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저 07-152(저자교정ok)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 아형에 따른 혈장 D-dimer와 Fibrinogen/Fibrin Degradation Products의 차이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김동욱 김명규 윤금진 김준태 최성민 이승한 박만석 김병채 조기현 Plasma Levels of D-dimer and Fibrinogen/Fibrin Degradation Products According to Subtypes of Ischemic Stroke Dong-Uk Kim, MD, Myeong-Kyu Kim, MD, Geum-Jin Yun, MD, Joon-Tae Kim, MD, Seong-Min Choi, MD, Seung-Han Lee, MD, Man-Seok Park, MD, Byeong-Chae Kim, MD, Ki-Hyun Cho, MD Department of Neur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Gwangju, Korea Background: Although levels of D-dimer and fibrinogen/fibrin degradation products (FDP) are low in the circulation of healthy individuals, their levels are significantly elevated in patients with thromboembolic diseas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utilities of D-dimer and FDP in the early diagnosis of stroke subtypes and the prediction of early prognosis. Methods: Hospitalized patients due to acute ischemic stroke underwent measurement of plasma levels of D-dimer and FDP within 12 hours after admission. Stroke severity was assessed on admission and 2 weeks later using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 Stroke sub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the Trial of ORG 10172 in Acute Stroke Treatment criterion. Results: D-dimer and FDP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rdioembolic group than in the atherosclerotic and lacunar groups. There was independe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FDP and cardioembolism. Ninety-six patients showed clinical improvement that was defined by a reduction of more than 4 points on the NIHSS two weeks later compared with that on admission. The level of D-dimer was higher in patients with clinical improvement than in patients without improvement (p=0.032). However,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D-dimer and early improveme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how that measurement of FDP in acute ischemic stroke could be helpful in subtype classification. However, D-dimer and FDP were not related with early prognosis. J Korean Neurol Assoc 26(2):123-127, 2008 Key Words: D-dimer, Fibrin Degradation Products, Thromboembolism, Cerebral infarction 서 론 1 분류를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최 신 진단 기법들이 발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허혈성 뇌 허혈성 뇌졸중은 일반적으로 TOAST 분류법에 의해 몇 가지 졸중의 40% 정도에서는 아형의 결정이 부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아형으로 분류하는데, 각각의 아형에 따라 급성 허혈성 뇌졸중 2 있다. 