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내과학회지: 제 81 권 제 5 호 2011 특 집(Special Review) - 호지킨 림프종 진행성 호지킨 림프종의 치료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내과학교실 종양혈액내과 김 성 용 Treatment of Advanced Hodgkin Lymphoma Sung-Yong Kim Division of Hemato-Onc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The major portion of Hodgkin lymphoma (HL) patients, even at an advanced stage can be cured with optimal initial treatment. ABVD (doxorubicin, bleomycin, vinblastine, dacarbazine) is the standard treatment regimen for the advanced stage HL, while Stanford V (doxorubicin, vinblastine, mechlorethamine, vincristine, bleomycin, etoposide, and prednisone) and escalated BEACOPP (bleomycin, etoposide, doxorubicin, cyclophosphamide, vincristine, procarbazine, and prednisone) can be reasonable alternatives for selected patients. Although radiotherapy is the key component in Stanford V regimen, radiotherapy should be applied only at the residual lymphoma in patients who received ABVD and BEACOPP therapy. These three representative treatments for advanced HL have individual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so that the choice of the initial treatment should be dependent on patients’ relapse risk, comorbidity, and age. (Korean J Med 2011;81:562-568) Keywords: Hodgkin lymphoma; Treatment; Chemotherapy; Radiotherapy 서 론 후인자에 따른 위험도는 물론 환자의 연령 및 동반된 질환 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이 글은 진행된 병기(3기 또는 4기) 호지킨 림프종은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에 잘 반응 호지킨림프종 환자에서 1차 치료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각 하기 때문에 비록 진행된 병기, 즉 3기 또는 4기라 할지라도 치료법의 특성을 기술하여, 환자에 따른 개별적인 치료 선택 적절한 1차 치료만으로 50-80%의 환자가 장기 무병생존이 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가능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1-3]. 진행된 호지킨림프종의 표준 치료는 다약제로 구성된 복합항암화학요법을 기본으로 본 론 하며, 필요시 방사선 치료를 추가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4,5]. 화학요법의 종류 및 방사선 치료 여부에 따라 독성, 합 진단 및 병기 평가 병증 및 치료 성적이 다르기 때문에 치료 선택은 환자의 예 아형을 포함한 정확한 병리학적 진단이 반드시 우선되어야 Correspondence to Sung-Yong Kim, M.D., Ph.D. Division of Hemato-Onc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onkuk University Medical Center, KonKuk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4-12 Hwayang-dong, Gwangjin-gu, Seoul 143-729, Korea Tel: +82-2-2030-7539, Fax: +82-2-2030-7748, E-mail: [email protected] - 562 - - Sung-Yong Kim. Treatment of advanced Hodgkin lymphoma - 한다. 특히 lymphocyte-predominant Hodgkin lymphoma (LPHL) 로 정의하고 있다[4]. 는 classical Hodgkin lymphoma (CHL)에 비하여 다른 생물학 항암화학치료 적 특징 및 다른 임상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치료의 선택이 현재 1차 치료로 주로 선택되는 복합항암화학요법은 ABVD CHL과 다르다. 