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 제 42 권 제 1 호 1999 □원 저□ 1) 중등도 이상의 크룹 환아에서 L-epinephrine과 Budesonide 흡입치료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소아과 최보화·송광복·심정연·홍수종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Comparing L-epinephrine and Budesonide Aerosols in the Treatment of Moderate to Severe Croup Bo Hwa Choi, M.D., Kwang Bog Song, M.D. Jung Yeon Shim, M.D. and Soo-Jong Hong, M.D. Department of Pediatrics,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Seoul, Korea Purpose : The aim of this prospective, randomized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and adverse effects of nebulized L-epinephrine compared with nebulized budesonide in children with moderate to severe croup. Methods : Children were eligible for the study if their croup scores fell in the moderate to severe range(scores>4) in the AMC from May 1995 till May 1996. The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5ml(1 : 1000) of L-epinephrine aerosols(n=9) or 500μg of budesonide aerosols (n=8). Croup score, O2 saturation by pulse oximeter,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were recorded before treatment and at 5, 15, 30, 60, 120 minutes after aerosol treatment. Nin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nebulized L-epinephrine group and 8 in the nebulized budesonide group, respectively.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age, sex and croup score before treatment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otal croup sco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15 minutes after treatment in the Lepinephrine group(P<0.05) but at 120 minutes after treatment in the budesonide group(P<0.05). Treatment failed in 1(1/9) patient in the L-epinephrine group and 2(2/8) patients in the budesonide group, who received intramuscular dexamethasone injections. The rebound phenomenon at 120 minutes after treatment was found in 1 patient from both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before and after treatment in both groups. Conclusion : The treatment using nebulized L-epinephrine showed a more prompt clinical improvement than the treatment using nebulized budesonide and without any significant adverse effects. So it can be recommended for emergent management in children with moderate to severe croup. (J Korean Pediatr Soc 1999;42:40-46) Key Words : Croup, L-epinephrine, Budesonide, Rebound phenomenon 서 접수 : 1998년 4월 11일, 승인 : 1998년 6월 18일 책임저자 : 홍수종,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소아과 Tel : 02)224-3390 Fax : 02)473-3725 론 크룹은 6개월에서 6세 사이의 소아에서 상기도 폐 40 소아과 : 제 42 권 제 1호 1999 41 쇄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주로 늦은 가을과 초겨울에 나타난다. 대부분 상기도 감염이 선행하며 임상 증상 은 발열, 비루 등 바이러스 감염 증상과 흡기성 천명, 쇳소리 기침, 목쉰 소리와 흡기성 호흡곤란 증상을 특징으로 하며 대부분 일주일 내에 자연 호전을 보인 1-3) 대상 및 방법 1. 