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NAD(P)H oxidase p22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과 대혈관 합병증과의 연관성 최관용․이규호․정희석․김 현․강지영․이달식․오태근․전현정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Association of the NAD(P)H oxidase p22phox C242T Polymorphism with Macrovascular Complications in Korean Type 2 Diabetes Guan Yong Choi, Kyu Ho Lee, Hee Seog Jeong, Hyun Kim, Ji Young Kang, Dal Sic Lee, Tae Keun Oh, Hyun Jeong Je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llage of Medicine, Cheongju, Korea Abstract Objective: It is well known that oxygen free radicals are responsible to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NAD(P)H oxidase has the most important role for the production of oxygen species. Recently, a few studies reported an association of C242T polymorphism of NAD(P)H oxidase p22 phox gene and the development of cerebral vascular disease (CVD) or coronary heart disease (CA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C242T polymorphism of NAD(P)H oxidase p22 phox gene and macrovascular complications in Korean type 2 diabetes. Methods: Genotype of the NAD(P)H oxidase p22phox gene (C242T) was detec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Rsa I restriction enzyme digestion in 321 Korean type 2 diabetic subjects. Primer sequences was sense 5'-TGC TTG TGG GTA AAC CAA GGC GCC TG -3' and anti-sense 5'-AAC ACT GAG GTA AGT GGG GGT GGC TCC TGT-3'. Coronary heart disease or stroke was diagnosed by the more than 50% narrowing of coronary artery on angiogram or specific brain MRI findings and or past medical records, respectively. Results: The genotype frequencies of p22phox (C242T) were not different in diabetic patients with CAD (n=102) or without CAD (n=219) (CC:TC=86:16 vs. 177:42, P=0.418). Allele frequencies were not different either. In terms of CVD, the genotype frequencies in diabetic patients with CVD (n=42) showed no difference compared to those without CVD (n=279) (CC:TC=31:11 vs. 232:47, P=0.217). Allele frequencies showed no differenc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242T polymorphism in p22phox gene is not associated with macrovascular complications in Korean type 2 diabetic subjects. 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ꠏ Key Words: NAD(P)H oxidase p22phox gene, Polymorphism, Macrovascular complication, Type 2 DM 책임저자 : 전현정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개신동 410 충북대학교병원 내분비내과 Tel: 043)269-6114, Fax: 043)273-3252, E-mail: [email protected] - 217 - 韓國 脂質․動脈硬化學會誌 18卷 2號 서 관찰 되었다.10 또한 p22 phox 유전자 다형성이 론 NAD(P)H oxidase 활성에 관여함이 보고되어 p22 phox 유전자와 죽상 경화증 간에 연관성이 관상동맥 질환과 뇌경색은 대표적인 당뇨병성 대혈관 합병증으로 당뇨병 환자 사망 원인의 대 1,2 부분을 차지한다. 당뇨병성 대혈관 합병증의 11~13 현재까지 p22 있을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phox 유전자 다형성은 10개 정도가 보고되어 있 14 는데, 그 중 p22 phox C242T는 heme 결합 부 발생은 주로 죽상 경화증에 의하며, 이의 유발 위에 위치한 histidine이 tyrosine으로 치환된 것 인자로는 고혈당과 함께 고혈압, 지질대사 이상, 으로 관상동맥 질환, 뇌경색과의 연관성이 보고 3 15 Inoue 등16은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흡연 및 가족력 등이 알려져 있다. 