병리학적 진단 후 영상학적 검사를 통한 질환의 위치 및 (doxorubicin, bleomycin, vinblastine, dacarbazine), Stanford V 침범범위를 판단하여 병기를 결정하게 된다. 흉부 X-선 검 (doxorubicin, vinblastine, mechlorethamine, vincristine, bleomycin, 사, 경부, 흉부, 복부/골반 CT (Computed Tomography; 컴퓨터 etoposide, and prednisone) 그리고 BEACOPP (bleomycin, etoposide, 단층 촬영), 그리고 골수 검사는 병기를 파악하기 위해 진단 doxorubicin, cyclophosphamide, vincristine, procarbazine, and 당시 반드시 시행하여야 할 항목이며, 최근 개정된 반응평가 prednisone)이 있다. 각 요법의 약제 용량 및 투여 스케줄은 기준에 따라 평가하기 위해서는 PET (positron-emission tomography; 표 1에 정리하였다. 이 중 지금까지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는 요법은 ABVD로, 양전자방출단층촬영술)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6]. 이전에 사용되었던 MOPP (mecholorethamine, vincristine, 검사실 검사 및 치료 전 기능 평가 procarbazine, and bleomycin)보다 효과 및 독성면에서 모두 과거력 및 B 증상(10% 이상의 체중감소, 발열 및 야간 우월함이 입증되었다[7]. 이후 ABVD의 변형인 EVA (etoposide, 발한)을 포함한 병력을 자세히 청취하고, 환자의 수행능력을 vinblastine, and doxorubicin), VEBA (EVA plus prednisone) 평가해야 한다. 국제 예후인자 평가에 필요한 혈액검사를 포 등이 소개되었으나 낮은 효과를 보였고, MOPP과 ABVD 두 함한 검사실 검사를 시행한다. 치료 관련 갑상선기능저하, 요법이 혼합된 MOPP-ABV이 소개되었으나 ABVD 단독요법 심장독성, 폐독성, 불임, 이차 악성질환 등의 합병증이 생길 에 비해 독성은 더 크고 효과 면에서는 비슷한 것으로 밝혀 수 있기 때문에 선택하고자 하는 치료요법의 흔한 합병증을 졌다[8,9]. 고려하여 갑상선 기능 검사, 심초음파 및 폐기능검사를 치료 그 외 다른 여러 병합요법들이 소개되었으나 모두 ABVD 전 시행하고, 환자의 연령 및 향후 임신 필요성에 따라 정자 에 비하여 장점이 없어 ABVD가 현재까지는 진행성 호지킨 및 난자를 채취 보관을 고려하여야 한다. 림프종의 표준치료으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이후 소개된 Stanford V는 항암화학요법의 장기 독성을 최소화하고자 고 예후 평가 안되었고, BEACOPP은 용량을 높여 투여함으로써 고위험군 1998년 발표된 대규모 국제적인 다기관 연구결과에서 진 에서 치료 반응률이 ABVD보다 높다는 것이 증명되었기 때 행성 호지킨림프종에 대한 7개의 불량한 예후인자가 알려졌 문에 선택적인 상황에서는 좋은 치료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다[1]. 45세 이상의 연령, 남성, 병기 4기, 혈중 알부민 4 g/dL 미만, 혈색소 10.5 g/dL 미만, 말초혈액 백혈구 15,000/mm3 초과, ABVD 요법 3 그리고 말초혈액 림프구 600/mm 미만(또는 총백혈구의 8% 진행된 호지킨림프종 환자의 대략 80%가 1차 치료로서의 미만)이 이에 해당한다. 이 일곱 가지 항목 중 환자가 가지고 ABVD에 완전반응을 보이고, ABVD로 치료받은 환자의 약 있는 불량예후인자의 수를 international prognostic score (IPS) 1/4 정도만이 질병진행을 이유로 다른 치료를 받아야 하는 라 하며, 1983년부터 1992년까지 치료받은 5,141명의 환자의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10]. ABVD는 28일 간격의 복합항암 IPS가 0, 1, 2, 3, 4 그리고 5 이상일 경우, 5년간 질병무진행률 화학약제를 반복적으로 6-8회 시행하게 된다. 진행된 호지킨 (freedom from progression)은 각각 84%, 77%, 67%, 60%, 51%, 림프종의 경우 반드시 최소 6주기의 치료를 해야 하며, 그리고 42%으로 나타났다[1]. NCCN 가이드라인에서는 6주기 치료 후 완전반응을 얻은 경우 7개의 불량한 예후인자가 발표된 이후의 임상시험은 IPS 치료를 그만 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고[4], European Society 를 기준으로 고위험군을 IPS 3-4 이상을 기준으로 정의하여 for Medical Oncology (ESMO)에서는 8주기를 표준치료로 진행되곤 하였으며, 현재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가이드하고 있다[5]. 