
그림 5 합판과 각목의
임시고정
⑤ 설계치수선
.
.
.
절
.
. 취
선
.
④
.
.
.
.
.
.
⑤
a/2.
a/2.
④ ①⑤
1
L 또는 L 의 길이
a
.
.
.
.
.
.
⑥
⑦
각목
L2
L1
외면
거푸집
( 좌형)
외면
거푸집
( 우형)
그림 6
내면
거푸집
( 좌형)
내면
거푸집
( 우형)
합판의 절단
그림 7 주체부 거푸집
3.1 재료
(1) 거푸집 제작용 재료의 구성 및 명칭은 다음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그림1,2)
(가) 합 판 : 두께 12mm 이상의 내수합판으로 옹이나 그외의 결점이 없는 것.
(나) 각 목 : 4.5cm 이상의 각재
(다) 조임재 : 7.5cm 이상의 각재나 직경 9cm이상의 통나무
(라) 밴드재 : 4.0mm 이상의 철선을 여러번 감거나 그것과 동등 이상 강도의 볼트
(마) 지지재 : 충분한 강도를 가진 볼트
3.주요
착안
사항
(바) 그 외 : 목편, 패킹 등
(2) 각입 수치, 기초형상도, 재료대장 등에서 다음 사항을 확인한다.
(가) P.E의 유무와 그 깊이
(나) 각재의 기울기 수치
(다) 기초 바닥부의 거푸집 사용 유무
(라) 기초형상의 그 폭과 길이
(마) 불명확한 것은 설계자에게 사전 확인한다.
- 139 -
SOP-FT-IT05 거푸집 작업
(3) 거푸집 제작 장소를 정비한다.
제작할 거푸집의 수량, 크기에 따라 달라지나 최소 20㎡정도의 평탄한 장소를
조성한다.
3.2 박리제의 특징
표1
구
분
박리제의 특징
수성박리제
유성박리제
희석비율
원액 1, 물 0.5~1
원액 그대로 사용
도포면적
원액 1ℓ당 15~20㎡
원액 1ℓ당 8~10㎡
1.원액과 물을 1:1로 희석하여 도포 1.다른 물질과 희석하지 말고 그대로
2.거푸집 표면에 도포하여 마른후
사용할 것
콘크리트 투입(마른후에는 물이나 2.우천시 도포하면 물과 혼합될 수
콘크리트에 씻겨 나가지 않음)
있으므로 유의할 것
유의사항 3.우천시 도포하면 빗물에 씻겨나가 3.시공후(콘크리트 양생후) 콘크리트
거나 잘 마르지 않으므로 유의할 것
에 습기가 있을 때 가능한 한 빨리
4.동절기에는 얼염려가 있고 잘
거푸집 을 제거할 것
마르지 않으므로 유의할 것
5.시공후 장기간 경과되어도 무관함
포장단위
10ℓ(Can)
200ℓ(Drum)
20ℓ(Can)
200ℓ(Drum)
3.3 거푸집 존치기간
표 2
구
분
거푸집 존치기간
부재측면 거푸집
보통시멘트
4일
조강시멘트
2일
2 조립식 강재 거푸집
1.1 조립
(1) 박리제를 바른다.(목재거푸집 참조)
1.작업
순서
(가) F.R.P.거푸집에는 중유 등 거푸집의 재질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것은 사용
하지 않는다.
(나) 강재 또는 F.R.P.거푸집 모두 상관 콘크리트 타설시 미리 수상방지와 위
치 고정용으로 앵카 또는 철근에 3.2mm정도의 철선을 2조씩 최소 4방향으
로 내어둔다.
- 140 -
SOP-FT-IT05 거푸집 작업
(2) 강재 거푸집의 조립과 설치를 한다.
(가) 최하부 거푸집의 경사를 각재의 기울기 방향에 맞추어 미리 상판 콘크리
트 아래에 매입한 철선으로 수직접합 상방에 연결해서 가 고정시켜둔다.
(나) 각재와 통나무로 거푸집 주위를 격자형으로 만들어 거푸집을 고정한다.
(그림11)
(다) 거푸집을 순차적, 상방으로 조정해간다.
(라) 거푸집 주위에 각재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와이어, 턴버클로 고정한다(보
강 범위는 근입 길이의 약 1/2정도로 하고 주체부의 크기에 대해서 적절
히 증감한다.(그림12)
(마) 거푸집 조립이 완료되면 주체부 철근과 거푸집의 간격(피복)을 확인해서
측면에서부터 수직 접합부와 플랜지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거푸집 이동을
방지한다.(그림13,14)
(3) F.R.P.거푸집의 설치 와 조립응 한다.
(가) 상판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의 침하방지와 접착방지를 위해 판을 대고
이 위에 선정된 거푸집을 볼트로 체결하여 조립한다. 이 경우 반드시 지
정된 좌금(Ring Filler)을 안과 겉 1매씩 사용한다.