대 상 1995년 5월부터 1996년 5월까지 서울중앙병원 소 . 그러나 기도 폐쇄가 심하게 진행되는 경우 대 아과에 특징적인 크룹의 증상으로 입원한 환아중 크룹 중요법이나 증류수의 분무치료 만으로는 급성 효과를 점수(Table 1) 가 4점 이상인 중등도 이상의 크룹 얻을 수 없어 고용량의 steroid를 근주하거나, 고전적 환아를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으로 racemic epinephrine을 흡입투여하는 방법이 크룹 환아들은 기침, 비루 등 바이러스 감염의 증상후 다 4, 5) 14) . 특히 1970년대 이후 크룹 환아에서 흡기성 천명, 쇳소리 기침, 목쉰 소리와 호흡곤란 징후 racemic epinephrine 흡입투여 후 크룹 증상이 호전 등의 특징적인 크룹 증상을 보였다. 연축성 크룹이나 을 보이고 기도 삽관이나 기관 절개의 빈도가 감소되 급성 감염성 후두염, 이물질 흡입, 후두경 검사나 기관 사용되었다 6, 7) racemic 삽관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해부학적으로 상기도 폐 epinephrine 흡입투여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다른 쇄가 있는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L-epi- 지역에서는 쉽게 구할 수 없어 근래에 L-epineph- nephrine 투여군이 9명 budesonide 투여군이 8명이 rine 사용에 관한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Wais- 었고, 이들의 평균 나이는 각각 15(9-35)개월과 13.5 었다 는 발표 이후 북미 지역에서는 8) man 등 은 L-epinephrine과 racemic epinephrine (11-35)개월로 양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남녀 수 의 흡입치료에서 두군 모두에서 크룹 증상이 호전될 도 차이가 없었다. 뿐만아니라 크룹 점수의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dexamethasone을 근주하는 경우 효과가 6시 2. 방 법 간 이후에 나타나고 전신적인 흡수에 따른 혈압 상승 대상 환아를 무작위로 L-epinephrine 흡입군과 이나 빈맥, 위장관 출혈, 두통 등의 부작용이 예상된 budesonide 흡입군으로 나누어 L-epinephrine 흡입 다. 그러나 흡입 steroid인 budesonide를 사용할 경 군은 1 : 1000 L-epinephrine(대한, 한국) 5ml, bu- 우에 투여량의 25% 이하만 기도에 침착되어 전신 효 desonide 흡입군은 budesonide(Astra, USA) 500 과가 거의 없지만 혈관 수축 작용이 강하고 작용 시간 μg를 ultrasonic nebulizer(Atom, Japan)를 사용하 도 빠르며, 주사에 따른 고통과 부작용이 없어 최근에 여 10분간 흡입치료하였다. 이 환아들을 대상으로 동 9-11) . Husby 일 치료자가 수면상태나 안정상태에서 치료전과 치료 등 은 중등도 크룹 환아에서 budesonide 흡입치료 후 5, 15, 30, 60, 120분에 크룹 점수, 심박동수, 혈압 후 크룹 점수가 감소되고 임상증상이 호전된다고 하였 및 pulse oximeter(Invivo Research, USA)를 이용 budesonide 흡입치료가 시도되고 있다 12) 13) 고, 국내에서도 안 등 의 연구에서 budesonide 흡입 투여후 증상이 심한 경우에도 빠른 시간내에 크룹 점 수가 감소된다고 보고하였다. 한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크룹 점수는 Downes 및 Raphaely 등이 증상의 심한 정도에 따라 나눈 점수제를 응용한 것으로 흡기 본 연구에서는 활성도가 강하지만 쉽게 구할 수 있 시 호흡음, 천명, 기침, 흉부함몰, 산소 포화도의 5항 는 L-epinephrine을 이용하여 호흡기계에 국한된 흡 목으로 나누어 심한 정도에 따라 0에서 2까지 점수화 입치료를 시행함으로써 효과도 빠르고 전신적으로 미 하여 합한 값으로 계산하였다. 항목마다 정상 소견을 치는 부작용 또한 적을 것으로 예상하여, 중등도 이상 보이는 경우는 0으로 기술하였고, 흡기시 호흡음이 의 심한 증상을 보인 크룹 환아들을 대상으로 L-epi- 거칠고 잡음이 있는 경우 1, 흡기 시간이 연장되는 nephrine과 budesonide의 흡입치료 효과에 대한 비 경우 2, 천명이 흡기시에만 들리는 경우 1, 흡기시와 교연구를 시행하였고, 또한 L-epinephrine 흡입투여 호기시 모두 들리는 경우 2, 목쉰 기침 1, 쇳소리 기 에 따른 심혈관계 부작용을 조사하였다. 