당뇨병 환자 되어 있다. 에서 발생한 죽상 경화증의 조직학적 소견은 정 연구에서 Tallele을 가진 군에서 관상동맥 질환 상 혈당을 가진 환자군에서 발생한 병변과 거의 의 빈도가 낮아 T allele에서 관상동맥 질환 보 차이가 없으나 임상적으로는 당뇨병이 있는 환 호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였다. 이와는 반대로 자에서 더욱 광범위한 병변을 보이며, 젊은 연령 호주에서 코카시안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 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당뇨병이 있는 경우 정상 서는 45세 이하의 젊은 연령층에서 T allele이 4 혈당을 가진 환자에 비해 예후가 불량하다. 당 있는 경우 없는 경우에 비해 관상동맥 질환의 뇨병에서 만성적인 고혈당은 혈관합병증 발생에 위험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고혈당은 후기 당화산 련해서도 상반된 연구 결과들이 알려져 있 물의 증가, 폴리올 경로 활성화를 가져와 세포 어, 내 활성 산소족 생산 증가를 통해 산화 스트레스 자 다형성과 관상동맥 질환 혹은 뇌경색과의 관 를 증가시켜 혈관 합병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 련성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확실한 결론이 나지 5,6 17 18,19 뇌경색과 관 NAD(P)H oxidase p22 phox C242T 유전 않은 상태이다. 려져 있다. 활성 산소족 생성은 NAD(P)H oxidase, xanthine 이에 본 저자들은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 oxidase, NO synthase, 미토콘드리아 전자 전달계 를 대상으로 NAD(P)H oxidase p22 phox C242T 등이 관여하는데, 이 중 NAD(P)H oxidase가 혈관 유전자 다형성과 당뇨병성 대혈관 합병증인 관 조직의 활성 산소 생성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 상동맥 질환, 뇌경색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7 당하고 있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에서 NAD(P) 하였다. H oxidase 활성화 증가 기전에 대한 연구는 당뇨 병 혈관 합병증 발생 기전 이해에 있어 필수적이 대상 및 방법 다. NAD(P)H oxidase는 세포질 내 (p47 phox, p67 phox, p40 phox, Rac)와 세포막 (gp91 phox, p22 1. 연구 대상 phox)과 결합된 6개의 subunit로 구성되어 있으 며, 그 중 p22 phox subunit는 flavocytochrome 본 연구는 충북대학교병원에 내원한 제2형 당 b558을 구성하면서 혈관 세포의 활성 산소 생성 뇨병 환자 중, 당뇨병 이환 기간이 10년 이상된 8,9 에 관여한다. 제2형 당뇨병 환자 3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 여러 연구에서 죽상 경화증이 발생한 동맥 및 상 환자 모두에서 유전자 검사에 대한 동의서를 당뇨병 환자의 혈관에서 p22 phox 발현이 증가 받았다. 본원 및 타 병원에서 시행한 관상동맥 되어 있음이 보고되었고 p22 phox 발현을 감소 조영술에서 50 % 이상의 관상동맥 협착이 있는 시킬 경우 활성 산소 발생량이 현저히 감소함이 경우를 관상동맥 질환이 있는 군으로 정의하였 - 218 -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NAD(P)H oxidase p22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과 대혈관 합병증과의 연관성 다. 대조군은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군에서 (Polymerase chain reaction) 및 Rsa I (New England 는 50% 이하의 관상동맥 협착이 있는 환자와, 관 Biolab.) 제한효소 처리에 의하여 유전자 형을 확 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지 않은 군은 관상동맥 인하였다. 질환 증상과 말초혈관 질환이 없는 환자로 정의 oligonucleotide 5'-TGC TTG TGG GTA AAC CAA 하였다. 뇌경색은 본원 신경과에 입원하여 뇌자 GGC GCC TG-3'와 antisense oligonucleotide 5'-AAC 기공명촬영에서 뇌경색이 확인된 환자와 과거 ACT GAG GTA AGT GGG GGT GGC TCC 병력 조사에 의해 확인하였다. 뇌경색 대조군은 TGT-3'를 사용하였다. 말초 혈액에서 추출한 과거 병력에서 뇌경색이 없고 증상이 없는 환자 genomic DNA 20 ng, 각각의 primer 0.5 μM, Tris 로 정의하였다. -HCL (PH 8.8) 67 mM, MgCl₂2 mM, Taq DNA 사용한 접합체 (primer)는 sense 키, 몸무게 혈압을 측정하였다. 혈압 측정은 polymerase 2.0 U, dNTP 200 μM를 혼합하여 총 측정하기 30분 전에 흡연이나 카페인 복용을 하 PCR 산물 20 μL로 하여 PCR cycler (ABI 9600)에 지 않도록 하였고, 측정하기 전 최소 10분 이상 넣고 94℃에서 5분간 denaturation, 이어서 94℃에 안정 후 10분 간격으로 2번 측정하여 평균값으 서 50초간 denaturation, 60℃에서 50초간 annealing, 로 하였다. 