비교 연구 결과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Network (NCCN)에서는 IPS가 4 이상인 경우를 고위험군으 6주기 또는 8주기까지 치료할 것인지는 현재로서는 선택 사 - 563 - - 대한내과학회지: 제 81 권 제 5 호 통권 제 615 호 2011 - Table 1. Chemotherapeutic regimens used for the initial treatment of Hodgkin’s lymphoma Regimen Dosage and schedule Frequency 25 mg/m2 IV on days 1 and 15 Repeat cycle every 28 days ABVD [7] Doxorubicin 2 Bleomycin 10 units/m IV on days 1 and 15 Vinblastine 6 mg/m2 IV on days 1 and 15 Dacarbazine 375 mg/m2 IV on days 1 and 15 STANFORD V [14] Doxorubicin 25 mg/m2 IV on days 1 and 15 Repeat cycle every 28 days for a total of 3 cycles Radiotherapy to initial sites 5 cm or larger (dose: 36 Gy) 2 Vinblastine 6 mg/m IV on days 1 and 15 Mechlorethamine 2 6 mg/m IV on day 1 Vincristine 1.4 mg/m2 (maximum 2 mg) IV on days 8 and 22 Bleomycin 5 units/m2 IV on days 8 and 22 Etoposide 2 60 mg/m IV on days 15 and 16 Prednisone 40 mg/m2 oral every other day × 9 weeks then taper Standard dose BEACOPP [17] Bleomycin 10 units/m2 IV on day 8 Etoposide 100 mg/m2 IV on days 1 through 3 Doxorubicin 25 mg/m2 IV on day 1 Cyclophosphamide 2 650 mg/m IV on day 1 Vincristine 1.4 mg/m2 (maximum 2 mg) IV on day 8 Procarbazine 100 mg/m2 oral on days 1 through 7 Prednisone 2 40 mg/m oral on days 1 through 14 Repeat cycle every 21 days Escalated BEACOPP [17] Bleomycin 10 units/m2 IV on day 8 Repeat cycle every 21 days 2 Etoposide 200 mg/m IV on days 1 through 3 Doxorubicin 35 mg/m2 IV on day 1 Cyclophosphamide 1250 mg/m2 IV on day 1 Vincristine 2 1.4 mg/m (maximum 2 mg) IV on day 8 Procarbazine 100 mg/m2 oral on days 1 through 7 Prednisone 40 mg/m2 oral on days 1 through 14 G-CSF SQ starting on day 8 항이다.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음성이면 관찰하고, 양성으로 확인되 ABVD요법 이후 완전반응을 얻은 환자에서 공고치료의 의미로 방사선 치료를 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고 있다. 6-8주 면 방사선 치료 내지는 진행성 질환으로 간주하고 구제치료 를 하라고 권유하고 있다. 기 이후에 영상학적 검사에서 잔여 림프종이 있다면 방사선 치료선택을 할 때 염두 해야 할 ABVD의 독성은 bleomycin 치료를 하는 것이 ESMO의 가이드라인이며, NCCN에서는 에 의한 폐독성, doxorubicin에 의한 심장독성, 그리고 흔하 - 564 - - 김성용. 진행성 호지킨 림프종의 치료 - 지 않지만 불임이다. 한 연구에서는 141명의 호지킨림프종 신경병, 자율신경병이 있다[1]. 이는 vincristine 및 vinblastin 신환에서 bleomycin 관련 폐독성은 25명에서 관찰되었고 이 이 짧은 기간 내 반복적으로 투여되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중 24%가 사망하였다고 했다[11]. 사망한 환자는 모두 45세 장기 합병증으로는 이차 악성질환이 보고되어 있으며, 단 이상이었고, 폐독성의 또 다른 위험인자는 중격동 방사선조 일기관 6.9년간의 장기 추적에서 256명의 환자 중 2명이 사이었다. 따라서 고령이면서 중격동 방사선 치료가 꼭 필요 방사선 치료 부위에서 유방암이 생겼고, 다른 세명의 환자가 할 것으로 예견되는 환자에서는 폐기능 검사 및 폐 영상 검 방사선 치료 부위가 아닌 곳에서 고형암이 생겼다고 보고되 사를 주기적으로 검사되어야 할 것이다. ABVD 6회 투여의 었다. 불임에 대한 합병증은 없었다[14]. 