침인 경우 2, 흉부함몰정도는 흉골 상부에서만 보이 는 경우 1, 늑간하 함몰까지 보이는 경우 2, 청색증을 보이는 경우에 pulse oximeter로 측정한 산소 포화 42 최보화 외 3인 : 중등도 이상의 크룹 환아에서 L-epinephrine과 Budesonide 흡입치료에 관한 연구 Table 1. Scoring System Used to Grade Severity of Croup Clinical parameter 0 Inspiratory breath sounds Stridor Cough Retractions/Nasal flaring SaO2<95% Normal None None None None * 14) Source : Downes and Raphaely , * 1 2 Harsh with rhonchi Inspiratory Hoarse cry Suprasternal/present In room air Delayed Inspiratory and expiratory Bark Suprasternal and intercostal/present † In FiO2 =0.4 † Fraction of inspired oxygen 도가 공기중에서 95% 이하이면 1, FiO 2 0.4로 산소 를 공급하면서도 산소 포화도가 95% 이하이면 2로 Table 2. Outcome of Patients with Croup Treated with Nebulized L-epinephrine or Budesonide 14) 기술하였다(Table 1) . L-epinephrine (n=9) 치료 실패군은 치료 1시간동안 크룹 점수가 변화 없거나 더 증가된 경우로 정의하였고, 반동 현상을 보인 군은 치료후 크룹 점수의 호전을 보였다가 120 분 이후 다시 크룹 점수가 증가된 경우로 정의하였으 며, 이들에게는 dexamethasone 0.6mg/kg을 근주하 였다. * Croup score 0 min 6.6±1.59 120 min 3.8±1.48 Treatment failure 1 group Rebound group 1 * 통계 처리는 Wilcoxon Rank Sum test와 Mann Budesonide P value (n=8) mean±SD 5.8±1.28 3.9±1.81 2 ✝ NS NS 1 ✝ not significant Whitney U test를 이용하여 P<0.05인 경우에 유의 한 차이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결 과 1. 치료 성적 치료전 크룹 점수의 평균치는 L-epinephrine 투 여군이 6.6±1.59, budesonide 투여군이 5.8±1.28로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치료후 120분의 크룹 점수는 L-epinephrine 투여군이 3.8±1.48, budesonide 투여군이 3.9±1.8로 치료 전과 비교하여 두군 모두 호전을 보였다(P<0.05). L-epinephrine 투여군에서 산소 포화도는 치료전 평균 93%에서 치 료후 5분 96%, 15분 95%, 30분 98%, 60분 97%, 120분 98%로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다. 치료를 실패한 경우는 L-epinephrine 투여군에서 1 명, budesonide 투여군에서는 2명이었고, 반동 현상을 Fig. 1. Changes of croup scores in patients treated with nebulized L-epinephrine or budesonide. Total croup score significantly decreased at 15 minutes after treatment in the L-epinephrine group(P<0.05) but at 120 minutes after treatment in the budesonide group (P<0.05). 게 감소하였다(P<0.05)(Fig. 1). 3. 심박동수와 혈압의 변화 보인 경우는 양군 모두에서 각각 1명이었다(Table 2). 치료 전후 평균 심박동수의 변화는 L-epinephrine 2. 크룹 점수의 변화 투여군에서 치료 전 140회/분에서 치료 후 5분 144 시간에 따른 크룹 점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L- 회/분, 15분 139회/분, 30분 134회/분, 60분 132회/ epinephrine 투여군에서는 투여후 15분째부터 크룹 분, 120분 132회/분으로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점수가 투여전에 비하여 의미있게 감소하였고(P< 의미있는 변화는 없었고, budesonide 투여군에서도 0.05), budesonide 투여군에서는 120분째에 의미있 치료전 145회/분에서 치료 후 5분 132회/분, 15분 소아과 : 제 42 권 제 1호 1999 43 이지만 기도 폐쇄가 심하게 진행되는 경우 기도 삽관 등의 치료를 요할 수 있으므로 입원 관찰이 필요하며 증상의 심한 정도를 신속히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천명, 흉부 함몰의 정도, 맥박수, 호흡수, 청색증의 정 도에 따라 증상의 정도가 평가되며, 안정시의 천명은 입원의 대상이 되므로 크룹 점수의 사용은 증상의 중 한 정도와 치료효과 판단에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 서는 Downes 및 Raphaely 등이 증상의 심한 정도 14) 에 따라 분류한 점수제를 사용하여(Table 1) , 크룹 점수 4점 이상인 중등도 이상의 크룹 환아를 대상으 Fig. 2. Changes of heart rate(HR) in patients treated with nebuilzed L-epinephrine or budesonid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ver time(P>0.05). 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크룹의 치료로는 다른 바이러스성 질환과 마찬가지 로 대중요법이나, 분무기로부터 나오는 차가운 증기를 쐬어주는 분무요법과 호흡곤란이 심한 경우 dexamethasone을 근주하거나 racemic epinephrine을 흡입 치료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Dexamethasone은 항염작용이 hydrocortisone에 비해 25배 이고 생물학적 반감기가 36-54시간으로 크룹 치료에 흔히 일차 약제로 선택되어져 왔다. 