공복 혈당, 식후 2시간 혈당, 당화 혈 72℃에서 30초간 extension 시키고 이 과정을 35 색소, C-펩타이드 (C-peptide), 혈청 크레아티닌, 회 반복 시행했고 72℃에서 7분간 extension시켜 24시간 요 알부민을 검사하였다. 14시간 금식 후 유전자를 증폭시켰다. 증폭된 유전자 산물 (348 총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 base pair)을 Rsa I 제한효소로 처리하고 2% agarose 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검사를 시행 gel에서 전기 영동 후 ethidium bromide로 염색하여 하였다. 3가지 유전자형 (CC: 348, CT: 348+188+160, TT: 188+160 bp)을 확인하였다 (Fig. 1). 2. 방법 3. 통계 분석 핵산은 환자의 전혈로부터 kit (Quiagen)를 사 용하여 추출하였다. NAD(P)H oxidase p22 phox 통계 분석은 SPSS program (version 11.0)을 이 C242T의 유전자 다형성은 중합효소 연쇄반응 용하였고, 결과는 평균±표준편차로 표시하였다. Fig. 1. Genotyping of NAD(P)H oxidase p22 phox gene. Rsa I digestion of the 348-bp amplified PCR product yielded two fragments with size of 188 and 160 bp for T allele, and only a single 348-bp fragment for C allele. Lane 1, 3, 5, 6, CC genotype Lane 2, 4, 7, CT genotype Lane 8, size marker. - 219 - 韓國 脂質․動脈硬化學會誌 18卷 2號 양 군 간의 NAD(P)H oxidase p22 phox C242T 유 지표 및 혈압은 양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 전자 다형성과 대립 유전자 빈도의 비교는 이지 않았다.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고, 양 군 간의 임상적 특성은 unpaired t-test로 하였다. P값이 0.05 미 2) 뇌경색 만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 하다고 판정하였 뇌경색이 있었던 사람이 42명, 뇌경색이 없었던 다. 사람이 279명 이었다 (Table 2). 관상동맥 질환 유 무에 따른 차이와 유사하게 뇌경색이 있었던 군 결 에서 연령이 높았으며, 중성지방이 유의하게 높았 과 다. 2. NAD(P)H oxidase p22 phox C242T 1. 연구 대상 환자의 임상적 특성 유전자 다형성 분포 본 연구의 총 연구 대상자 수는 321명이었으 며, 당뇨병성 대혈관 합병증을 각각 관상동맥 질 환, 뇌경색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모든 유전자형의 분포는 Hardy-Weinberg equilibrium 을 따랐다. 관상동맥 질환 유무에 따른 NAD(P)H oxidase p22 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을 살펴보 1) 관상동맥 질환 면 관상동맥 질환이 없었던 군에서 CC:TC=177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사람이 102명, 관상동맥 (80.8%):42 (19.2%), 관상동맥 질환이 있었던 군 질환이 없던 사람이 219명 이었다 (Table 1). 관 에서 CC:TC=86 (84.3%):16 (15.7%)으로 양 군 간 상동맥 질환이 있는 군에서 당뇨병 유병 기간이 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대립유전자에 길고, 연령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생화학적 대해서도 차이가 없었다 (Table 3). Table 1.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ith or Without Coronary Artery Disease Without coronary artery disease No of patients 219 Sex (F/M) 118:101 Age (years) 58.9±10.0 Body mass index (kg/m2) 23.8±2.61 Durations of diabetes (years) 14.07±5.07 Systolic blood pressure (mmHg) 138.2±16.8 DBP (mmHg) 86.1±10.6 Fasting glucose (mg/dL) 145.0±55.0 PP2 (mg/dL) 234.2±85.7 HbA1c (%) 7.77±1.53 C-peptide 3.78±1.53 Cholesterol (mg/dL) 182.7±45.3 Triglyceride (mg/dL) 163.7±83.9 HDL cholesterol (mg/dL) 45.5±10.7 LDL cholesterol (mg/dL) 105.5±34.4 BUN (mg/dL) 26.3±22.32 Cr (mg/dL) 2.59±3.11 Data are mean±SD. PP2, postprandial 2 hours blood sugar. Clinical characteristics - 220 -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102 51:51 63.4±9.9 23.79±3.04 16.72±5.86 141.6±14.8 88.1±10.6 148.3±52.5 244.9±97.3 8.00±2.00 2.98±2.51 180.6±59.7 193.4±159.6 42.2±10.7 98.2±40.5 33.9±22.7 3.21±2.97 P-value 0.517 0.001 0.517 0.001 0.131 0.181 0.677 0.389 0.303 0.698 0.763 0.064 0.035 0.179 0.008 0.104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NAD(P)H oxidase p22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과 대혈관 합병증과의 연관성 Table 2.