폐색전증, 심부정맥혈전증, 관상동맥질환, 말초동맥폐쇄 환자의 치료 방침, 재발 위험성, 예후 등이 크게 달라지므로 아형 질환 등 몇몇 혈전색전성 질환의 경우 응고계 및 섬유소 용해계 (hemostatic and fibrinolytic system)의 주요 인자들이 혈전 Received December 12, 2007 Accepted February 5, 2008 *Myeong-Kyu Kim, MD Department of Neur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8 Hak-dong, Dong-gu, Gwangju, 501-757, Korea Tel: +82-62-220-6173 Fax: +82-62-228-3461 E-mail: [email protected] 색전성 질환 발생의 위험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3-7 있다. 이 중 D-dimer와 fibrinogen/fibrin degradation products (FDP)는 심부정맥혈전증, 폐색전증, 범발성 혈관 내 응고 질환, 심근 경색, 종양성 질환, 패혈증 등 혈전색전성 질환 J Korean Neurol Assoc Volume 26 No. 2, 2008 123 김동욱 김명규 윤금진 김준태 최성민 이승한 박만석 김병채 조기현 이 있는 경우 현저하게 상승하여, 이러한 질환을 평가하는 데 항응고제를 지속적으로 복용 중이던 24명, 급성 혈전용해 치료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낮은 혈중 D-dimer 수치는 심 를 시도한 25명, 패혈증이나 심근경색 등 심각한 내과적 질환을 부정맥혈전증의 가능성을 제외시킬 수 있는 가치를 가지고 있 보였던 4명, 골절 1명과 불완전한 검사와 의무기록 미비 15명이 8-12 다. 기존의 연구들에 따르면 혈중 D-dimer가 허혈성 뇌졸 13 중의 아형 분류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평균 동맥혈압에 따라 이에 해당되어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고 남은 총 326명의 환자 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 허혈성 뇌졸중의 조기 진행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 14 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허혈성 뇌졸중의 경우 증상 발생 초 2. 방법 기에 뇌졸중의 아형이나 진행을 예측할 만한 특이적이며 민감 한 검사가 없고, 또한 D-dimer와 FDP에 따른 허혈성 뇌졸중의 허혈성 뇌졸중의 원인별 아형 분류는 뇌 자기공명영상 검사, 아형 분류나 조기 예후와 관련된 연구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뇌전산화단층촬영, SPECT, 심전도, 심초음파, 경동맥 초음파,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응급 검사로 쉽게 사용하고 있는 D-dimer 경두개 초음파, 혈관조영술 등 신경학적 영상 기법 등을 시행 와 FDP를 이용하여 허혈성 뇌졸중의 원인에 따른 조기 분류에 하여 The Trial of ORG 10172 in Acute Stroke Treatment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15 (TOAST) 분류법에 근거하여 대동맥 죽상경화증(large-artery atherosclerosis, LAA), 소동맥 폐색(small vessel occlusion, 대상과 방법 SVO), 심색전증(cardioembolism, CE), 기타 원인에 의한 뇌경 색(stroke of other determined etiology, SOE), 원인을 결정 1. 대상 할 수 없는 뇌경색(stroke of undetermined etiology, SUE)으 로 나누었다. 각 군 간에 나이, 성별을 비롯한 여러 뇌경색 위험 2005년 6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신경과에 인자와 CRP, lipid profile, AST, HbA1c, FDP, D-dimer를 뇌자기공명영상이나 뇌 CT상 급성 허혈성 뇌졸중으로 확인한 측정 비교하였으며, 또한 대상 환자들을 심색전성군(Cardio- 18세 이상 입원 환자 54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embolism, CE)과 비심색전성군(Non-cardioembolism, Non- 대상 환자 중 D-dimer와 FDP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 CE)으로 나누어 위에 언급한 여러 요인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는 아래와 같은 조건을 가진 환자들을 제외하였다. 뇌졸중의 첫 대상군의 신경학적 장애 정도는 내원 시와 뇌졸중 발생 2주 후 증상이 나타나고 48시간 이후에 입원한 104명, 일과성 뇌허혈 에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NIHSS)을 이 로 판명된 43명, 내원하여 24시간 이내에 사망한 2명, 기존에 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내원 당시 NIHSS가 4점 이상인 환자들 Table 1. Baseline clin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among the ischemic stroke subtypes Characteristics Age, yrs Male, n (%) Smoking, n (%) Diabetes mellitus, n (%) Hypertension, n (%) Dyslipidemia, n (%) ESR, mm/hr CRP, mg/dl LDL-chol. mg/dl HDL-chol. mg/dl Total