2 총 doxorubicin 양은 300 mg/m 이기 때문에 심장독성은 흔 따라서 Stanford V는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에 상관 하게 생기지 않지만, 장기 심독성 관련이 있어서는 방사선 없이 방사선 치료를 계획하고 있는 환자나 bleomycin과 치료를 하지 않았더라도 ABVD 치료 환자가 일반인에 비하 doxorubicin의 부작용에 취약한 환자, 그리고 향후 임신을 계 여 심근경색의 위험도가 7.8배로 높다고 보고되었다[12]. 젊 획하는 환자의 치료로 선택할 수 있을 것이다. 은 연령의 환자들의 불임에 관한 연구에 의하면, ABVD는 20-30%에서 무정자증 및 정자부족을 일으키지만 모든 환자 BEACOPP 요법 에서 결국은 회복되었다고 보고되었기 때문에 불임에 대한 BEACOPP은 ABVD에 비하여 bleomycin 및 doxorubicin의 주기당 투여 용량을 줄이는 대신 etoposide와 cyclopho- 위험도는 높지 않다고 하겠다[13]. sphamide를 추가하고 치료 주기를 늘려 전체 강도를 강화 Stanford V 요법 시킨 항암화학요법으로, “standard dose BEACOPP”과 일부 Stanford V는 2기의 bulky 질환과 3-4기의 진행된 호지킨 약제들을 증량한 “escalated BEACOPP”이 있다[17]. IPS가 림프종에서 이용되는 요법이며, 항암화학요법의 장기 부작 낮은 진행된 호지킨림프종 환자는 standard dose BEACOPP 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항암화학요법의 치료 주기를 줄이고 이 사용되며 IPS가 높은 환자의 경우 escalated BEACOPP이 방사선 치료를 기본으로 추가하도록 고안된 치료법이다. 28 사용된다[18]. 고위험군에서 초기기 2-3주기의 escalated 일 간격으로 3주기, 총 12주로 이루어진 단기간의 집중적인 BEACOPP으로 완전반응을 보인 경우 나머지 치료주기에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후 방사선 치료를 하는 것으로 이루 는 standard dose BEACOPP으로 변경할 수 있다[19]. 어져 있다. 잔여 병소, 진단 시 5 cm 이상 크기의 종괴 부위, 진행된 호지킨림프종 환자의 80-95%가 1차 치료로서의 그리고 림프종이 침범된 비장에 방사선 치료를 하게 된다. BEACOPP에 완전반응을 보였으며 5년 전체생존율은 약 doxorubicin과 92%로 보고되었다. 특히 escalated BEACOPP은 치료반응률 bleomycin의 전체 투여 용량은 ABVD에 비하여 낮지만 그 및 무진행생존율에서 ABVD에 비하여 우월함이 증명되었다. 대신 다른 항암약제를 추가하여 항암화학요법의 효과를 유 하지만 BEACOPP이 표준치료로서 자리를 잡지 못하는 지하도록 하였고 방사선 치료를 추가함으로써 치료효과를 이유는 ABVD에 비하여 높은 독성 때문이다. 대부분 항목에 강화시켰다. 서 치료 관련 합병증이 ABVD에 비하여 매우 높아, 특히 고 항암화학요법의 주기를 줄였기 때문에 Bulky 종괴가 있는 2기 환자를 포함한 초기 단일기관 임 령이거나 동반질환이 심각한 환자에서는 선택하지 않는 것 상시험에서 5년 질병무진행률이 80%가 넘는 매우 좋은 성 이 바람직하다. 한 연구에 의하면 Standard dose BEACOPP를 적을 보여주었고 짧은 치료 스케줄과 낮은 폐독성이 장점이 투여받은 66세에서 75세 사이의 환자의 50%가 독성으로 사 지만[14,15], 이후 진행된 ABVD와의 비교임상시험에서 진행 망하였다고 보고하였다[20]. 또한 escalated BEACOPP 치료 성 호지킨림프종 환자에서는 완전반응률이 대략 60% 정도 받은 환자의 대부분이 무정자증 및 이상 정자증을 보였고 로 보고되면서 반응률, 무진행 생존율, 전체생존율, 독성면 여자의 경우 대부분의 환자가 정상 난소기능을 유지하지 못 에서 ABVD에 비하여 우월함을 보이지 못했고, 몇몇 연구에 했기 때문에 임신을 계획하는 환자에서는 사용하기 힘든 요 서는 오히려 좋지 못한 성적을 보이기도 했다[16]. 법이라 하겠다. 급성백혈병의 발생률도 높아 5년 발생률 가장 흔한 급성 비혈액학적 독성으로는 감각신경병, 운동 이 standard dose BEACOPP의 경우 0.6%이고 COPP/ABVD - 565 - -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81, No. 5, 2011 - 의 경우 0.4%이었으나, escalated BEACOPP의 경우 2.5%로 비 bulky 종괴(> 5 cm)를 가진 환자에만 20-40 Gy를 국소적으로 교적 높게 관찰되었다[17]. 조사하여야 한다고 권유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비교연구에 의하면, 진행된 호지킨림프종 환 호지킨 림프종 환자의 방사선 치료 합병증에 대한 연구 자에서 ABVD가 escalated BEACOPP에 비하여 낮은 반응률 결과를 살펴보면, 경부 방사선 치료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을 과 낮은 무진행생존율(progression-free survival)을 보였지만 일으키며, 중격동 방사선 치료는 심장독성, 폐독성, 그리고 전체 생존율에서는 두 치료 간의 차이가 없었다[21]. 