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Z-변환 8.1.1 Z -변환의 정의 ◎ 이산 신호 x[ n]의 z -변환 : 멱급수(power series) 형태로 정의 : 시간 영역에서 표현된 신호를 z - 1 에 대한 다항식이나 또는 분모나 분자가 다항식으로 구성된 유리 함수의 형태로 표현 ∞ X(z)≡ ∑ x[n]z - n n =- ∞ 여기서, z 는 복소 변수로써 복소 평면에서 정의 - 1 - (8.1) ◎ 이산 신호 x[ n]의 z -변환의 표현 X( z)≡Z {x[ n] } 또는 Z x[ n] ←─→ X( z) : z -변환은 무한 급수(합의 구간이 - ∞ 에서 ∞ 까지)이므로 급수가 수렴하는 영역에서만 그 값이 존재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z -변환 자체가 존재하지 않음 ◎ X( z) 가 유한한 값을 갖는 모든 z 값 : X( z)의 수렴 영역(region of convergence : ROC)이라고 정의 : z -변환이 존재하면 항상 수렴 영역이 존재하게 되고 z -변환과 수렴 영역은 반드시 함께 정의됨 - 2 - [예제 8.1] 다음 유한 구간을 갖는 신호의 z -변환을 구하여라. (a) x 1 [n] = { 1, 2, 3, 4, 5 } (c) x 3 [n] = δ [ n] (풀이) (b) (d) x 2 [n] = { 1, 2, 3, 4, 5 } ↑ x 4 [n] = δ [ n - k], k > 0 여기서, ↑ 는 신호의 원점의 위치를 나타내며 화살표가 없는 경우는 맨 처음 샘플이 원점에서의 이산 신호의 값이 됨 식 (8. 1)의 z -변환 정의로부터 (a) X 1 (z) = 1 + 2z - 1 + 3z - 2 + 4z - 3 +5z - 4 , ROC : z = 0 을 제외한 모든 z -영역 (b) X 2 (z) = z 2 + 2z + 3 + 4z - 1 +5z - 2 , ROC : z = 0 과 z = ∞ 을 제외한 모든 (c) X 3 (z) = 1 , z -영역 ROC : 모든 z -영역 (d) X 4 (z) = z - k , ROC : z = 0 을 제외한 모든 z -영역 - 3 - ◎ 유한한 구간에서 존재하는 신호의 수렴 영역 : z = 0 이나 z = ∞ 를 제외한 모든 z -영역( z -평면)이 되는 것을 알 수 있음 : z = 0 인 경우는 z - k ( k > 0) 항이 무한대가 되고 z = ∞ 인 경우는 z k ( k > 0) 항이 무한대가 되기 때문에 수렴 영역에서 제외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z -변환에서 z - n 항의 계수 : 시각 n 에서 신호의 값이므로 z 2 항의 계수는 신호 x[ - 2] 값을 의미하고 z - 2 의 항은 x[ 2] 의 값을 의미 : 다시 말하면 z 의 지수항은 이산 신호 샘플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임 - 4 - [예제 8.2] 다음 식으로 주어진 z -변환 X( z)를 역변환하여 x[ n]을 구해보자. X(z) = 1 - 2z - 1 + 3z - 3 -z - 5 (풀이) z-변환에서 z - n 항의 계수는 시각 n에서 신호의 값이라고 했으므로 x 1 [n] = { 1, - 2, 0, 3, 0, - 1 }이 된다. 