chol. mg/dl Triglysceride, mg/dl AST, U/L HgbA1c, % FDP, mg/dl D-dimer, ㎍/dl SVO (n=70) 60.8±12.0 51 (73) 27 (39) 20 (29) 43 (61) 24 (34) 16.94±20.19 0.84±3.69 125.17±30.84 46.77±12.87 182.60±32.04 118.20±70.01 24.74±12.75 6.12±1.28 1.51±2.67 0.20±0.21 LAA (n=145) 64.2±11.3 85 (59) 55 (38) 46 (32) 89 (61) 45 (31) 16.92±18.44 1.13±2.20 125.88±37.53 49.09±22.80 187.39±39.85 133.73±100.33 31.27±43.79 6.41±1.50 1.48±1.57 0.21±0.19 CE (n=62) 65.4±12.0 40 (65) 23 (37) 7 (11) 33 (53) 19 (31) 17.77±18.00 2.09±3.59 123.71±41.92 49.17±16.25 187.52±47.36 119.82±181.21 33.81±14.13 5.76±0.85 3.66±5.00 0.35±0.35 SUE/SOE (n=49) p value 63.9±12.5 37 (76) 20 (41) 9 (18) 24 (49) 5 (10) 15.04±15.34 1.26±2.46 118.39±34.03 46.55±10.97 179.61±42.39 133.08±82.21 30.51±18.88 6.12±1.37 1.81±2.37 0.20±0.23 0.127 0.075 0.981 0.010 0.357 0.020 0.973 0.059 0.967 0.719 0.835 0.565 0.354 0.024 <0.001 <0.001 p value by ANOVA or Chi-square. SVO; small-vessel occlusion, LAA; large-artery atherosclerosis, CE; cardioembolism, SUE; stroke of undetermined etiology, SOE; stroke of other determined etiology, FDP; Fibrinogen/fibrin degradation products. 124 대한신경과학회지 제26권 제2호, 2008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 아형에 따른 혈장 D-dimer와 Fibrinogen/Fibrin Degradation Products의 차이 중 발병 2주 후에 4점 이상의 NIHSS 감소를 보이는 경우를 임 FDP, D-dimer, 입원 시 NIHSS를 보정하여 시행한 다중회귀 상적 호전이 있다고 판단하여 호전군(Improvement)으로, 4점 분석에서 FDP와 입원 시 NIHSS는 CE군과의 유의한 연관성을 미만 감소 혹은 증가한 경우를 비호전군(Non-improvement) 보였다(Table 3). 으로 나누었다. 각 군의 일반적인 특성과 D-dimer와 FDP가 차 일반적으로 허혈성 뇌졸중 환자에서 신경학적 장애 정도의 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D-dimer와 FDP에 대한 검사는 입원 단기 호전을 의미하는 입원 시보다 증상 발생 2주 후에 4점 이 후 최소한 12시간 이내에 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즉시 0.11 상의 NIHSS 감소를 보인 호전군은 96명(평균 나이, 63.9세; 남 mol/L sodium citrate와 9:1 비율로 혼합하여 10분간 원심 자 67%)이었다. D-dimer는 호전군에서 0.27±0.29 μg/dl, 비 분리(3000회/분)시킨 후 얻은 혈장에서 실시하였다(D-dimer 호전군에서 0.20±0.22 μg/dl으로 호전군에서 통계적으로 유 PLUS, Sysmex, Dade Behring, USA). 의하게 높았으며(p=0.032), 총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질단백과 평균±표준오차(standard error of mean, SEM)로 표시 고밀도지질단백의 혈중 수치는 낮았다(Table 4). 단별량 분석 했으며, 각각의 아형별 위험 인자의 빈도와 급성 뇌졸중 후 각 에서 차이를 보였던 이러한 단일 요인들을 다중회귀분석 기법 뇌졸중 아형 간의 혈중 FDP와 D-dimer 수치는 χ2 test, t- 을 통하여 보정하였을 때 D-dimer는 통계적 의미를 보이지 않 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았다(Table 5). 통계학적 분석은 SSPS (12.0 for Windows; SPSS inc., Chicago USA)을 사용하였고, p 값이 0.05 이하인 경우 통 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로 판정하였다. Table 2. Clinical and laboratory characteristics of patients between the CE and non-CE groups Characteristics Cardioembolism Non-cardioembolism p value (n=62) (n=264) 65.4±12.0 63.3±11.8 0.716 40 (65) 173 (66) 0.880 23 (37) 102 (39) 0.822 7 (11) 75 (28) 0.005 33 (53) 156 (59) 0.400 19 (31) 74 (28) 0.682 17.77±18.00 16.58±18.35 0.643 2.09±3.59 1.08±2.71 0.014 123.70±41.92 124.30±35.21 