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with or Without Cerebrovascular Disease Without cerebrovascular disease No of patients 279 Sex (F/M) 148:131 Age (years) 59.6±10.1 Body mass index (kg/m2) 23.9±2.61 Durations of diabetes (years) 14.72±5.41 Systolic blood pressure (mmHg) 139.3±16.6 Diastolic blood pressure (mmHg) 86.9±10.7 Fasting glucose (mg/dL) 148.0±56.7 PP2 (mg/dL) 240.0±91.4 HbA1c (%) 7.86±1.64 C-peptide 3.77±1.58 Cholesterol (mg/dL) 182.4±49.9 Triglyceride (mg/dL) 165.6±103.3 HDL cholesterol (mg/dL) 44.3±10.4 LDL cholesterol (mg/dL) 105.3±36.4 BUN (mg/dL) 29.6±23.6 Cr (mg/dL) 2.92±3.17 Data are mean±SD. PP2: postprandial 2 hours blood sugar.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42 21:21 65.8±9.43 23.06±3.29 15.92±5.64 138.4±14.1 84.9±10.1 135.9±50.7 231.6±112.2 7.66±1.87 2.30±1.16 183.7±47.2 206.6±140.7 47.3±13.2 95.6±34.6 22.4±13.3 1.84±2.13 Clinical characteristics P-value 0.712 0.001 0.101 0.198 0.763 0.292 0.243 0.626 0.515 0.564 0.885 0.048 0.150 0.156 0.063 0.039 Table 3. Distribution of NAD(P)H oxidase p22phox C242T Genotypes and Allele Frequencies in Subjects with or Without Coronary Artery Disease NAD(P)H oxidase p22phox C242T Genotypes CC TC Without Coronary artery disease (N=219)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N=102) 177 (80.8%) 42 (19.2%) 86 (84.3%) 16 (15.7%) 0.482 396 (90.4%) 42 (9.6%) 188 (92.2%) 16 (7.8%) 0.472 P-value Alleles C T Table 4. Distribution of NAD(P)H oxidase p22phox C242T Genotypes and Allele Frequencies in Subjects with or Without Cerebrovascular Diasease NAD(P)H oxidase p22phox C242T Genotypes CC TC Alleles C T Without cerbrovascular disease (N=279) 232 (83.2%) 47 (16.8%) With Cerbrovascular disease (N=42) 31 (73.8%) 11 (26.2%) 511 (91.6%) 47 (8.4%) 73 (86.9%) 11 (13.1%) - 221 - P-value 0.217 0.164 韓國 脂質․動脈硬化學會誌 18卷 2號 뇌경색 유무에 따른 NAD(P)H oxidase p22 되어, 유전자형에 따른 활성 산소 생산량 차이가 23 본 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의 결과는 뇌경색이 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발생하지 않은 군에서 CC:TC=232 (83.2%):47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관상동맥 질 (16.8%), 뇌경색이 발생한 군에서 CC:TC=31 환 유무에 따른 p22 phox 유전자 다형성을 비교해 (73.8%):11 (26.2%)로 나타나, 뇌경색 유무에 따 본 결과, 관상동맥 질환이 없는 군에서 CC:TC=177 른 p22 phox 유전자 다형성의 차이는 관찰되지 (80.8%):42 (19.2%), 있는 군에서 CC:TC=86 (84.3%) 않았다 (Table 4). :16 (15.7%)으로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고, 대립유전자에 대해서도 차이가 관찰 고 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환자가 제2형 찰 16 당뇨병 환자로 구성되었으나, Inoue 등 연구에 서는 당뇨병이 없는 환자로 구성되어 있어, 당뇨 NAD(P)H oxidase p22 phox 유전자는 염색체 병 유무에 따른 대상 환자 선정에 따른 차이에 장완 16 (16q24)에 위치하고 있으며, 식세포에 주 의해 상반된 연구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생각된 로 발현하고 이외에도 섬유아세포, 혈관 내피세 17 다. Cai 등 은 45세 이하의 군으로 구성되어 있 20 p22 으나, 본 연구에서는 평균 연령이 63.4±9.9세로 phox subunit는 NADPH oxidase의 cytochrome 당뇨병 유무와 함께 연령 차이에 따른 영향도 있 b228의 구성 성분으로 혈관세포의 활성 산소 생 을 것으로 생각된다. 