(나) 거푸집의 조립완료 후 지정위치에 설치한다. 이때, 주각재의 구배에 따라
거푸집의 최하부가 안정되지 않고 한쪽이 벌어질 경우 적당한 판재를 삽
입해서 안정 시켜주어야 하나, 판재는 거푸집의 플랜지 내측보다 안쪽으
로 들어오지 않도록 한다.(그림 15)
(다) 앵카 철선을 플랜지부의 조인트 볼트를 이용한 플레이트에 연결해서 취부
하고 하부를 고정한다.
(라) 거푸집 상부도 플랜지부의 죠인트 볼트를 이용한 플레이트에서부터 3.2mm
정도의 철선 2조를 4방향으로 늘여 말뚝이나 그 외의 것에 고정시켜 결
속한다.(그림 16,17)
(마) 주각재의 구배가 특히 클 때 또는 거푸집의 길이가 3m 이상일 때는 콘크
리트 타설 시에 거푸집이 만곡되지 않도록 비닐 시트 또는 시멘트 포대
등 을 이용해서 덮은 뒤 흙을 덮는다.
- 141 -
SOP-FT-IT05 거푸집 작업
그림9 강재거푸집의 사용
그림8 강재거푸집 형상
2.작업
그림 10
A형 B형 FRP거푸집 형상
설명도
그림 12 접합부 보강
그림 11 거푸집 고정
그림 13 강재 거푸집 하부고정
- 142 -
그림 14 강재 거푸집 상부고정
SOP-FT-IT05 거푸집 작업
그림 15 FRP 거푸집 상부도와 만곡대책
그림 16 기초상판 거푸집
그림 17 주체부 거푸집조립
3.1 거푸집의 선정
(1) 사용할 거푸집의 종류는 기초설계시 결정되는 사항으로서 설계담당자가 지
시한 종류의 거푸집을 사용한다.
(2) 조립식 거푸집은 강재 거푸집과 FRP 거푸집이 있으나 주로 강재 거푸집을
사용한다.
3.2 강재 거푸집
(1) 강판재의 수직원추 형상에 잠금장치를 접속하여 소요 길이로 사용한다.
3.주요
착안
사항
(2) 각 원추는 종으로 3분할이 가능하고 가로방향, 세로방향 모두 각각 프랜
지 접속 할 수 있다.
(3) 조립볼트는 대개 M12-35mm로 한다.
3.3 F.R.P. 거푸집
(1) 소재는 F.R.P.(유리섬유와 합성수지를 복합한 플라스틱의 일종)로 경사가
있는 원추 형상으로 성형된 잠금장치를 접속해서 소요의 길이로 사용한다.
(2) 각 원형을 3분할시키고 색채구분(예, 적 백 청)해서 각 섹숀 마다 가로방향,
- 143 -
SOP-FT-IT05 거푸집 작업
세로방향의 접속플랜지로 볼트접속이 가능하다.
3.4 운반 및 취급 : 접속플랜지부의 손상이 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3.5 해체
(1) 거푸집의 해체는 지시에 따른다. (목재거푸집 시공 참조)
(2) 타설된 콘크리트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3) 해체한 거푸집을 청소한다.
- 144 -
표 준 작 업 절 차 서
(Standard Operating Procedure)
송전 가공분야
2.2.6
SOP-FT-IT06
콘크리트 작업
시행일자 :
개정일자 :
1. 재 료
3.1 시멘트
(1) 송전선로 공사에서는 일반적으로 보통 또는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의 사용
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가)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보통시멘트)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나)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조강시멘트)는 단기간에 강도가 나오는 것이 특징
으로, 보통시멘트의 28일 강도에 상당하는 강도가 7일에 얻어진다.
(2) 풍화, 응결한 시멘트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가) 시멘트는 일반적으로 습기, 기상조건 등에 의해 풍화, 응결하기 쉬우므
로 충분히 주의한다.
(나) 풍화, 응결이 의심 가는 시멘트는 이상응결시험을 실시하여 합격한 것만
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간편한 판정방법으로는 덩어리가 손으로 부서지
는 경우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덩어리가 부서지지 않는 것은 사용해서는 안 된다.
3.2 골재
(1) 골재는 강도 및 내구성이 좋아야 하며, 골재 입자의 표면이 깨끗하고, 먼
1.작업
순서
지, 진흙, 유기불순물을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
(2) 골재는 잔골재와 굵은 골재로 분류되며, 이들 입자가 혼합되어 있으면 골
재 간의 공극이 적게 되므로 이들 입자가 적당히 혼합된 것을 사용한다.
(3)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40 mm로 하고, 콘크리트 부재 최소치수의 1/5 또
는 철근 최소 순간격의 3/4을 넘지 않는 것을 사용한다.
(4) 잔골재(모래)는 No.4체(4.76mm)를 거의 다 통과하고, No. 200체(0.074 mm)에
거의 다 남아야 한다.
3.3 물
(1) 물은 기름, 산, 알카리, 염분, 유기물 등 시멘트의 수화작용에 영향을 미
치는 물질의 유해 량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을 사용한다.
(가) 보통 얻을 수 있는 천연의 담수는 타설 용수로 사용할 수 있다.
(나) 해수는 철근, 주 각재 등을 부식시키므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2) 의문이 있는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시험을 실시한 후 사용한다.