0.909 49.17±16.25 48.00±18.75 0.653 187.52±47.37 184.67±38.43 0.617 119.82±181.21 129.49±89.89 0.544 33.81±14.13 29.40±34.14 0.320 5.76±0.85 6.28±1.42 0.006 3.66±5.00 1.55±2.07 <0.001 0.35±0.35 0.20±0.20 <0.001 9.31±6.31 5.22±4.77 <0.001 3.66±5.00 mg/dl, SOE/SUE군에서 1.89±2.64 mg/dl로 Age, yrs Male, n (%) Smoking, n (%) Diabetes mellitus, n (%) Hypertension, n (%) Dyslipidemia, n (%) ESR, mm/hr CRP, mg/dl LDL-chol. mg/dl HDL-chol. mg/dl Total chol. mg/dl Triglyceride, mg/dl AST, U/L HgbA1c, % FDP, mg/dl D-dimer, μg/dl Baseline NIHSS 통계적으로 유의한 각 군 간의 평균 차이를 보였으며(p< p value by t test or Chi-square. CE; cardioembolism. 결 과 대상 환자의 평균 연령은 63.6±11.8세이고 남자가 213 명, 여자가 113명이었다. 뇌졸중의 아형별로는 SVO군 70명 (평균 나이, 60.8세; 남자 73%), LAA군 145명(평균 나이, 64.2세; 남자 59%), CE군 62명(평균 나이, 64.5세; 남자 65%), SUE/SOE군 49명(평균 나이, 63.9세; 남자 76%)이 었다. 각 군 사이의 뇌졸중의 위험 인자를 비교했을 때 나이, 성별, 흡연력, 고혈압 과거력의 빈도는 네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각 군 간에 ESR, CRP, lipid profiles, AST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FDP는 SVO군에서 1.51± 2.67 mg/dl, LAA군에서 1.48±1.57 mg/dl, CE군에서 0.001), D-dimer는 SVO군에서 0.20±0.21 μg/dl, LAA군 에서 0.21±0.19 μg/dl, CE군에서 0.35±0.35 μg/dl, SOE/ Table 3.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FDP/D-dimer and cardioembolic stroke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est SUE군에서 0.20±0.23 μg/dl로 CE군에서 상대적으로 높았 다(p<0.001). 당화혈색소와 당뇨병의 과거력의 빈도는 CE 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Table 1). CE군과 Non-CE군으로 대별하여 분석한 경우에서도 양 군간에 인구통계학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입원 시 NIHSS, D-dimer와 FDP는 각각 CE군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각 p<0.001). 또한 CE군에서 CRP는 높았고, 당화 혈색소와 당뇨병의 과거력의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결과 를 보였다(Table 2). 당뇨의 과거력, CRP, 당화혈색소와 Factors Sig. Exp (B) 95% C.I. for Exp (B) Lower Upper History of diabetes 0.150 2.205 0.752 6.470 CRP 0.580 1.030 0.928 1.143 HbA1c 0.203 0.773 0.520 1.149 FDP 0.040 1.118 1.005 1.244 D-dimer 0.109 3.046 0.779 11.910 Baseline NIHSS <0.001 1.139 1.077 1.204 (constant) 0.177 0.127 FDP; Fibrinogen/fibrin degradation products, NIHS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J Korean Neurol Assoc Volume 26 No. 2, 2008 125 김동욱 김명규 윤금진 김준태 최성민 이승한 박만석 김병채 조기현 고 찰 경색 발생 초기에 이뤄진다면 D-dimer의 상승과 함께 조기 예 후는 좋을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비호전군에 비해 섬유소용해는 tissue-plasminogen activator나 urokinase- 유의하게 D-dimer가 상승되어 있었지만, D-dimer의 상승이 like plasminogen activator에 의해 플라스미노젠이 플라스민 조기 임상적 호전과 관련된 독립적 인자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으로 분해되면서 시작된다. 이렇게 생성된 플라스민은 섬유소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는 FDP와 D- 응괴(fibrin clot)와 피브리노젠을 분해시키면서 FDP를 형성한 dimer를 연속적 측정하여 시기에 따른 변화를 보여주지 못하였 다. D-dimer는 섬유소가 분해되면서 생겨나는 특정 FDP이므 고, 둘째는 FDP와 D-dimer는 뇌졸중을 가지지 않은 무증상의 로 D-dimer의 유무는 섬유소 형성 여부를 알려주는 지시자라 심방 세동을 가진 환자에서도 상승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16 할 수 있다. 