그러나 dexamethasone을 근주하는 경우 6시간 이후에 효과가 나타 나고 전신적인 흡수에 따른 혈압 상승이나 빈맥, 위 장관 출혈, 두통 등의 부작용도 예상된다. 최근에는 Fig. 3. Changes of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BP) in patients treated with nebulized L-epinephrin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f blood pressure before and after treatment(P>0.05). 126회/분, 30분 126회/분, 60분 127회/분, 120분 116 회/분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Fig. 2). L-epinephrine 투여 전후의 평균 혈압은 투여전 122/69mmHg에서 투여 후 5분 128/74mmHg, 15분 110/66mmHg, 30분 121/72mmHg, 60분 111/63 mmHg, 120분 108/57mmHg로 혈압 또한 감소되는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의미있는 변화는 없었다 (Fig. 3). 비흡수성, 흡입 steroid인 budesonide의 경우 강한 혈관 수축 작용으로 작용 시간도 빠르고, 투여량의 10-25%만 기도에 침착되어 작용하고 나머지는 흡수 되더라도 빠르게 대사되므로 전신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사에 따른 고통도 없어 선호 9-11) 되고 있다 . 이에 저자들은 racemic epinephrine 을 대신하여 가격이 쌀 뿐만아니라 쉽게 구할 수 있 는 L-epinephrine을 이용하여 활성도가 강하지만 호 흡기계에 국한된 흡입치료를 시행함으로써 효과도 빠 르고 전신적으로 미치는 부작용도 적을 것으로 예상 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등도 이상의 심한 증상을 보인 크룹 환아들을 대상으로 L-epinephrine과 budesonide의 흡입치료의 효과를 비교하였고, 또한 L-epi- 고 nephrine 사용에 따른 심혈관계 부작용을 조사하였 찰 다. 크룹은 소아에서 상기도 폐쇄의 가장 흔한 원인으 증류수의 분무치료는 수분 손실을 감소시키거나 분 로서 대부분 상기도 감염이 선행하며 발열, 비루 등 비물에 수분을 주어 분비물 배출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의 증상과 흡기성 천명, 쇳소리 기침, 목 증상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나 크룹의 주된 병리 기 1-3) . 전인 성문하 부종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므로 증기 크룹 환자의 대부분은 일주일 내에 자연히 호전을 보 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다 . Bourchier 쉰 소리와 흡기성 호흡곤란 증상을 특징으로 한다 15) 44 최보화 외 3인 : 중등도 이상의 크룹 환아에서 L-epinephrine과 Budesonide 흡입치료에 관한 연구 16) 등 의 연구에서는 12시간 동안 분무 텐트를 사용하 통, 불안, 진전, 구갈 등이 있으나 흡입치료에 따른 였으나 증상 호전의 속도에 대조군과 차이가 없어 분 중한 부작용에 대한 보고는 없으며, Fitzgerald 등 의 무요법이 치료적 효과가 없음을 보였고, Geelhoed 연구에서도 budesonide나 adrenaline을 흡입치료한 17) 21) 등 은 분무법을 사용하지 않았으나 집중 치료나 인 66명중 6명에서 구토, 발진, 설사 등의 경한 부작용을 공호흡기 치료 그리고 입원 기간 등에 영향을 미치지 나타냈으나 특별한 치료를 요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 않는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중등도 이상의 크룹 서도 각 시간마다 L-epinephrine 흡입투여에 따른 환아들을 대상으로 L-epinephrine과 budesonide 투 부작용을 관찰하기 위해 투여 전후 심박동수와 혈압 여군 외에 증류수만을 분무하는 대조군을 선정하였으 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투여 후 5분에 심박동수와 혈 나 초기에 시행한 2명 모두에서 증상의 호전이 없이 압이 약간 상승하였으나 이는 흡입치료에 따른 환자 크룹 점수가 오히려 악화되어 더 이상의 대조군 연구 의 흥분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후 의미있는 변 를 시행하지 못하였다. 