(가) 산성시험 : 리트머스 시험지의 반응정도에 따라 판정하는 방법
(나) 여과지에 의한 현탁 물질의 정량시험 : 심하게 탁한 물은 여과지를 통해
- 145 -
SOP-FT-IT06 콘크리트 작업
서 미립물질의 양을 판정한다. 정밀한 측정이 필요하다.
(다) 증기건조에 의한 염분의 정량시험 : 정량접시로 시료의 수분을 증발시켜
잔류된 염화물의 양을 계량한다. 정밀한 측정이 필요하다.
(라) 유산은에 의한 염화물의 시험 : 현장에서 실시곤란하며, 실험실에서 실시한다.
2.작업
설명도
그림 1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짐
그림 2 콘크리트 압축강도시험
3.1 혼화재료
(1) 혼화재료의 사용은 그 종류 및 사용량을 신중히 검토하고, 함부로 혼입해
서는 안 된다. 혼화재료의 선정과 사용방법에 대해서는 설계담당자의 승인
을 얻은 뒤 사용한다.
(가) 혼화재료는 시멘트, 물, 골재 이외에 콘크리트의 성분으로서 첨가되는
재료로서, 混和材(사용재료의 용적이 배합계산에 영향을 줌)와 混和劑
(사용재료의 용적이 배합계산과 관계없슴)로 구분된다.
(나) 混和材 : 포조란, 플라리애쉬, 고로슬러그, 수축방지제 등.
(다) 混和劑 : AE제, 감수제, 지연제, 급결제, 촉진제, 방수제, 발포제, 기
포제, 착포제, 방동제 등
(2) 시멘트의 절약을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混和材를 사용한다.
3.주요
착안
사항
(3) 콘크리트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AE제를 사용한다.
(4) 콘크리트의 경화촉진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촉진제로서 염화칼슘, 규
산 나트륨 등이 이용되고 있다.
(5) 콘크리트의 품질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감수제를 사용한다.
(6) 콘크리트의 응결을 늦추는 목적의 경우는 지연제를 사용한다.
3.2 재료의 저장
(1) 골재, 혼화재료, 시멘트, 철근 등의 저장, 보관은 각각의 성질에 따라 그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고, 또한 사용에 있어서 용이하게 반출
할 수 있도록 한다.
(2) 시멘트의 보관은 방습에 주의하고, 항상 정리정돈을 실시한다.
- 146 -
SOP-FT-IT06 콘크리트 작업
2. 일반 콘크리트
1.1 타설 준비
(1) 믹서, 운전설비, 그 외 비빔타설 등에 사용되는 공구는 모두 사용전후에
깨끗이 청소한다.
(2) 사용할 거푸집 내부는 청결하고 콘크리트 속의 수분을 흡수하지 않을 정도까지
깨끗한 물로 충분히 적신다.
(3) 동결기에는 거푸집을 물로 적실 경우 동결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비누나
광유(폐유) 등을 바른다.
(4) 타설 개소에 탁한 용수나 유입되는 물은 배수한다.
1.2 콘크리트 치기
(1) 콘크리트 치기는 가능한 한 가까운 위치에서 실시한다.
(2) 콘크리트가 철근 주위와 거푸집 구석구석까지 잘 채워지도록 콘크리트
진동기 등으로 충분히 다져야 한다.
(가) 콘크리트의 다지기에는 내부진동기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나) 콘크리트의 다지기에는 먼저 타설한 하층의 콘크리트 속에 진동기를
10cm 정도 삽입시켜야 한다.
(다) 진동기는 콘크리트로부터 서서히 빼고, 나중에 구멍이 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1.작업
순서
(라) 진동기의 삽입간격과 1개소당의 진동시간 등에는 충분히 주의해서 과도
한 진동을 주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3) 1구획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은 재료의 분리를 적게 하기 위해서 그 표면이
수평이 되도록 쳐 나간다.
(가) 콘크리트는 힘을 받는 방향에 대해 직각층으로 올라가는 것이 이상적이다.
(나)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의 한 층의 높이는 진동기 성능에 따라 다르지만
개략적으로 40cm 이하로 한다.
(4) 콘크리트의 타설에는 미리 계획한 작업구획을 완료할 때까지 연속해서 타설한다.
(5) 굳지 않은 하부 콘크리트 위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칠 경우에는 하부 콘크
리트의 접속부도 충분히 다져 주어야 한다.
(6) 돌출부분을 갖는 상부 콘크리트는 하부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적어도 2시
간 이상 경과한 후 타설한다.
1.3 이음타설
(1) 연속된 개소를 구분하여 타설할 경우에는 그 구획선을 충분히 연구하여 이
음 타설 개소를 가능한 한 적게 되도록 한다.
(가) 신구 콘크리트의 이음 타설은 충분히 검토하여 시공하지 않으면 구조물
의 취약부가 되기 때문에 실시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나) 불가피하게 이음 타설 할 경우에는 강도상으로 약점이 되지 않을 위치에
이를 정하여 실시한다.
