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 Project 사면안정 검토서(2006.09.) Y Project 사면안정 검토서 (토목분야) 2006. 09 1. 검토개요 2. 설계현황 3. 법면의 사면 안정성 검토 4. 법면의 보호공 검토 5. 우수처리 계획 적정성 검토 6. 검토 의견 Y Project 사면안정 검토서(2006.09.) 1. 검토개요 본 검토서는 Y Project 공사 중 ▫ 법면의 사면 안정 검토 ▫ 호우시 예상되는 산사태를 대비한 법면의 우수처리 계획의 적정성 여부 검토 2. 설계현황 [법면설계] ▢ 옹벽 : 반중력식 옹벽 H=3.0m, L=66.8m ▢ 법면 : H=5m 2단 소단 및 사면경사 1: 1.2 적용 검토적용 사면 경사 구 분 ▢ 단 영구 사면 사 - 1 : 1.2~1.5 5m 마다 1m 소단 리핑암 - 1 : 1.0 5m 마다 1m 소단 발파암 1 : 0.5 1 : 0.5 20m 마다 3m 소단 토 절토 사면 소 공사중 사면 법면 보호공 ▪ 녹생토 (T=15 cm) : 연암(발파안)지역 755m2적용 ▪ Coir-net(천연섬유) : 풍화암 및 풍화토지역 206m2적용 [우수처리설계] ▢ 산마루 측구 : L=116m (500☓450), 법면도수로 : L=4m (600☓600) ▢ 벤치플룸관 : L=149m (d=400), U형측구 : L=202m (300☓600) ▢ 집수정 : 2EA(1000☓1000)H=1.5, 2.0, 2.5m 3EA (600☓600) H=1.2m ▢ ▢ ▢ 우수맨홀 : 14EA (d=1200) 우수관 : d=600흄관(L=85m), d=450흄관 (L=114.5m) 집수정 연결관 : d=300흄관(L=48m), d=450 Y Project 사면안정 검토서(2006.09.) 3. 법면의 사면 안정성 검토 ▢ 사면의 파괴형태 ▢ 원 호 파 괴 평 면 파 괴 쐐 기 파 괴 전 도 파 괴 평면파괴 발 생 조 건 ∙활동면의 주향은 반드시 사면과 평행하거나 거의 평행한(±20o)의 주향을 가질 것. ∙활동면은 사면에 노출되어야 한다. 즉, 활동면의 경사각이 사면의 경사각보다 작을 것 ∙활동면의 경사각은 그 파괴면의 마찰각보다 커야한다. ∙활동면의 양 측면은 활동에 저항력을 거의 갖지 못하는 이완면이어야 한다. 이완면 파괴면 φ φf φp 미끄러짐 발생조건 φf > φp > φ Y Project 사면안정 검토서(2006.09.) ▢ 쐐기파괴 발 생 조 건 o ∙평면활동과 같이 활동면의 주향이 사면 주향의 ±20 이내에 있을 경우 ∙평면활동과 같이 사면경사>활동면경사>활동면의 마찰각 의 경우를 만족할 것. 1 2 B면 ξ A면 ξ φfi φi φ 교선방향에서 바라본 모습 ∙일반식 : ▸파괴 형태 및 기하학적인 조건 FS = 교선의 직각방향에서 본 모습 해 석 방 법 γw γw 3 X)tanφ + (BY)tanφB (c X + cBY) + (A2γ 2γ γH A 여기서, c A , c B : φ A,φ B γ ,γ w H X, Y, A, B sinθ 24 X = sinθ 45 cosθ 2na A = cosφ a - cosφI b cosθ na․nb sinφ 5 sin 2θ na․nb φ a , φ b : A, B 면의 경사각 A면과 B면과의 점착강도 : A, B면에서의 마찰각 : : : 암석과 물의 단위 중량 쐐기의 전체 높이 쐐기의 형상에 좌우되는 무차원 요소 sinθ 13 Y = sinθ 35 cosθ 1nb B = cos φ b - cos φ a cosθ na․nb sinφ 5 sin 2θ na․nb φ5 : 교선 ⑤의 경사각 파괴 형태 및 기하학 적인 조건 Y Project 사면안정 검토서(2006.09.) ▢ 현장 법면 파괴 대책(안) 발 생 사 파괴 형태 ▢ ▢ ▢ ▢ 진 분석 o 활동면의 주향이 사면 주향의 ±20 이내 사면경사>활동면경사>활동면의 마찰각 Main Fault와 Sub Fault의 교차에 의한 쐐기 파괴 Sub Fault 면방향으로 진행성 파괴 예상(Main Fault 의 강한 연속성) 보강 대책(안) ▢ Sol Nailing 보강 SOIL NAILING 진행성 파괴 방지을 위해 Sub Fault 면방향 지역에 전단 강도 증가 및 메달기 효과 증대를 위해 Nailing 보강필요 ▢ Sol Nailing 설치 방법 기 형성된 사면을 고려 착암기에 의한 이형철근(25mm) 보강 및 설치길이 4~6m 정도 적절할 것으로 판단 ▢ Sol Nailing 예상 수량 및 공사비 ▪ 설치 수량 : 최소 10공 이상 ▪ 설치 공사비 : 330만원(10공 직접비 기준) 수량증가에 따라 공당단가 감소예상 이형철근 Y Project 사면안정 검토서(2006.09.) 