앞에서 배운 단위 임펄스 함수를 이용하여 이 신호를 다시 표현하면 x[ n]은 다음과 같이 된다. x[ n] =δ [ n] - 2δ [ n - 1] + 3δ [ n - 3] - δ [ n - 5] - 5 - [예제 8.3] 다음 두 이산 신호의 z -변환을 구해보자. x[ n] = { 1 n , n≥0 2 0, n<0 ( ) { n 1 2 y[ n] = 0, , ( ), n<0 n≥0 (풀이) 식 (8.1)로부터 기하 급수가 되며, X(z) 1 1 = 1+ z-1+ 2 2 ( ) ∞ = ∑ n=0 1 2 n ( )z -n 2 z ∞ = ∑ 1 + 2 3 1 -1 z 2 n -2 n=0 ( ( ) ) z -3 1 +⋯+ 2 ( ) n z-n+⋯ (8.2) 기하 급수에서 다음 성질을 상기하면, 1+A+A2+A3+⋯ = 1 , 1-A - 6 - 만약 |A| < 1 (8.3) 식 (8.2)는 | 1 -1 z < 1 즉, 2 | |z| > 1 에 대하여 수렴한다는 것을 2 쉽게 알 수 있음 X( z) = ( 1 1 1- z-1 2 ) , ROC : |z| > 1 2 (8.4) 마찬가지 방법으로 y[ n]에 대한 z -변환을 구해보면 -1 1 Y(z) = ∑ 2 n =- ∞ 식 (8.3)으로부터 Y( z) =- ( ) n z |2z| < 1 2z = 1 - 2z ( -n -1 =- ∑ n =- ∞ 즉, |z| < - 7 - ) n ∞ =- ∑ (2z) n (8.5) m=1 1 에 대하여 2 1 , 1 -1 1- z 2 ) ( 1 -1 z 2 ROC : |z| < 1 2 (8.6) ◎ 식 (8.4)와 식 (8.6)을 비교해 보면 : 두 신호의 z -변환된 형태는 동일하나 시간 영역에서는 완전히 다른 형태를 하고 있음(그림 8.1과 같이 수렴 영역은 서로 다름) : z -변환과 그것의 시간 영역에서의 신호를 서로 같게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z -변환의 수렴 영역을 명시하여야 함 : 이산 신호 x[ n]은 z -변환 X( z)와 X( z)의 수렴 영역(ROC)이 모두 주어져야 완전하게 결정될 수 있음 그림 8.1 예제 8.3의 - 8 - X( z) 와 수렴 영역 8.1.2 Z -변환의 수렴 ◎ 이산 신호 x[ n]에 대응하는 z -변환 X( z)는 ∞ X(z)= ∑ x[n]z - n (8.7) n =-∞ : 식 (8.7)에서 X( z)가 존재하는 z 의 수렴영역은 x[ n]의 특성에 따라 일정한 규칙이 존재 : 이 규칙을 쉽게 보기 위해서는 복소 변수 z 를 극형식(polar form) z=re jθ 로 표현하는 것이 필요 ∞ | X( z)| z = re jθ = ∑ x[n]r - ne n =- ∞ - 9 - - j θn : 수렴 영역에서 |X( z)| < ∞를 만족하여야 하고 |X( z)| = | ∞ ∑ x[n]r - ne n =- ∞ ∞ ≤ ∑ |x[n]r n =- ∞ -n e - j θn - j θn | (8.8) ∞ |= ∑ |x[n]r - n| n =- ∞ : 위 식의 마지막 항인 수열 x[n]r - n 의 절대값의 합이 수렴하면 |X( z)|도 유한한 값을 갖게 됨 : X( z)의 수렴 영역(ROC)을 찾는 일은 수열 x[n]r - n 의 절대값의 합이 수렴하기 위한 r 의 영역을 찾는 것과 동일 - 10 - ◆ 이산 신호를 인과 신호(causal signal)와 비인과 신호(anticausal signal)로 구분하여 임의의 이산 신호 x[ n]을 인과 부분과 반인과 부분으로 나누면 x + [n] = x[ n]u[ n] (8.9) x - [n] = x[ n]u[ - n -1] : 식 (8.9)를 식 (8.8)에 대입하여 정리하면 -1 |X( z)| ≤ ∑ |x - [n] r -n n =- ∞ ∞ ∞ |+ ∑ n=0 n ∞ ≤ ∑ |x - [-n] r | + ∑ n=1 n=0 - 11 - | | x + [n] rn x + [n] rn | | (8.10) ◆ 결국 X( z)가 수렴하기 위해서는 : 식 (8.10)의 두 합이 동시에 유한한 값을 가져야 함 ◆ 식 (8.10)의 첫 번째 항이 수렴하기 위해서는 r 의 값이 매우 작아서 x - [-n] r n 의 합이 유한한 값을 가져야 함 : 첫 번째 항의 수렴영역은 