- 147 -
SOP-FT-IT06 콘크리트 작업
(다) 전단력을 위해 이음타설 부위에 철근을 이용할 경우에는 그 길이를 직경
의 40배 이상으로 하고, 양단에 갈고리를 만들어 길이의 반씩을 신구 콘
크리트에 매입한다.(그림 3)
(2) 경화된 콘크리트에 새로운 콘크리트를 이음 타설 할 경우에는 적절한 조치
를 취해야 한다.
(가) 새로운 콘크리트를 이음타설 할 경우는 거푸집 등을 점검하여 이음 타설
표면에 레이던스, 저품질 콘크리트, 잡물 등을 완전히 제거해 자갈을
노출시키고, 신 콘크리트를 이음 타설하기 직전에 충분히 물로 적신다.
(나) 이음 타설 면에 보통 약 15mm 두께의 몰타르를 깔고, 그 위에 이음타설
콘크리트를 시행한다. 이 때 몰타르의 물/시멘트 비는 사용 콘크리
트의 물/시멘트 비 이하로 한다.
1.4 끝부분 마감
(1) 주체부 콘크리트의 상면은 윗면에 경사를 주어 마감한다.
(2) 주주재와 사재를 통해 강하하는 빗물이 콘크리트 상면에서 빠르게 흘러내
려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있는 주 각재를 따라 침투하지 않도록 상면을 경사지게
마무리 한다. 경사는 1/5을 표준으로 한다.
(3) 상면 콘크리트의 상단 4변과 지상 돌출부의 모서리는 다듬기를 하고, 주
주재에 부착되어 있는 콘크리트는 맑은 물로 깨끗이 세척한다.(그림 4)
1.5 양생
(1) 콘크리트는 타설 후 저온, 급격한 온도변화, 건조, 하중 등의 유해한 영향
을 받지 않도록 충분히 양생한다.
(가) 서리, 직사광선, 바람 및 굵은 비에 대해서 콘크리트 노출면을 보호한다.
(나) 콘크리트가 충분히 굳을 때까지 과도한 하중을 가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다) 콘크리트의 경화 중에는 적당한 온도를 유지한다.(그림 5)
(라) 콘크리트의 경화 중에 충분한 습기를 유지한다.
(2) 콘크리트의 노출면은 거적, 천 등을 적셔서 덮거나 물을 뿌려서 일정기간
습윤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가) 콘크리트는 재령의 초기에 경화가 현저하게 진행하고, 습윤 양생효과의
대부분은 초기의 양생에 의해 좌우된다.
(나) 보통포틀랜드시멘트는 5일 이상, 조강포틀랜드시멘트는 3일 이상을 통상
양생기간으로 하고 있다.
(다) 조강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는 특히 초기발열량이 커서 균열
이 생기기 쉬우므로 초기 3일간은 충분히 습기를 주어 건조에 따른 균열
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3) 거푸집의 합판이 건조해질 우려가 있을 때에는 여기에도 물을 뿌린다.
(4) 콘크리트의 균열은 경화 전후 발생하기 때문에 충분히 주의할 필요가 있으
- 148 -
SOP-FT-IT06 콘크리트 작업
며 균열의 종류, 발생원인 및 대책은 (표 7)과 같다.
그 림 3 신구콘크리트의 이음타설
그림 4 지상돌출부의 모서리 다듬기
2.작업
설명도
그림 5
그림 6 슬럼프시험
보온양생
3.1 배합
(1) 콘크리트의 배합은 보통 콘크리트의 소요강도, 내구성, 수밀성 및 작업에
맞는 유동성이 얻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배합을 정하기 위한 요소는 다음과 같다.
(가) 부재칫수, 철근간격, 설비 등으로부터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를 정한다.
(나) 구조물의 종류, 다지기 방법 등에 따라 정한다.
(다)
강도, 내구성 등으로부터 물, 시멘트의 비율을 정한다.
(2) 물, 시멘트의 비는 콘크리트의 소요강도, 내구성, 수밀성을 기본으로 해 정한다.
(가) 물과 시멘트의 비(중량비)를 작게하는 것은 양질의 콘크리트를 만드는
기본 건이며, 일반적으로 50%~~65% 정도이다.
3.주요
착안
사항
(나) 실험 자료에 의하면 시멘트/물의 비율(물/시멘트의 비율의 역수) C/W와
압축강도와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① 보통시멘트 :
F 28 = - 146
+
265 C/W
② 조강시멘트 :
F 28 =
+
225 C/W
- 30
단, 슬럼프 12cm,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는 40mm
(3) 콘크리트의 콘시스턴시(consistency)는 작업에 적합한 범위 내에서 가능한
한 작은 슬럼프로 한다.
(4) 배합의 목표인 콘크리트의 품질은 운반, 타설 방법, 타설 개소의 상태 등
을 고려해서 정한다.
- 149 -
SOP-FT-IT06 콘크리트 작업
(가) 배합강도는 설계기준강도에 콘크리트강도의 표준편차를 고려하여 정한다.
(나) 표준적인 철탑기초의 콘크리트강도의 표준편차는 35kg/cm2로 한다.