화는 없었으나 계속 감소되는 추세를 보여 상기도 협 보다 적극적인 치료로 racemic epinephrine을 흡 착 증상의 감소와 함께 심박동수 및 혈압이 안정되는 입투여함으로써 빠른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인공호흡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budesonide 군과 비교 기 치료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기전은 α-아드레 해서 L-epinephrine 투여군의 심박동수가 각 시간마 날린 효과에 의해 점막의 혈관을 수축시키고 미세 혈 다 약간 높았으나 두군사이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어 관의 투과성을 감소시켜 성문하 부종을 감소시키고, (Fig. 2) 안전하게 L-epinephrine 흡입요법을 시행 β2 수용체의 자극에 의해 기관지의 평활근을 이완시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지만 Fallot 4징이나 비후 18) 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L-isomer는 racemic 성 대동맥판하부 협착 등의 좌심실 유출로 폐쇄가 있 epinephrine의 활성형이고 구하기 쉬운데 L-epine- 는 경우는 주의해서 사용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phrine 보다 racemic epinephrine이 선택되어져 온 Budesonide 흡입투여 후 크룹 점수, 기관지 삽관 22, 23) 이유는 D-isomer가 L-isomer보다 활성도가 낮고 지 의 빈도와 입원 기간 등의 감소가 보고되고 있다 . 속적인 효과를 보여 D- 와 L-isomer 형태가 동일한 그러나 budesonide 흡입치료시 효과가 나타나는 시 양이 포함되어 있는 racemic epinephrine을 투여할 간에 대해 아직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으며 빠르게는 경우 기관지 확장능은 떨어지나 심혈관에 미치는 작용 흡입후 30분에서 2시간 이내에 효과를 보이고, epi- 이 L-epinephrine의 반 정도이고 더 오랜 시간 작용 nephrine은 흡입투여 후 10분에서 30분 이내 작용을 이 유지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에 대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약제의 용 한 약물학적 근거는 없으며 최근에 특별한 부작용 없 량에 따른 효과를 감안해야겠지만, L-epinephrine 이 L-epinephrine을 효과적으로 투여한 연구들이 보 투여군에서는 투여 후 15분째부터 크룹 점수가 의미 고되고 또한 효과에서도 racemic epinephrine과 L- 있게 감소하였으며(P<0.05) budesonide 투여군에서 8) epinephrine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 19) 3) 는 투여 후 120분째에 크룹 점수가 의미있게 감소하 Reminton 등 은 크룹 환자에서 부작용 없이 L- 여(P< 0.05)(Fig. 1) L-epinephrine이 훨씬 빠른 시 epinephrine 흡입치료 후 증상이 호전된 예를 보고하 간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 20) 13) 였으며, Nutman 등 은 기관 삽관 제거 후 생긴 상 나 안 등 의 연구에서는 budesonide 흡입투여 30분 기도 부종에서 L-epinephrine 흡입치료 후 혈압이나 후부터 크룹 점수가 유의하게 호전되었다고 보고하여, 심박동수의 큰 변화없이 천명의 정도가 치료 후 20분 효과를 나타내는데 이와같이 시간차를 보이는 이유로 후부터 연구에서도 는 본 연구에서는 budesonide를 500μg를 투여하였 L-epinephrine 흡입치료 후 9명중 8명에서 증상이 고 안 등 의 연구에서는 1mg를 투여하여 약용량에 호전되었으며, 특히 투여 15분 후에 크룹 점수가 투 따른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아직 budesonide 여전에 비하여 의미있게 감소하여(P<0.05)(Fig. 1), 의 가장 적절한 사용 용량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 중등도 이상의 크룹 환아에서 빠른 시간내에 효과를 으며 본 연구에서와 같이 500μg의 적은 용량으로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효과를 보일 수 있을 것으로 시사되어 향후 이에 대 감소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Epinephrine의 부작용으로 빈맥, 발한, 고혈압, 두 13) 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 소아과 : 제 42 권 제 1호 1999 45 구의 결과로 미루어 중등도 이상의 크룹 환아의 치료 함몰, 청진 소견, 청색증, 기침을 기준으로 점수화하 에 L-epinephrine 흡입치료가 1차적으로 선택되어질 여 이중 4점 이상인 중등도 이상의 크룹 환아에게 무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작위적으로 L-epinephrine(1 : 1000, 5ml/회)또는 Steroid나 epinephrine 흡입투여 후 증상의 호전은 budesonide(500μg/회) 흡입치료를 시행하였다. 