그 이유 유방암과 같은 고형암 발생 위험을 올린다고 보고되어 있다. 를 1차 치료로서 ABVD를 투여하였으나 진행하였거나 재발 심장독성으로는 협착성 심낭염, 삼출성 심낭염, 전도장애, 한 환자는 2차 치료로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을 통하여 충분히 판막결손, 관상동맥경화증, 심근손상 등이 있다. 이러한 심 구제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고, 거의 대부분의 장독성 발생 위험은 중격동 방사선 조사량을 최소화하고 심 환자가 생식선 독성으로 불임 및 생식호르몬 장애가 오는 장부위의 방사선노출을 차단하여 최소화 시킬 수 있다. 폐섬 escalated BEACOPP을 1차 치료로 선택할 필요는 없다고 했 유화 역시 중격동 방사선 치료 후 생기는 합병증이며, bleomycin 다. 따라서 escalated BEACOPP은 진행된 호지킨림프종 환자 폐독성의 위험을 가중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중격동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환자의 경우 치료 중 중에서 고위험군에 해당되면서 임신을 원하지 않는 젊은 환 간 및 이후 주기적으로 심장독성, 폐독성 및 2차 악성질환에 자에서 선택적으로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한 요법이다. 대한 모니터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방사선 치료 공고요법으로서의 고용량치료 및 자가조혈모세포이식 Stanford V는 방사선 치료를 포함하여 고안된 치료이기 때문에 진단시 5 cm 이상인 종괴 부위, 항암화학요법 후 잔 진행된 호지킨림프종 환자 중 4회의 ABVD요법 후 완전 여병소, 그리고 침범이 있었던 비장에 36 Gy의 방사선 치료 반응 또는 부분반응을 얻은 고위험 환자에 대해 ABVD를 추 를 항암화학치료 이후 기본적으로 시행하는 것으로 되어있 가 4회 투여한 군과 고용량 화학요법 후 자가조혈모세포이 다. 하지만 ABVD의 경우 항암화학요법 후 잔여 병소 및 진 식을 시행한 군의 비교임상시험에서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의 단시 큰 종격동 종괴(>10 cm 또는 흉곽 지름의 1/3 이상)에 이득이 없다고 보고되었기 때문에 공고 치료로서의 고용량 20-36 Gy의 방사선 치료가 권유되고 있고, BEACOPP의 경 치료 및 자가조혈모세포이식은 권유되지 않고 있다[27]. 우 항암화학요법 후 잔여 병소에 30-36 Gy의 방사선 치료를 반응평가 및 추적관찰 한다. 항암화학요법 후 잔여 병소가 있는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 ABVD는 6주기를 계획하는 경우 2-3주기 후와 6주기 후에 를 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만, 항암화학요법 이후 완전반응을 반응평가를 하고, 8주기를 계획하는 경우 4주기 후와 8주기 얻은 환자에서 공고치료로서의 involved field radiotherapy 후에 반응평가를 하는 것으로 가이드하고 있다. BEACOPP (IFRT)의 효과는 임상시험에 따라 다르게 보고되어 있어서 의 경우 4주기 후와 8주기 후에 반응평가를 한다. 치료 초기, 그 역할이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22-25]. 항암화학요법으로만 즉 BEACOPP 2-3주기 후 PET을 이용하여 중간평가를 하여 치료한 환자의 대부분이 진단 시의 병변 부위에서 재발을 향후 투여 용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19]. Stanford V를 선택 하며,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의 대부분이 방사선 조사를 한 환자는 12주간의 항암화학요법 후와 방사선 치료 종결 하지 않은 부위에서 재발을 한다는 사실은 공고 방사선 치 후 반응평가를 하게 된다. 료를 해야 한다는 근거가 되고 있다. 하지만 무작위 비교 임 치료 종결 후의 1-2년 동안은 2-4개월, 3-5년 동안은 3-6개 상시험에서 완전반응을 얻은 환자에서의 방사선 치료가 의 월 간격으로 문진과 신체검진, 혈액검사을 시행하고, 경부에 미 있는 성적의 향상을 보여 주지 못했다[26]. 따라서 대부분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의 경우 갑상선 기능검사를 하여야 의 권위자들은 항암화학요법 후 완전반응을 보이는 환자에 한다.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정기적인 영상학적 검사는 6-12 IFRT를 투여하는 것은 의미가 없는 치료이며, 항암화학요법 개월 간격으로 하는 것이 권유된다[4]. 