표1 콘크리트의 표준배합강도
설계기준강도
Fc (kgf/cm2)
표준배합강도
F=Fc + 35 (kgf/cm2)
135
170
180
215
225
260
240
275
270
305
300
335
(5) 현장배합에는 재료의 상태, 계량방법에 맞는 시방배합 콘크리트가 되도록 한다.
(6) 배합의 결정에는 시험비빔의 결과에 따라 슬럼프 값, 슬럼프의 상태, 공기
량에서 단위물량, 세골재율, AE제의 양 등을 조정한다.
(7) 슬럼프시험은 KS F 2402『콘크리트의 슬럼프시험방법』에 의해 동일 장소에
서 1일 1회 이상 또는 철탑 매기별 1회 이상 실시한다.(그림 7)
그림 7 슬럼프 측정기구
그림 8 슬럼프시험용 공시체제작
(가) 슬럼프 측정시의 주의사항
① 슬럼프 시험은 가능하면 2회 실시하고 그 평균을 취한다.
② 슬럼프콘을 수직으로 올렸을 때 콘크리트가 무너지거나 물이 흘러나오거나
하는 경우에는 시험의 의미가 없으므로 새로운 시료로 바꾸어 실시한다.
③ 슬럼프 측정 후 콘크리트 측면을 다짐봉으로 가볍게 두드려 콘크리트의
분리 등을 관찰하여 품질평가에 참조한다.
➃ 콘크리트의 품질이 좋은 것은 무너지거나 분리되지 않고 원형을 유지
하면서 침하한다.
- 150 -
SOP-FT-IT06 콘크리트 작업
➄ 슬럼프시험에는 슬럼프콘(상단내경 10cm, 하단내경 20cm, 높이 30cm의
철재거푸집), 다짐봉(직경 16mm, 길이 50cm의 환봉으로 끝이 뾰족),
슬럼프 측정기 등의 기구를 사용한다.
(나) 슬럼프 측정의 순서
① 시료의 굵은 골재 최대치수가 40mm이상 콘크리트의 경우에는 체 등으로
40mm 이상의 굵은 골재를 걸러낸다.
② 슬럼프콘은 내면을 모포로 닦아서 수평으로 설치한 수밀성의 철판위에 놓는다.
(그림 3)
③ 시료를 용적이 거의 같게 3층으로 나누어 담는다(제1층은 6cm, 제2층은
15cm, 제3층은 30cm의 각각 밑면에서의 높이로 하면 거의 3등분으로 된다.
④ 각층은 다짐봉으로 고른 후 25회 균등하게 찔러 다진다. 25회 찔러서
재료의 분리가 생길 우려가 있을 때에는 약 10회 균등하게 찔러 다진다.
⑤ 각 층을 찌를 경우 다짐봉의 다짐깊이는 그 전층에 겨우 닿을 정도로 한다.
⑥ 슬럼프콘에 채운 후 상면을 상단에 맞추어 고르고, 슬럼프콘을 조용히
연직으로 인상하여 콘크리트의 주저앉음을 cm로 측정한다.
(8) 공기량의 측정은 KS 규격에 따라 실시한다(그림 9)
(9) 콘크리트 강도는 KS F 2405『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에 의해 실시한다.
(그림 10)
그림 9 공기량 측정
그림 10 압축강도 시험
3.2 레미콘
(1) 레디믹스트 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는 KS 규격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2) 공장은 원칙적으로 KS마크 표시허가 공장으로 하고, 현장까지의 운반시간,
콘크리트 제조능력, 운반차수, 제조설비, 품질관리상황 등을 고려해서 선정을 한다.
(가) 공장의 선정에는 콘크리트의 운반소요시간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 운반
시간의 한도는 일반적으로 1.5시간 이내에 하도록 되어 있고, 이 시간
내에 콘크리트의 운반이 가능한 거리이어야 한다.
(3) 콘크리트를 발주할 경우에는 설계기준강도, 슬럼프,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등을 지정해서 원하는 강도가 나올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가) 콘크리트의 발주에는 시멘트의 종류, 골재의 종류, 물과 시멘트의 비
- 151 -
SOP-FT-IT06 콘크리트 작업
또는 단위 시멘트 량의 한도, 공기량, 기타 등의 지시를 해야 한다.
(4) 콘크리트의 현장도착시 품질은 각각 지정 치에 대하여 규격의 허용범위 이내에
있어야 한다.
(가) 염화물 함유량 허용범위 : 콘크리트 배출지점에서 염소이온(Cℓ)량으로
0.30 kg/㎥ 이하 (단, 승인을 얻은 경우는 0.60 kg/㎥ 이하도 가능)
(나) 콘크리트의 강도
① 규정에 의한 시험결과가 설계기준강도(또는 지정강도)보다 낮을 확률이
1/6 이상이 되어서는 안 되며, 시험결과중 하나라도 설계기준강도(또는
지정강도)의 70% 이하가 있어서는 안 된다.
② 콘크리트 강도를 검사하기 위한 시험횟수는 원칙적으로 50 ㎥에 대해 1
회로 한다. 1회의 시험결과는 임의의 1운반차에서 채취한 시료로 만든 3
개 공시체의 평균치로 나타내고, 1종류의 콘크리트는 최소 3회의 시험에
의 한 대표치로 한다.