4. 법면 보호공 검토 ▢ ▢ 법면 보호공 설계 현황 ▪ 녹생토 (T=15 cm) : 연암(발파안)지역 755m2적용 ▪ Coir-net(천연섬유) : 풍화암 및 풍화토지역 206m2적용 법면 보호공 비교 검토 구분 Coir-Net공법 주로 풍화암(리핑암)으로 형성된 법면 적용지역 ※구배1:0.7보다 완만한 토목구조상 안정된 법면에 적용 녹생토 암반녹화공 (T=15㎝) 연암지역(발파암) ※구배 1:0.7 내외 자연상태에서는 조기에 식생이 어려운 완만한 경질토사, 풍화암(리핑암), 연암, 보통암, 경암 식생이 어려운 암절개면이나 건조척박 (발파암) 등으로 이루어진 법면에 코이넷 장섬 지에 부착망을 설치한 후 식생지반용 공법개요 유, 코이넷조성물(식생기반재) 및 혼합종자를 인공토양을 현장조건에 적합한 종자와 설계기준에 따라 동시에 살포함으로써 식생에 동시에 적정두께로 취부하여 녹화시키 적합한 식생지반을 조성해주는 환경친화적인 는 공법 생태복원형 녹화공법 (T=3, 5, 8, 12cm) 순공사비 6,000원(무망) (100%) 38,000원(유망) (213%) ▢ 녹생토 (T=15 cm) 755m2 ⇒ Coir-net 변경 필요 절개면이 주로 풍화암으로 형성되었으면 구배 1:1.2의 완만한 구배이므로 보다 경제적인 공법 적용을 위해서 녹생토를 coir-net으로 변경하는 것이 필요함.(도로공사 설계 기준) Y Project 사면안정 검토서(2006.09.) 4. 우수 처리 계획 적정성 검토 ▢ 산마루 측구 토석류 방지 대책 필요 발 생사 문제점 ▢ ▢ ▢ 진 분석 집중호우시 계곡의 우수 및 토석류 유입 예상 (지형상 가장 많은 유입량 예상) 토석류에 의한 산마루 측구 기능상실 예상 집수정으로 별도의 유로형성이 되지 않아 Over flow 예상 ▢ 산마루 측구 날개벽 설치 보강 대책(안) 토석류에 의한 산마루측구 기능상실 방지를 위해 산마루 측구 날개별 설치 ▢ 집수정과 연결된 날개벽 설치 집수정(1*1m) 으로 유로형성되는 날개별 설치하여 over flow 방지 ▢ 집수정(RM1,9 연결) 의 법면 도수로 형식 및 용량 변경 필요 ▪ 법면 도수로 L=4m(600☓600) open ditch ⇒ 흄관 (D=450)변경필요 겨울철 동결 방지 및 집중호우시 유속 감소을 위한 배수구배 조정을 위해 지중배수인 흄관((D=450)으로 변경 필요 ▪ 집수정 설치 심도 변경 집중호우시 유속 감소을 위한 배수구배 조정을 위해 집수정 설치 심도 최소 2.5m 이상 적용 Y Project 사면안정 검토서(2006.09.) ▢ Open Ditch 연결 우수맨홀 ⇒ 집수정 변경 필요 ▪ open ditch(벤치플룸관, U형측구)와 연결되는 우수맨홀 (RM 1, 3, 4, 5, 6, 7, 8, 9, 10, 13)은 집수정 형태로 변경 할 필요가 있음. ▪ 우수맨홀 RM 1,2,3을 연결하는 우수관(D=450)의 적정성 검토 집중호우시 가운데 계곡에서 발생하는 유입량이 가장많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관경의 적성성에 검토 필요 5. 검토의견 ▢ 현장 법면 파괴 대책(안)으로 Soil Nailing 보강 진행성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Soil Nailing이 적정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 ▢ ▢ ▢ ▢ 른 추가 공사비는 사면 보강공(녹생토)변경에 따른 감액비용으로 처리 녹생토 (T=15 cm) 755m2 ⇒ Coir-net 변경 필요 녹생토 대신에 Coir-Net을 적용하여 공사비 절감 예상 산마루 측구 토석류 방지 대책 필요 산마루 측구 토석류 방지 및 over flow 방지를 위해 날개벽 시공 필요 집수정(RM1,9 연결) 의 법면 도수로 형식 필요 동결방지 및 유속감소를 위해 법면 도수로 L=4m(600☓600) open ditch ⇒ 지중매설 흄관 (D=450)변경 Open Ditch 연결 우수맨홀 ⇒ 집수정 변경 필요 open ditch와 맨홀 연결를 위해 집수정형태로 변경시공하는 것이 적정함.
© Copyright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