포 및 혈관 평활근 세포에도 발현된다. 성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활성 산소 과생 본 연구에서는 TT 유전자형의 빈도는 0%였으 성은 혈관세포 손상을 유발하여 죽상 경화증, 고 나, 핀란드에서 시행된 연구에서는 5% 빈도로 혈압 및 당뇨병성 혈관 합병증 발생에 관여한다. 관찰되어 인종적 차이에 의한 영향을 생각할 수 죽상 경화증이 있는 혈관에서 NAD(P)H oxidase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TT 유전자형 빈도에 p22 phox 발현 증가가 관찰되고, 당뇨병 환자의 대한 자료가 없어 본 연구 결과의 해석은 어렵지 혈관에서도 NAD(P)H 만, 일본에서 보고된 결과에서도 TT 유전자형의 12,21 빈도는 0~0.62%로 상당히 낮게 관찰되어 인종에 정상 혈당군에 비해 oxidase p22 phox의 발현 증가가 관찰된다. 관상동맥 질환과 NAD(P)H oxidase p22 phox 따라 다른 빈도로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중국 16 유전자 다형성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면, Inoue 등 과 인도인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도 본 연 은 T allele이 관상동맥 질환에 있어서 보호 효과 구와 같은 결과가 보고되어, 인종적 차이에 의한 를 가져오는 것으로 보고하였고, 핀란드 환자를 근거를 더욱 뒷받침 해주고 있다. 24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에서도 T allele이 있는 경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TT 유전자형의 우에 관상동맥 질환의 빈도가 낮음을 보고하였 빈도가 0%로 T allele에 의한 영향을 정확히 파 22 이와는 반대로 호주에서 시행된 연구에서 악하기 힘들다. 둘째, 대조군에서 모든 환자를 는 T allele이 있는 45세 이하의 사람에서 관상동 대상으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지 않아, 증 맥 질환의 위험성이 높음을 보고하여 상이한 결 상이 없는 관상동맥 질환이 있는 환자가 대조군 과를 나타냈다. p22 phox 유전자 다형성이 관상 에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 동맥 질환에 관여하는 기전은 현재까지 정확히 다. 마지막으로, 대상 환자에 당뇨병성 신증이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CC 유전자형에서 TC 유 병발되어 있는 환자가 많이 포함되어 있어 당뇨 전자 형에 비해 활성 산소 생산이 증가되고, 혈 병성 신증이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관내피세포의 확장 효과가 떨어지는 것이 보고 이 있다. 그러나 당뇨병성 신증에 따른 NAD(P)H 다. - 222 -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NAD(P)H oxidase p22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과 대혈관 합병증과의 연관성 oxidase p22 phox 유전자 다형성은 상관관계를 그러나,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보이지 않아, 연구 결과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 NAD(P)H oxidase p22 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 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과의 당뇨병성 대혈관 합병증 사이의 연관성을 뇌경색 또한 당뇨병성 대혈관 합병증 중의 하 나로 본 연구에서 뇌경색 유무에 따른 NAD(P)H 살펴본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oxidase p22 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을 살펴 본 결과, 뇌경색이 발생하지 않은 군에서 CC:TC 참 고 문 헌 =232 (83.2%):47 (16.8%), 뇌경색이 발생한 군에 서 CC:TC=31 (73.8%):11 (26.2%)로 나타나 뇌경 색 유무에 따른 NAD(P)H oxidase p22 phox 유전 1. Gaede P, Lund-Andersen H, Parving HH, 자 다형성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뇌경색과 Pedersen NAD(P)H oxidase phox 22 유전자 다형성 간의 intervention on mortality in type 2 diabetes. N 19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Ito 등 은 TC, TT 유전자형에서 뇌경색의 빈도가 증가됨을 보 O. Effect of a multifactorial Engl J Med 2008;358:580-591. 