(다) 용적 : 인도할 때의 용적은 ㎥로 나타내고 정해진 시험방법에 의한 결과가
납품서에 기재한 용적을 미달해서는 안 된다.
(라) 염분함량시험 : 현장 도착 레미콘 1차(6㎥ 전후)마다의 시험을 원칙으로 한다.
3.3 운반
(1) 비빔에서 타설이 끝날 때까지의 시간은 온도, 습도, 운반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음을 표준으로 한다.
(가) 온화하고 건조해 있을 경우 : 1시간 이내
(나) 저온으로 습윤해 있을 경우 : 2시간 이내
(2) 콘크리트의 운반방법
(가) 손수레 및 트럭
(나) 운반차 : 트럭믹서
(다) 벨트콘베이어 : 운반각도는 된비빔 30[도] 이하, 묽은비빔 15[도] 이하로 설치
(라) 콘크리트 펌프
➀ 타설시 수송관의 배출구를 적당히 이동시키면서 타설하고, 1개소에 다량
의 콘크리트를 배출해서 가로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➁ 펌프수송관의 직경은 120mm, 150mm가 표준이며, 수평 또는 윗방향으로 보관한다.
➂ 콘크리트의 배합은 펌프압송에 적합하도록 굵은 골재의 최대칫수 50mm이
하, 슬럼프 8~15cm로 하고, 단위 시멘트량, 잔골재율의 보정을 한다.
(마) 삭도 : 현장도착 후 비빔판 위에서 충분히 비빈후 타설한다.
(바) 헬리콥터 : 운반조건이 나쁜 산악지의 현장에 적합
(사) 슈트 : 고무 제 또는 금속제의 관을 이어서 자유로이 굴곡할 수 있는 구조
➀ 슈트는 철제, 철판으로 콘크리트 재료의 분리가 일어나기 어려운 경사로 한다.
➁ 전체에 걸쳐 가능한 한 동일경사로 한다.
- 152 -
SOP-FT-IT06 콘크리트 작업
➂ 슈트 입구에는 비빔 판을 설치해서 고쳐 비빈 후 타설한다.
➃ 슈트 하단과 콘크리트 면과의 거리는 1.5m 이하로 하고, 토출 구에는
재료 분리방지 판을 취부 한다.
➄ 슈트는 그 사용전후 물로 충분히 닦아내고, 그 물이 거푸집으로 흘러들
지 않도록 한다.
(3) 비벼놓은 콘크리트와 운반도중에 분리가 일어난 콘크리트는 비빔판 위에서 거
듭 비빔을 한다. 단, 응결이 시작된 콘크리트를 되 비비기 해서 사용해서는 안 된다.
3. 특수 콘크리트
1.1
한중콘크리트
(1) 비빔 및 타설
(가) 콘크리트의 비빔, 운반, 타설에는 열량의 손실이 적어지도록 한다.
(나) 가열한 재료를 믹서에 투입하는 순서는 물, 골재, 시멘트 순으로 한다.
(다) 타설시 콘크리트의 온도는 10~20℃를 원칙으로 한다.
(라) 철근, 거푸집에 부착되어 있는 빙설은 더운 물 등으로 녹여서 제거한다.
(마) 지반이 동결되어 있을 경우에는 불을 피우거나 열풍을 가하여 녹인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바) 경화촉진 또는 동결온도를 내리기 위한 혼화제 등은 함부로 사용하지 않는다.
(사) 콘크리트 타설은 하루 중 따뜻한 시기에 실시하고, 늦어도 저녁에는 완료시킨다.
(2) 양생
(가) 콘크리트 타설 후는 동결되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1.작업
순서
➀ 콘크리트 내부는 경화 열로 동결할 우려가 적지만 표면이나 모서리 등
은 동결하기 쉬우므로 보호할 필요가 있다.
➁ 기온이 그다지 낮지 않더라도 한랭풍이 표면에 닿으면 동결할 수 있으므로 보온 조치를 한다.
1.2 서중 콘크리트
(1) 비빔 및 타설
(가) 콘크리트 중의 수분흡수를 방지하기 위해 타설 전에 거푸집, 철근, 잡석
등에 물을 충분히 흡수시킨다.
(나) 타설시 콘크리트 온도가 높으면 급결의 위험이 있고, 균열이 생기기 쉬
우므로 콘크리트 타설 시의 온도는 35℃ 이하로 한다.
(다) 비빈 콘크리트는 가능한 한 빨리 타설하고, 콘크리트의 운반시간이 길게
되는 경우에는 덮개를 씌워서 수분의 증발을 막는다.
(2) 양생
(가)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직사광선이나 따뜻한 바람에 의해 노출면이
건조하지 않도록 하고, 필요할 경우 때때로 물을 뿌려준다.
- 153 -
SOP-FT-IT06 콘크리트 작업
1.3
수중 콘크리트
(1) 타설
(가) 최저온도 2℃ 이하의 수중에는 타설하지 않는다.
(나) 콘크리트는 고인물 또는 유속 3.0 m/분 이하의 수중에서 타설해야 한다.