그림 8.2의 (a)와 같이 복소 평면 위에서 임의의 반지름 r 1 (r 1 < ∞)을 가지는 원의 내부가 되어야만 함 ◆ 식 (8.10)의 두 번째 항이 수렴하기 위해서는 r 의 값이 매우 커서 | x + [n] 의 합이 유한한 값을 가져야 함 n r | : 두 번째 항의 수렴 영역은 그림 8.2의 (b)에서 보듯이 반지름 r 2인 원의 외부가 되어야 함 - 12 - ◎ X( z)가 수렴하기 위해서는 : 식 (8.10)의 우변의 두 항이 동시에 수렴하여야 하고 X( z)의 수렴영역은 그림 8.2의 (c)에서 보듯이 복소 평면에서 두 원이 만나는 반지(ring) 모양의 영역 r 2 < r < r 1이 존재하여야 함 : 만약 r 2 > r 1이 되어 두 원의 중복 영역이 존재하지 않게 되면 X( z)도 수렴하지 않게 되고 따라서 x[ n]의 z -변환은 존재하지 않게 됨 - 13 - 그림 8.2 X( z) 의 수렴 영역(ROC)과 대응하는 인과, 비인과 부분의 수렴 영역 - 14 - [예제 8.4] 다음 이산 신호의 z -변환을 구하여라. x[ n] = a nu[n]+b nu[-n-1] (풀이) 식 (8.1)의 z -변환 정의로부터 ∞ X(z) n = ∑a z -n n=0 ∞ = ∑ ( az + ∑ b nz - n n =- ∞ -1 n n=0 -1 ∞ ) + ∑ ( b - 1z ) l l=1 첫 번째 항은 |az - 1| < 1, 즉 |z| > |a|일 때 수렴하고, 두 번째 항은 |b - 1z| < 1, 즉 |z| < |b|일 경우에 수렴한다. 따라서 a 와 b 의 값에 따라 X( z) 의 - 15 - 수렴성이 결정된다. (8.11) ◎ |b| < |a|인 경우 : 식 (8.11)의 두 항의 수렴 영역은 그림 8.3(a)와 같이 중복되지 않음 : 두 항이 동시에 수렴하는 영역을 찾을 수 없으므로 X( z) 는 존재하지 않음 ◎ |b| > |a|인 경우 : 그림 8.3의 (b)와 같이 복소 평면상에서 두 영역이 중복되어 반지 모양이 되는 영역이 존재 : 식 (8.11)의 두 항이 동시에 수렴하는 영역이 존재하고 X( z) 1 1 - az - 1 - 존재 1 1 - bz - 1 ( ) ( ) b-a =( , ROC ) a + b - z - abz = X( z) 도 -1 - 16 - : |a| < |z| < |b| 그림 8.3 예제 8.4의 z -변환 수렴 영역 - 17 - ◆ 인과 신호의 수렴 영역은 복소 평면상에서 원의 외부가 되고 비인과 신호의 수렴 영역은 원의 내부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인과 성분과 비인과 성분을 모두 가지는 무한 길이의 이산 신호는 : 그 수렴 영역이 반드시 원의 내부와 외부가 중복되어 만들어지는 반지 모양(ring)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다시 말하면 주어진 신호의 수렴 영역은 그 신호가 유한 구간에서 존재하는지 아니면 무한 구간에서 존재하는지 뿐만 아니라 인과 또는 비인과 신호인지 아니면 두 성분을 모두 가졌는지에 의해서도 결정됨 - 18 - 그림 8.4 신호의 특성과 수렴 영역과의 관계 - 19 - 8.2 Z-변환의 성질 (1) 선형성(Linearity) Z 만약 x 1 [n] ←─→ X 1 (z)와 Z x 2 [n] ←─→ X 2 (z) 라면 Z x[ n] =a 1x 1 [n] + a 2x 2 [n] ←─→ X( z) =a 1X 1 (z) + a 2X(z) [예제 8.5] 다음 신호의 z -변환을 구하여라. x[ n] = ( cos ω 0n)u[ n] (풀이) 오일러 공식(Euler's identity)을 이용하면 1 x[ n] = ( cos ω 0n)u[ n] = e 2 - 20 - jω 0n 1 u[n] + e 2 - j ω 0n