5년 뒤부터는 폐암, 투여 후 남아있는 병소에 방사선 치료를 하거나 진단 당시 유방암, 심장독성 등의 후기 합병증을 고려하여 해당되는 검 - 566 - - Sung-Yong Kim. Treatment of advanced Hodgkin lymphoma - 사도 주기적으로 시행하여야 한다. REFERENCES 진행된(3-4기) lymphocyte-predominant Hodgkin lymphoma의 치료 LPHL은 classical HL보다는 서서히 진행하는 경과를 보이 며 재발도 늦게 하는 것이 특징이다. 방사선 치료에도 효과 가 좋아 큰 종괴가 없는 1-2기의 LPHL 경우 방사선 치료가 1차 선택이 된다. 하지만 3-4기의 진행성 LPHL의 경우 항암 화학치료가 치료의 기본이 되고, 치료요법으로 ABVD, CHOP, CVP, EPOCH 등이 이용되고 있다. 어느 치료가 표준치료가 되는지에 대해서는 정립된 바가 없다. LPHL은 CD20항원을 표현하기 때문에 최근 rituximab을 단독 내지는 기존의 항암화학요법에 병행하여 투여하여 좋은 성적을 제 시하였다[28,29]. 결 론 이상에서 진행된 병기의 호지킨림프종에서 가장 널리 사 용되는 세 가지 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 치료에 대해 알아 보았다. 대부분의 진행된 호지킨림프종 환자에서는 ABVD 가 여전히 효과 및 독성 면에서 좋은 표준치료이며, Stanford V 및 escalated BEACOPP는 일부의 환자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Escalated BEACOPP은 ABVD에 비하여 우월한 질 병무진행율을 보이기 때문에 높은 재발위험이 예상되는 환 자에서 적절한 선택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심각한 독성으로 인해 동반 질환이 있는 환자, 고령의 환자 및 향후 임신이 필요한 환자에서는 투여하기는 힘든 치료법이다. Stanford V 는 고위험군이 아닌 환자에서 방사선 치료가 진단 시 이미 계획되어 있거나 항암화학요법의 독성에 취약할 것으로 예 상되는 환자에서 짧은 기간 내 치료를 원하는 경우 좋은 선 택이 된다. 방사선 치료는 Stanford V의 경우 중요한 치료의 일부분이지만 나머지 다른 두 요법에서는 필요 시에만 하는 것이 옳다. 각 치료마다 특성이 있기 때문에 개별적인 환자에 대해 IPS에 따른 위험도와 동반 질환, 연령, 피해야할 독성 을 고려하여 최적의 치료의 선택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중심 단어: 호지킨림프종; 치료법; 화학요법; 방사선요법 1. Hasenclever D, Diehl V. A prognostic score for advanced Hodgkin's disease: international prognostic factors project on advanced Hodgkin's disease. N Engl J Med 1998;339:1506-1514. 2. Hoskin PJ, Lowry L, Horwich A, et al. Randomized comparison of the stanford V regimen and ABVD in the treatment of advanced Hodgkin's Lymphoma: United Kingdom National Cancer Research Institute Lymphoma Group Study ISRCTN 64141244. J Clin Oncol 2009;27:5390-5396. 3. Federico M, Luminari S, Iannitto E, et al. ABVD compared with BEACOPP compared with CEC for the initial treatment of patients with advanced Hodgkin's lymphoma: results from the HD2000 Gruppo Italiano per lo Studio dei Linfomi Trial. J Clin Oncol 2009;27:805-811. 4.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NCC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in Oncology: Hodgikin Lymphoma. [Version 3.2011]. PA: NCCN; 2011. 5. Engert A, Eichenauer DA, Dreyling M; ESMO Guidelines Working Group. Hodgkin's lymphoma: ESMO clinical recommendations for diagnosis, treatment and follow-up. Ann Oncol 2009;20(Suppl 4):S108-S109. 6. Cheson BD, Pfistner B, Juweid ME, et al. Revised response criteria for malignant lymphoma. J Clin Oncol 2007;25:579-586. 