➀ 적당한 물 막음을 해서 물이 흐르지 않게 한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그림 11)
➁ 흐르는 물속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은 시멘트 성분의 유실이나 레이턴스 발생을 일으킨다.
(2) 양생 : 콘크리트 타설 후는 충분히 굳어서 강도가 나올 때까지 펌프를 사
용하여 물을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2.작업
설명도
그림 11 수중콘크리트 타설
그림 12 트레미관을 이용한 타설
3.1 한중콘크리트
(1) 적용범위
(가) 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타설 후의 평균기온이 4℃ 이하가 될 경우에는 한
중 콘크리트로 취급하여 시공한다.
(나) 여기서 언급하는 착안점 이외에는 “일반 콘크리트”의 시공 방법에 따른다.
(2) 재료의 관리
(가) 골재는 실내에 저장하거나 보온시트로 덮고, 빗물을 직접 맞지 않도록 한다.
➀ 자갈, 모래 등이 동결되어 있는 경우 그대로 사용하면 콘크리트 온도가
3.주요
착안
사항
저하, 동결될 우려가 있다.
➁ 골재에 빙설이 혼합되어 있는 경우 그대로 사용하면 콘크리트 온도의 저
하는 물론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곤란하므로 적당한
시설을 설치하여 저장한다.
➂ 운반중의 골재가 빙설이 혼입되지 않도록 덮개로 막는다.
(나) 물과 골재는 기온과 공사 상황에 따라 가열해서 사용한다.
➀ 콘크리트에 열을 가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물을 가열하는 것이 편리하지
만 온수의 온도는 시멘트가 급결을 일으키지 않는 정도의 온도이어야 한다.
➁ 온도가 0℃~3℃에서는 적당한 보온이 필요하며 동시에 물 또는 물과 골
재를 가열한다.
- 154 -
SOP-FT-IT06 콘크리트 작업
(다) 기온이 3℃ 이하에서는 본격적인 한중 콘크리트 시공법으로 한다.
➀ 골재를 65℃ 이상으로 가열하면 시멘트를 급결 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최
고 65℃로 하고, 일반적으로는 물과 골재의 혼합온도를 40℃로 한다.
➁ 시멘트를 직접 가열하면 안된다.
(3) 배합
(가) 한중콘크리트는 AE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소요 워커빌리티를 얻는데 필요
한 단위수량을 줄이고, 동결에 대한 저항성을 높게 한다.
(나) 콘크리트의 동결에 의한 피해를 막기 위해 가능한 한 수량을 적게 한다.
(4) 양생
(가) 양생온도
➀ 양생 중인 콘크리트의 온도는 약 10℃로 유지하는 것을 표준으로 한다.
➁ 최저기온이 0℃~4℃의 경우는 시트, 거적 등을 덮어 방풍 조치한다.
➂ 최저기온이 0℃~ -3℃의 경우는 시트와 거적을 겹쳐 방풍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난로 등으로 보온한다.
(나) 보온 양생이 끝난 후에도 콘크리트는 가능한 한 0℃ 이상으로 유지할 필
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바로 되 메우기를 해서 지중 보온의 상태로 할 경
우 지상에 나온 콘크리트의 표면은 특히 양생에 주의한다.
(다) 양생가열을 할 경우에는 가능한 한 전면을 동일하게 가열하여 온도차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라) 보온 양생에 의해 온도가 올라간 콘크리트를 급격하게 차게 해서는 안 된다.
(마) 이 밖의 양생에 관한 것은 “일반 콘크리트 - (양생)”을 참조
3.2 서중 콘크리트
(1) 적용범위
(가) 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타설후의 평균기온이 25℃ 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
되는 경우에는 서중 콘크리트로 취급하여 시공한다.
(나) 여기서 언급하는 착안점 이외에는 “일반 콘크리트”의 시공 방법에 따른다.
(2) 재료의 관리
(가) 고온의 시멘트를 사용하면 콘크리트가 급결 하거나 균열이 생기므로 사용 하지 않는다.
(나) 골재는 방수포 등으로 덮어 직사광선을 피하고, 뜨거워진 골재는 사용 전에
차가운 물을 뿌려 식힌 후 사용한다.
(다) 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가능한 한 저온의 것을 사용한다.
(3) 배합
(가) 비빔과 타설 중에 증발할 물을 예측해서 물을 다소 많이 배합하면 작업성이 좋다.
(나) 혼화재료의 혼합은 설계 담당자의 승낙을 얻은 후에 사용한다.
3.3 수중 콘크리트
(1) 적용범위
- 155 -
SOP-FT-IT06 콘크리트 작업
(가) 일반적으로 수중 콘크리트는 그 시공조건 때문에 강도상 불안하므로 가
능한 한 콘크리트의 수중 타설은 피하는 것이 좋다.
(나) 용수가 많은 지반에서의 우물통 기초를 시행할 경우 기초체 콘크리트의
수중 시공을 피하기 위한 물막이 콘크리트나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기초
등에 사용한다.
(다) 여기서 언급하는 착안점 이외에는 “일반 콘크리트”의 시공 방법에 따른다.