이들 있으나 작용 시간이 epinephrine의 경우 2시간 이하 에게서 치료 전과 치료 후 5, 15, 30, 60, 120분의 24) 이고 , steroid의 경우는 12-24시간으로 약물의 효과 크룹 점수, pulse oximeter를 이용한 산소 포화도, 가 소실되면 증상이 다시 악화되는 반동 현상을 보일 심박동수 및 혈압 등을 측정하였고, 치료에 반응이 수 있어 예전에는 입원 환자에서만 투여하였으나, 최 없는 경우 dexamethasone(0.6mg/kg)을 근주하였 근에는 epinephrine과 다. L-epinephrine 투여군이 9명, budesonide 투여 budesonide 흡입투여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군이 8명이었고, 양 군 사이에 나이, 성별, 치료 전 외래 환자에서도 racemic 25) Prendergast 등 은 응급실에서 31명의 중등도 크룹 환아를 대상으로 racemic epinephrine 흡입투여 후 귀가한 환아중 48시간 이내 1명 만이 다시 내원하였 11) 크룹 점수의 차이는 없었다. 결 과: 1) L-epinephrine 투여군에서는 투여 후 15분째 다고 보고하였고, Klassen 등 은 경증 또는 중등도 부터 크룹 점수가 의미있게 감소하였으며(P<0.05), 의 크룹 환아에서 응급실에서 budesonide를 흡입치 budesonide 투여군에서는 투여후 120분째에 크룹 점 료한 군이 대조군보다 더 빨리 퇴원하여 budesonide 수가 의미있게 감소하였다(P<0.05). 흡입투여가 외래 환자 치료에 효과적임을 보고하였다. 2) 흡입치료 후 크룹 점수의 호전이 없어 dexa-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L-epinephrine 치료에 반응을 methasone을 근주한 환아는 L-epinephrine 투여군 보인 8명중 1명, budesonide 치료에 반응을 보인 6 에서 1(1/9)명, budesonide 투여군에서는 2(2/8)명이 명중 1명에서 치료 120분 이후 다시 크룹 점수가 증 었다. 가하여 중등도 이상의 크룹 환아 치료에서는 어느 치 료나 치료 후 반동 현상에 대한 관찰이 필요할 것으 로 생각된다. 3) 흡입치료 120분 이후 반동 현상을 보인 경우는 두군 모두 각각 1명에서 있었다. 4) 두 군 모두 치료 후 치료 전과 비교하여 혈압,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L-epinephrine 흡입요 심박동수의 의미있는 변화는 없었다. 법은 안전하고 빠른 효과를 보여 중등도 이상의 크룹 결 론 : L-epinephrine 흡입요법은 중등도 이상의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크룹 환아 치료에 budesonide 흡입요법보다 효과가 향후 적절한 치료 용량 선정 및 치료 효과를 지속시 빨리 나타나고 심혈관에 대한 부작용이 없어 앞으로 키기 위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크룹 환아의 응급 치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 각된다. 요 약 참 고 문 헌 목 적 : Racemic epinephrine은 D- 와 L-isomer 형태가 동일한 양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심혈관에 미치는 부작용이 거의 없어 크룹 치료에 널리 사용되 어 왔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우리나라에서는 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활성도가 강하지만 쉽게 구할 수 있는 L-epinephrine을 흡입투여하여 그 효과와 부작용을 알아보고, 최근 크룹의 치료에 시도되고 있 는 국소적 스테로이드 흡입치료와 효과를 비교해 보고 자 하였다. 방 법 : 1995년 5월부터 1996년 5월까지 서울중앙 병원 소아과에 크룹으로 입원한 환아중 천명, 흉부 1) Geelhoed GC. Croup. Pediatr Pulmonol 1997;23: 370-4. 2) Skolnik N. Croup. J Fam Pract 1993;37:165-70. 3) De Boeck K. Croup : a review. Eur J Pediatr 1995;154:432-6. 4) Dawson KP, Capaldi N. Acute laryngo-tracheobronchitis(croup) : An audit of hospital practice. Aust Clin Rev 1993;13:63-8. 5) McDonogh AJ. The use of steroids and nebulised adrenaline in the treatment of viral croup over a seven year period at a district hospital. Anaesth Intensive Care 1994;22:175-8. 46 최보화 외 3인 : 중등도 이상의 크룹 환아에서 L-epinephrine과 Budesonide 흡입치료에 관한 연구 6) Jordan WS, Graves CL, Elsyn RA. New therapy for postintubation laryngeal edema and tracheitis in children. JAMA 1970;212:585-8. 7) Adair JC, Ring WH, Jordan WS, et al. Ten-year experience with IPPB in the treatment of acute laryngotracheobronchitis. Anesth Analg 1971;50: 649-55. 8) Waisman Y, Klein BL, Boenning DA, Young GM, Chamberlain JM, O’Connell R et al.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comparing L-epinephrine and racemic epinephrine aerosols in the treatment of laryngotracheitis(croup). Pediatrics 1992;89:302-6. 