7. Bonadonna G, Zucali R, Monfardini S, De Lena M, Uslenghi C. Combination chemotherapy of Hodgkin's disease with adriamycin, bleomycin, vinblastine, and imidazole carboxamide versus MOPP. Cancer 1975;36:252-259. 8. Duggan DB, Petroni GR, Johnson JL, et al. Randomized comparison of ABVD and MOPP/ABV hybrid for the treatment of advanced Hodgkin's disease: report of an intergroup trial. J Clin Oncol 2003;21:607-614. 9. Canellos GP, Anderson JR, Propert KJ, et al. Chemotherapy of advanced Hodgkin's disease with MOPP, ABVD, or MOPP alternating with ABVD. N Engl J Med 1992;327:1478-1484. 10. Somers R, Carde P, Henry-Amar M, et al. A randomized study in stage IIIB and IV Hodgkin's disease comparing eight courses of MOPP versus an alteration of MOPP with ABVD: a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Lymphoma Cooperative Group and Groupe Pierre-et-Marie-Curie controlled clinical trial. J Clin Oncol 1994;12:279-287. 11. Martin WG, Ristow KM, Habermann TM, Colgan JP, Witzig TE, Ansell SM. Bleomycin pulmonary toxicity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outcome of patients with Hodgkin's lymphoma. J Clin Oncol 2005;23:7614-7620. 12. Swerdlow AJ, Higgins CD, Smith P, et al. Myocardial infarction mortality risk after treatment for Hodgkin disease: a collaborative British cohort study. J Natl Cancer Inst 2007;99:206-214. 13. Viviani S, Santoro A, Ragni G, Bonfante V, Bestetti O, Bonadonna G. Gonadal toxicity after combination chemotherapy for Hodgkin's - 567 - - 대한내과학회지: 제 81 권 제 5 호 통권 제 615 호 2011 - 14. 15. 16. 17. 18. 19. 20. 21. disease: comparative results of MOPP vs ABVD. Eur J Cancer Clin Oncol 1985;21:601-605. Bartlett NL, Rosenberg SA, Hoppe RT, Hancock SL, Horning SJ. Brief chemotherapy, Stanford V, and adjuvant radiotherapy for bulky or advanced-stage Hodgkin's disease: a preliminary report. J Clin Oncol 1995;13:1080-1088. Horning SJ, Williams J, Bartlett NL, et al. Assessment of the stanford V regimen and consolidative radiotherapy for bulky and advanced Hodgkin's diseas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ilot study E1492. J Clin Oncol 2000;18:972-980. Gobbi PG, Levis A, Chisesi T, et al. ABVD versus modified stanford V versus MOPPEBVCAD with optional and limited radiotherapy in intermediate- and advanced-stage Hodgkin's lymphoma: final results of a multicenter randomized trial by the Intergruppo Italiano Linfomi. J Clin Oncol 2005;23:9198-9207. Diehl V, Franklin J, Pfreundschuh M, et al. Standard and increased-dose BEACOPP chemotherapy compared with COPPABVD for advanced Hodgkin's disease. N Engl J Med 2003; 348:2386-2395. Engert A, Diehl V, Franklin J, et al. Escalated-dose