(2) 재료 및 배합
(가) 단위 시멘트량은 370kg 이상으로 하고, 물/시멘트 비는 50% 이하로 한다.
➀ 시멘트는 수중에서 빨리 굳도록 조강시멘트를 사용한다.
➁ 수중에 타설한 콘크리트의 강도는 시멘트의 유실 때문에 같은 배합의
표준콘크리트 경우보다 50%~90% 밖에 얻을 수 없으므로 단위 시멘트 량
을 올려 물/시멘트 비를 내린다.
(나) 골재에는 세골재를 많이 사용하여 세골재율을 크게 한다.
➀ 세골재율을 크게 하면 콘크리트 점체의 점성이 올라가고, 수중에서의 재료분리를 억제한다.
➁ 일반적으로 세골재율은 40~45%를 표준으로 한다.
3.4 수중 콘크리트 타설시 주의사항
(1) 콘크리트 면은 가능한 한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소정의 높이 또는 수평 상에
도달할 때까지 연속해서 친다.
(2) 레이턴스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콘크리트 타설 중에는 콘크리트를
휘젓지 않는다.
(3) 콘크리트 타설 중에는 펌프를 사용하지 않는다.
(4) 콘크리트의 슬럼프는 7~18 cm를 표준으로 한다.
표 2 수중콘크리트의 시공방법별 슬럼프의 표준
시 공 방 법
슬럼프의 범위 (cm)
트레미, 콘크리트펌프
13 ~ 18
밑열림상자, 밑열림포대
10 ~ 15
포대 콘크리트
7 ~ 12
(5) 콘크리트는 직접 물속에 치지 말고, 트레미와 밑 열림 상자 등을 이용하
여 타설한다.(그림 12)
4. 펌프 타설
1.작업
순서
1.1 배관루트
(1) 압송거리나 현장의 지형, 고저 차, 타설 량 등을 고려하여 압송배관루트를 계획한다.
- 156 -
SOP-FT-IT06 콘크리트 작업
(2) 압송조건은 콘크리트 펌프에 걸리는 압송부하 및 폐쇄에 대한 안전도를
고려하여 정한다.
(3) 압송가능거리를 산정한다.
(가) 콘크리트 펌프 카의 능력
(나) 배관의 내경
(다) 배관의 구부림 수평각도와 구부림 개소의 수
(라) 후렉시블 호스의 길이
1.2 콘크리트 압송
(1) 콘크리트의 압송은 연속하여 실시하며, 타설 도중에 쉬지 않도록 콘크리트
차
를 대기시켜 둔다.
(2) 타설 시엔 수송관의 배출구를 적당히 이동하고, 1개소에 다량의 콘크리트
를 배출하고 가로 이동 시키지 않는다..
2.작업
설명도
그림 13 콘크리트 타설 및 다짐
3.1 재료 및 배합
3.주요
착안
사항
(1) 콘크리트의 배합은 펌프압송에 적합하도록 조골재의 최대치수를 40mm 이
하, 슬럼프를 8~18cm로 하고, 압송효율을 올리기 위하여 함부로 슬럼프를
크게 하지 않는다.
(2) 필요에 따라 단위 시멘트 량, 세골재율의 보정을 한다.
3.2 콘크리트의 타설 방법은 “2 일반 콘크리트”를 참조한다.
- 157 -
SOP-FT-IT06 콘크리트 작업
5. 카믹스 타설
1.1 필요한 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카 믹스에 물을 직접 싣고 운반하거나,
PVC 탱크를 이용하여 운반한다.
1.2 재료를 혼합하기 전에 모래, 자갈의 굵기를 조사하여 필요시 기준강도에 적
합한 재료의 배합비율을 조절한다. 모래나 자갈의 굵기가 너무 작거나 너무
1.작업
순서
크면 콘크리트 강도가 저하되므로 시멘트의 양을 늘리는 쪽으로 조정한다.
1.3 작업장의 배치는 카 믹스의 운행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배치한다.
1.4 물은 호스를 이용하여 카 믹스에서 필요한 양만큼을 흡입하고, 모래와 자갈
은 카 믹스의 버켓을 이용하여 1~2m의 전, 후진 이동만으로 직접 투입이 가능
하다.
5 m
모래
7 m
2.작업
설명도
시
멘
트
자갈
진입도로
물
3 m
카믹스
슈트
기초체
그림15 카믹스(3.5T)
그림14 카믹스의 작업장
3.1 카 믹스에 투입된 재료는 배합비율에 따라 자체적으로 계량을 하고 남는 재료는
배출시킴으로서 정확한 배합이 가능하다.
3.주요
착안
사항
3.2 재료의 혼합이 완료되면 재료의 배합비율을 롯트별, 기별, 일자별로 출력하
여 기록으로 보존하고, 시공기록 작성 시 참조 또는 첨부한다.
3.3 믹서드럼은 300도까지 회전이 가능하므로 타설방향을 쉽게 조정할 수 있다.
3.4 재료의 투입에서 타설까지의 소요시간은 3.5㎡ 타설을 기준으로 할 때
약 25~30분 정도 소요된다.
- 15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