2. Leelawattana R, Rattarasarn C, Lim A, 고하였는데, 대상 환자가 당뇨병이 없는 군으로 Soonthornpun S, Setasuban W. Causes of death, 구성되어, 대상 환자 차이에 의해 본 연구와는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다른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생각된다. Shimo diseases in Thai type 2 diabetic patients: a 5 18 -Nakanishi 등 역시 당뇨병이 없는 환자를 대상 year follow-up study. Diabetes Res Clin Pract 으로 뇌경색과 p22 phox 유전자 다형성과의 연관 2003;60:183-189. 성을 연구하였으나, 뇌경색과 p22 phox 유전자 3. Genuth S. Exogenous insulin administration and 다형성에 연관성이 없음을 보고하였다. Ito 등이 cardiovascular risk in non-insulin-dependent and 보고한 결과와 상반된 결과를 보이는데, 이는 대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Ann Intern 상 질환군에 일시적 뇌허혈증 (transient ischemic Med 1996;124:104-109. attack)를 포함시키지 않아 대상 선정에 따른 차 4. Rosen AB, Humphries JO, Muhlbaier LH, Kiefe 25 이로 생각된다. Hayaishi-Okano 등 은 일본인 제 CI, Kresowik T, Peterson ED. Effect of clinical 2형 당뇨병환자에서 CC 유전자형을 가진 경우 factors on length of stay after coronary artery 경동맥 동맥 경화증의 빈도가 증가됨을 보고하 bypass surgery: results of the cooperative 였다. 그러나 활성 산소 생산량은 유전자형에 따 cardiovascular 라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이와 함께 당뇨병이 없 1999;138:69-77. project. Am Heart J 는 대조군에서는 CC 유전자형에서 TC, TT 유전 5. Wolff SP, Jiang ZY, Hunt JV. Protein glycation 자형과 비교하여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되어 있 and oxidative stress in diabetes mellitus and 어, 단순히 유전자형에 따른 활성 산소 생산량 ageing. Free Radic Biol Med 1991;10:339-352. 차이보다는 복합적인 기전에 의해 혈관손상이 6. Baynes JW. Role of oxidative stress in 유발됨을 알 수 있다. development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 of complications in diabetes. Diabetes 1991;40:405-412. 에서 NAD(P)H oxidase p22 phox C242T 유전자 7. Mohazzab KM, Kaminski PM, Wolin MS. 다형성과 당뇨병성 대혈관 합병증과의 연관성을 NADH oxidoreductase is a major source of 찾아보았으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superoxide aninon in bovine coronary artery - 223 - 韓國 脂質․動脈硬化學會誌 18卷 2號 endothelium. Am J Physiol 1994;266:H2568 Cotsonis G, Lassègue B, Griendling KK. The -H2572. A640G and C242T p22(phox) polymorphisms in 8. Groemping Y, Rittinger K. Activation and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ntioxid assembly of the NADPH oxidase: a structural perspective. Biochem J 2005;386:401-416. 9. Redox Signal 2002;4:675-680. 16. Inoue N, Kawashima S, Kanazawa K, Yamada DeLeo FR, Quinn MT. Assembly of the phagocyte NADPH oxidase: S, Akita H, Yokoyama M. Polymorphism of the molecular NADH/NADPH oxidase p22 phox gene in interaction of oxidase proteins. J Leukoc Biol patients 1996;60:677-691. Circulation 1998;97(2):135-137. 10. Guzik TJ, Mussa S, Gastaldi D, Sadowski J, Ratnatunga G, Pillai R, Channon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17. Cai H, Duarte N, Wilcken DE, Wang XL. KM. NADH/NADPH oxidase p22 phox C242T Mechanisms of increased vascular superoxide polymorphism and coronary artery disease in production in human diabetes mellitus; role of the Australian population. Eur J Clin Invest NADPH oxidase and endothelial nitric oxidase 1999;29:744-748. synthase. Circulation 2002;105:1656-1662. 