9) Kristjꐁnsson S, Berg-Kelly K, Winsö E. Inhalation of racemic adrenaline in the treatment of mild and moderately severe croup. Clinical symptom score and oxygen saturation measurements for evaluation of treatment effects. Acta Pediatr 1994;83:1156-60. 10) Johansson SA, Andersson KE, Brattsand R, Gruvstad E, Hedner P. Topical and systemic glucocorticoid potencies of budesonide and beclomethasone in man. Eur J Clin Pharmacol 1982;22: 523-9. 11) Klassen TP, Feldman ME, Watters LK, Sutcliffe T. Nebulized budesonide for children with mildto-moderate croup. N Engl J Med 1994;331:285-9. 12) Husby S, Agertoft L, Mortensen S, Pedersen S. Treatment of croup with nebulized steroid(budesonide) : a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Arch Dis Child 1993;68:352-5. 13) 안선미, 손정애, 정철주, 이동진, 이영환, 박용훈. Croup 환아에서 nebulized steroid(budesonide)와 parenteral steroid(dexamethasone)의 치료효과에 관 한 연구. 소아과 1997;40:497-504. 14) Downes JJ, Raphaely RC. Pediatric intensive care. Anesthesiology 1975;43:238-50. 15) Landau LI, Geelhoed GC. Aerosolized steroid for croup. N Engl J Med 1994;331:322-3. 16) Bourchier D, Dawson KP, Fergusson DM. Humidifiation in viral croup : a controlled trial. Aust Paediar J 1984;20:289-91. 17) Geelhoed GC. Sixteen years of croup in a Western Australian teaching hospital : the impact of routine steroid treatment. Ann Emerg Med 1996;28:621-6. 18) Cressman WR, Myer III CM. Diagnosis and management of croup and epiglottitis. Pediatr Clin North Am 1994;41:265-76. 19) Reminton S, Meakim G. Nebulized adrenaline 1 : 1000 in the treatment of croup. Anaesthesia 1986; 41:923-6. 20) Nutman J, Brooks LJ, Deakins KM, Baldesare KK, Witte MK, Reed MD. Racemic versus Lepinephrine aerosol in the treatment of postextubation laryngeal edema : Results from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Crit Care Med 1994;22:1591-4. 21) Fitzgerald D, Mellis C, Johnson M, Allen H, Cooper P, Asperen PV. Nebulized budesonide is as effective as nebulized adrenaline in moderately severe croup. Pediatrics 1996;97:722-5. 22) Geelhoed GC, Macdonald WGB. Oral and inhaled steroids in croup :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Pediatr Pulmonol 1995;20:355-60. 23) Godden CW, Campbell MJ, Hussey M, Cogswell JJ.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of nebulized budesonide for croup. Arch Dis Child 1997; 76:155-8. 24) Kuusela AL, Vesidari T.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of dexamethasone and racemic epinephrine in the treatment of croup. Acta Paediatr Scand 1988;77:99-104. 25) Prendergast M, Jones JS, Hartman D. Racemic epinephrine in the treatment of laryngotracheitis : can we identify children for outpatient therapy? Am J Emerg Med 1994;12:613-6.
© Copyright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