혈액의 저류로 인해 심장 내에서 혈전이 생기는 심색전성 뇌졸중군에서 심방 세동을 가진 환자들이 많았으므로 경우는 대부분 섬유소와 적혈구가 풍부한(RBC rich clot) red- 심색전성 뇌경군에서 D-dimer와 FDP의 상승이 심방 세동과의 thrombi가 발생하는 반면에 대혈관에서는 혈소판이 풍부한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25,26 (platelet rich clot) white-thrombi가 잘 발생하는 것으로 알 결 려져 있다. 따라서 심색전성 뇌졸중에서 생성되는 혈전은 대부 론 분이 red-thrombi로 이는 섬유소 분해가 더 잘 일어나는 것으 17,18 로 알려져 있다. Tombul 등은 D-dimer가 심색전성 뇌졸중 본 연구의 결과는 급성 허혈성 뇌졸중에서 혈중 D-dimer와 환자에서 혈소판의 활성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표지자임을 보 19 고하였고, Caephilly Study에서는 대상군을 평균 13년간 추적 관찰하여 피브리노젠과 D-dimer가 관상동맥질환과 허 혈성 뇌졸중의 고전적인 위험 인자로서 가치가 있다고 보고 Table 4. Comparison of som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between the improvement and non-improvement group Characteristics Non-improvement (n=120) 65.29±10.79 76 (63) 47 (39) 30 (25) 73 (61) 23 (19) 26 (22) 22 (18) 18.12±19.14 1.60±3.60 132.64±38.03 50.71±15.54 193.77±43.10 124.55±83.30 29.43±30.31 6.29±1.43 1.93±3.06 0.20±0.22 Improvement (n=96) 63.93±13.05 64 (67) 35 (37) 25 (26) 53 (55) 21 (22) 32 (33) 28 (29) 18.76±19.92 1.68±3.29 120.97±35.39 45.32±11.65 177.93±37.06 106.32±69.39 28.22±14.42 6.12±1.10 2.06±3.02 0.27±0.29 p value 것으로 가정할 수 있었으나 D-dimer가 아닌 FDP의 상승이 Age, yrs Male, n (%) Smoking, n (%) Diabetes mellitus, n (%) Hypertension, n (%) Atrial fibrillation, n (%) Dyslipidemia, n (%) Cardioembolism, n (%) ESR, mm/hr CRP, mg/dl LDL-chol. mg/dl HDL-chol. mg/dl Total chol. mg/dl Triglyceride, mg/dl AST, U/L HgbA1c, % FDP, mg/dl D-dimer, μg/dl 본 연구에서 심인성 뇌경색의 독립적 예측 인자로 확인되었 p value by t test or Chi-square. FDP; Fibrinogen/fibrin degradation products. 20 하였다. 이와 같이 밝혀진 기전 등을 고려하면 허혈성 뇌졸 중은 아형에 따른 병리 기전의 차이로 인해 심색전증인 경우 섬유소 분해계가 더욱 활성화되어 FDP와 D-dimer가 비심색 전성군보다 더 상승할 것을 가정할 수 있다. 뇌경색 발생 이 후 시간에 따른 D-dimer 변화에 대한 연구에서 심색전성 뇌 경색인 경우 발생 직후에 D-dimer는 상승하는 반면에 동맥 경화성 뇌경색인 경우 뇌경색 발생 48시간째에는 상승이 보이지 않았으나 일주일 경과 시에 상승하였고 열공성 뇌 21 경색인 경우 일주일의 시간이 경과해도 상승하지 않았다. 다른 연구에서는 심색전성 뇌경색인 경우 48시간째 시행한 D-dimer 농도가 유의하게 상승하며 3주째에서도 다른 뇌경 22 색 아형에 비해 높다고 하였다. 따라서 뇌경색 발생 후 48 시간 정도라면 심인성 뇌경색의 경우 D-dimer 상승되어 있을 으며 이러한 결과에 대한 추후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하 였다. 심색전성 뇌경색인 경우 섬유소 분해가 더 잘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는 red thrombi가 잘 생기는 폐쇄된 뇌동맥의 자 발적 재개통(spontaneous recanalization)이 이뤄질 수 23 있다. 허혈성 뇌경색 급성기에 측정한 D-dimer는 장기 예후와 24 는 관련 없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자발적 재개통이 뇌 126 대한신경과학회지 제26권 제2호, 2008 0.401 0.610 0.684 0.861 0.405 0.623 0.055 0.061 0.810 0.869 0.022 0.004 0.005 0.087 0.720 0.341 0.748 0.032 Table 5.