18. Shimo-Nakanishi Y, Hasebe T, Suzuki A, 11. Guzik TJ, West NE, Black E, McDonald D, Ratnatunga C, Pillai Nomiyama T, Tanaka Y, Nagaoka I, Mizuno Y, Urabe T. Functional Functional effect of the C242T polymorphism in effects of NAD(P)H oxidase p22(phox) C242T the on mutation in human leukocytes and association in with vascular oxidase superoxide Channon H, KM. NAD(P)H R, Mochizuki p22phox gene production atherosclerosis. Circulation. 2000;102:1744-1747. 12. Cahilly C, Ballantyne CM, Lim DS, Gotto A. thrombotic cerebral infarction. Atherosclerosis 2004;175:109-115. 19. Ito D, Murata M, Watanabe K, Yoshida T, Saito Marian AJ. A variant of p22phox, involved in I,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the polymorphism of NADPH oxidase p22 phox vessel wall, is associated with progression of gene and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in coronary atherosclerosis. Circ Res 2000;86:391 the Japanese population. Stroke 2000;31:936 -395. -939. 13. Griendling KK, Minieri CA, Ollerenshaw JD, Alexander RX. Angiotensin II Tanahashi N, Fukuuchi Y. C242T 20. Ushio-Fukai M, Zafari AM, Fukui T, Ishizaka Stimulates N, Griendling KK. p22phox is a critical NADH and NADPH oxidase activity in cultured component vascular NADH/NADPH oxidase system and regulates smooth muscle cells. Circ Res 1994;74:1141-1148. with superoxide-generating smooth muscle cells. J Biol Chem 1996; Curnutte JT, Cross AR. Molecular analysis of 9 families the angiotensin II-induced hypertrophy in vascular 14. Rae J, Noack D, Heyworth PG, Ellis BA, new of chronic 20:23317-23321. granulomatous 21. Kim YK, Lee MS, Song SM, Kim IJ, Lee WS, disease caused by mutations in CYBA, the gene Rhim BY, Hong WK, Kim CD: Vascular encoding p22phox. Blood 2000;96:1106-1112. NADPH oxidase is involved in impaired 15. Zafari AM, Davidoff MN, Austin H, Valppu L, - 224 - endothelium-dependent vasodilation in OLETEF 한국인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NAD(P)H oxidase p22phox C242T 유전자 다형성과 대혈관 합병증과의 연관성 rats, a model of type 2 diabetes. Diabetes coronary endothelial vasodilator function. Eur 2002;51:522-527. Heart J 2001;22:96-101. 22. Fan M, Kähönen M, Rontu R, Lehtinen R, Viik 24. Saha N, Sanghera DK, Kamboh MI. The p22 J, Niemi M, Nieminen T, Niemelä K, Pörsti I, phox polymorphism C242T is not associated Kööbi T, Turjanmaa V, Lehtimäki T. The with CHD risk in Asian Indians and Chinese. p22phox Eur J Clin Invest 1999;29:999-1002. associated C242T with gene a polymorphism reduced risk is of 25. Hayaishi-Okano R, Yamasaki Y, Kajimoto Y, angiographically verified coronary artery disease Sakamoto K, Ohtoshi in a high-risk Finnish Caucasian population. The Kawamori D, Miyatsuka T, Finnish Cardiovascular Study. Am Heart J Hazama Y, Hori M. Association of NAD(P)H 2006;152:538-542. oxidase p22 phox gene variation with advanced 23. Schächinger V, Britten MB, Dimmeler S, Zeiher AM. NADH/NADPH oxidase p22 phox gene polymorphism is associated with improved - 225 - K, Katakami N, Hatazaki M, carotid atherosclerosis in Japanese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003;26:458-463.
© Copyright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