BEACOPP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dvanced-stage Hodgkin's lymphoma: 10 years of follow-up of the GHSG HD9 Study. J Clin Oncol 2009;27:4548-4554. Dann EJ, Bar-Shalom R, Tamir A, et al. Risk-adapted BEACOPP regimen can reduce the cumulative dose of chemotherapy for standard and high-risk Hodgkin lymphoma with no impairment of outcome. Blood 2007;109:905-909. Ballova V, Rüffer JU, Haverkamp H, et al. A prospectively randomized trial carried out by the German Hodgkin Study Group (GHSG) for elderly patients with advanced Hodgkin's disease comparing BEACOPP baseline and COPP-ABVD (study HD9elderly). Ann Oncol 2005;16:124-131. Viviani S, Zinzani PL, Rambaldi A, et al. ABVD versus 22. 23. 24. 25. 26. 27. 28. 29. - 568 - BEACOPP for Hodgkin's lymphoma when high-dose salvage is planned. N Engl J Med 2011;365:203-212. Fabian CJ, Mansfield CM, Dahlberg S, et al. Low-dose involved field radiation after chemotherapy in advanced Hodgkin disease: aSouthwest Oncology Group randomized study. Ann Intern Med 1994;120:903-912. Fermé C, Sebban C, Hennequin C, et al. Comparison of chemotherapy to radiotherapy as consolidation of complete or good partial response after six cycles of chemotherapy for patients with advanced Hodgkin's disease: results of the groupe d'etudes des lymphomes de l'Adulte H89 trial. Blood 2000;95:2246-2252. Laskar S, Gupta T, Vimal S, et al. Consolidation radiation after complete remission in Hodgkin's disease following six cycles of doxorubicin, bleomycin, vinblastine, and dacarbazine chemotherapy: is there a need? J Clin Oncol 2004;22:62-68. Loeffler M, Brosteanu O, Hasenclever D, et al. Meta-analysis of chemotherapy versus combined modality treatment trials in Hodgkin's disease:International Database on Hodgkin's Disease Overview Study Group. J Clin Oncol 1998;16:818-829. Aleman BM, Raemaekers JM, Tomiŝiĉ R, et al. Involved-field radiotherapy for patients in partial remission after chemotherapy for advanced Hodgkin's lymphoma. Int J Radiat Oncol Biol Phys 2007;67:19-30. Federico M, Bellei M, Brice P, et al. High-dose therapy and autologous stem-cell transplantation versus conventional therapy for patients with advanced Hodgkin's lymphoma responding to front-line therapy. J Clin Oncol 2003;21:2320-2325. Maeda LS, Advani RH. The emerging role for rituximab in the treatment of nodular lymphocyte predominant Hodgkin lymphoma. Curr Opin Oncol 2009;21:397-400. Ekstrand BC, Lucas JB, Horwitz SM, et al. Rituximab in lymphocyte-predominant Hodgkin disease: results of a phase 2 trial. Blood 2003;101:4285-4289.
© Copyright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