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FDP/D-dimer and early improvement of ischemic stroke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est Factors 95% C.I. for Exp (B) Sig. Exp (B) Lower Upper D-dimer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0.110 0.381 0.876 2.745 0.991 1.002 0.795 0.973 0.981 9.480 1.011 1.022 HDL-cholesterol (Constant) 0.074 0.019 0.979 6.851 0.957 1.002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 아형에 따른 혈장 D-dimer와 Fibrinogen/Fibrin Degradation Products의 차이 FDP 측정이 심인성 뇌졸중의 진단에 도움을 주며, FDP의 상승 이 심인성 뇌졸중의 독립적 예측 인자로서 유의한 관련성을 보 여주었다. 또한 혈중 D-dimer의 상승이 조기 임상적 호전의 예 12. 측 인자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응급 검사로서 널리 간편하게 이용되고 있는 D-dimer와 FDP는 급 13. 성기 뇌졸중에서 조기 아형 분류나 예후 판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대하여 향후 관련된 연구가 보다 더 14.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15. REFERENCES 1. Gordon DL, Bendixen BH, Adams HP Jr, Clarke W, Kappelle LJ, Woolson RF. Interphysician agreement in the diagnosis of subtypes of acute ischemic stroke: implications for clinical trials. The TOAST Investigators. Neurology 1993;43:1021-1027. 2. Madden KP, Karanjia PN, Adams HP Jr, Clarke WR. Accuracy of the initial stroke subtype diagnosis in the TOAST study. Trial of ORG 10172 in Acute Stroke Treatment. Neurology 1995;45:19751979. 3. Wells PS. Advances in the diagnosis of venous thromboembolism. J Thromb Thrombolysis 2006;21:31-40. 4. Moresco RN, Junior RH, Claudio Rosa Vargas L, Marino da Rocha Silla L. Association between plasma levels of D-dimer and fibrinogen/fibrin degradation products (FDP) for exclusion of thromboembolic disorders. J Thromb Thrombolysis 2006;21:199-202. 5. Kearon C, Ginsberg JS, Douketis J, Turpie AG, Bates SM, Lee AY, et al. An evaluation of D-Dimer in the diagnosis of pulmonary embolism: a randomized trial. Ann Intern Med 2006;144:812-821. 6. Arrive L, Monnier-Cholley L, Serru V, Carrat F, Vassal T, Dahan H, et al. D-dimer determination combined with clinical probability for the diagnosis of leg venous thrombosis. J Radiol 2002;83:337-340. 7. Lowe GD. Fibrin D-dimer and cardiovascular risk. Semin Vasc Med 20055:387-398. 8. Bosson JL, Barro C, Satger B, Carpentier PH, Polack B, Pernod G. Quantitative high D-dimer value is predictive of pulmonary embolism occurrence independently of clinical score in a well-defined low risk factor population. J Thromb Haemost 2005;3:93-99. 9. Bosson JL, Labarere J, Sevestre MA, Belmin J, Beyssier L, Elias A, et al. Deep vein thrombosis in elderly patients hospitalized in subacute care facilities: a multicenter cross-sectional study of risk factors, prophylaxis, and prevalence. Arch Intern Med 2003;163: 2613-2618. 10. Righini M, Goehring C, Bounameaux H, Perrier A. Effects of age on the performance of common diagnostic tests for pulmonary embolism. Am J Med 2000;109:357-361. 11. de Moerloose P. D-dimer assays for the exclusion of venous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thromboembolism: which test for which diagnostic strategy? Thromb Haemost 2000;83:180-181. Bounameaux H, de Moerloose P, Perrier A, Reber G. Plasma measurement of D-dimer as diagnostic aid in suspected venous thromboembolism: an overview. Thromb Haemost 1994;71:1-6. Ageno w, Finazzi S, Steidl L, Biotti MG, Mera V, Melzi D’Eril G, et al. Plasma measurements of D-dimer levels for the early diagnosis of ischemic stroke subtypes. Arch Intern Med 2002;162:2589-2593. Barber M, Langhorne P, Rumley A, Lowe GD, Scott DJ. Hemostatic function and progressing ischemic stroke: D-dimer predicts early clinical progression. Stroke 2004;35:1421-1425. Adams HP Jr, Bendixen BH, Kappelle LJ, Biller J, Love BB, Gordon DL, et al. Classification of subtype of acute ischemic stroke. Definitions for use in a multicenter clinical trial. TOAST. Trial of ORG 10172 in acute stroke treatment. Stroke 1993;24:35-41. Richard AM, Matthew RP. Henry’s clinical diagnosis and management by laboratory methods. 20th ed. Philadelphia: Saunders, 2003;642-659. Brogan GX Jr. Bench to bedside: Pathophysiology of acute coronary syndromes and implications for therapy. Acad Emerg med 2002;9: 1029-1044. Friedman M, Van den Bovenkamp GJ. The pathogenesis of a coronary thrombus. Am J Pathol 196648:19-44. Tombul T, Atbas C, Anlar O. Hemostatic markers and platelet aggregation factors as predictive markers for type of stroke and neurological disability following cerebral infarction. J Clin Neurosci 2005;12:429-434. Smith A, Patterson C, Yarnell J, Rumley A, Ben-shlomo Y, Lowe G. Which hemostatic markers add to the predictive value of conventional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and ischemic stroke? The Caephilly Study. Circulation 2005;112:3080-3087. Takano K, Yamaguchi T, Uchida K. Markers of a hypercoagulable state following acute ischemic stroke. Stroke 1992;23:194-198. Kataoka S, Hirose G, Hori A, Shirakawa T, Saigan T. Activation of thrombosis and fibrinolysis following brain infarction. J Neurol Sci 2000;181:82-88. Toni D, Fiorelli M, Bastianello S, Falcou A, Sette G, Ceschin V, et al. Acute ischemic strokes improving during the first 48 hours of onset: predictability, outcome, and possible mechanisms. A comparison with early deteriorating strokes. Stroke 1997;28:10-14. Squizzato A, Ageno W, Finazzi S, Mera V, Roumualdi E, Bossi A, et al. D-dimer is not a long-term prognostic marker following acute cerebral ischemia. Blood Coagul Fibrinosysis 2006;17:303-306. Kumagai K, Fukunami M, Ohmori M, Kitabatake A, Kamada T, Hoki N. Increased intracardiovascular clotting in patients with chronic atrial fibrillation. J Am Coll Cardiol 1990;16:377-380. Lip GY, Lip PL, Zarifis J, Watson RD, Bareford D, Lowe GD, et al. Fibrin D-dimer and beta-thromboglobulin as markers of thrombogenesis and platelet activation in atrial fibrillation. Effects of introducing ultra-low-dose warfarin and aspirin. Circulation 1996; 94:425-431. J Korean Neurol Assoc Volume 26 No. 2, 2008 127
© Copyright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