u[n] (8.12) 식 (8.12)의 z -변환의 선형성을 이용하면 1 X( z) = Z {e 2 jω 0n 1 u[n] } + Z {e 2 Z 예제 (8.3)에서 a nu[n] ←─→ 상기하고 a=e e e jω 0n - j ω 0n u[n] u[n] 식 (8.13)의 X( z) ±jω 0 x[ n] 의 1 -1 , 1 - az - j ω 0n z -변환은 u[n] } (8.13) ROC : |z| > |a| 임을 이라고 하면 Z ←─→ 1 jω 1-e z-1 Z 1 ←─→ -jω 1-e z-1 0 0 ROC : |z| > 1 ROC : |z| > 1 X( z) 는 = 1 1 1 1 + ω 2 1-e j z-1 2 1-e -jω z-1 0 0 1 - z - 1 cos ω 0 = -1 -2 , ω 1-2z cos 0 +z - 21 - ROC : |z| > 1 (8.14) (2) 시간 이동성(Time Shift) ◆ 만약 Z x[ n] ←─→ X( z) 이면 x[ n] 을 k 만큼 시간 이동한 x[ n - k] 의 z -변환은 Z x[ n - k] ←─→ z - kX( z) ◆ 이때 k>0 z - kX( z) 의 인 경우는 수렴 영역은 z=0 이, k<0 X( z) 의 수렴 영역과 같으나 일 경우는 z=∞ z-k 항 때문에 가 수렴 영역에서 제외되어야 함 ◎ 시간 이동성을 증명하면 : 식 (8.1)의 z -변환 정의를 이용하면 ∞ Z x[ n - k] ←─→ ∑ x[n-k]z - n (8.15) n =- ∞ : 식 (8. 15)에서 우변을 ∞ ∑ x[n-k]z n =- ∞ -n n-k= l ∞ = 로 변수 치환하면 ∑ x[l]z - ( l + k) n =- ∞ - 22 - =z -k ∞ ∑ x[l]z - l = z - kX(z) n =- ∞ (3) z -영역에서의 척도 조절성(Scaling Property) Z ◆ 만약 x[n] ←─→ X( z), ROC : r 1 < |z| < r 2 이면, 임의의 상수 a 에 대하여 Z a nx[n] ←─→ X( a - 1z), ROC : |a|r 1 < |z| < |a|r 2 ◎ 이 성질을 증명하기 위하여 : 먼저 식 (8.1)의 z -변환 정의를 이용하면 ∞ n n Z {a x[n] } = ∑ a x[n]z n =- ∞ : X( z) 의 -n ∞ = ∑ x[n]( a - 1 z) - n = X( a - 1z) n =- ∞ 수렴 영역이 r 1 < |z| < r 2 이므로 X( a - 1z) 의 수렴 영역은 r 1 < |a - 1z| < r 2 또는 |a|r 1 < |z| < |a|r 2 이 됨 - 23 - (8.16) [예제 8.6] 다음 이산 신호의 z -변환을 척도 조절 성질을 이용하여 풀어 보자. x[ n] = a n ( cos ω 0n)u[ n] (풀이) 식 (8.14)와 식 (8.16)으로부터 -1 1 az cos ω 0 Z n x[ n] = a ( cos ω 0n)u[ n] ←─→ , 1-2az - 1 cos ω 0 +a 2z - 2 - 24 - ROC : |z| > |a| (4) Z -영역에서의 미분 : 만약 Z x[ n] ←─→ X( z) 이면, Z dX( z) nx[ n] ←─→ - z dz (8.17) ◎ 이 성질을 증명하기 위해서 z -변환의 정의를 다시 쓰면 ∞ X(z)≡ ∑ x[n]z - n (8.18) n =- ∞ ◎ 식 (8.18)의 양변을 z 에 대해 미분하면 dX( z) dz ∞ = ∑ x[n](-n)z -n-1 n =- ∞ =- z -1 ∞ ∑ nx[n]z n =- ∞ =- z - 1 z {nx[ n] } : x[ n] 이나 nx[ n] 의 z -변환은 같은 수렴 영역을 갖는다. - 25 - -n [예제 8.7] 다음 이산 신호의 z -변환을 구하여라. x[ n] = na nu[n] (풀이) x 1 [n]= a nu[n] 이라고 하면 예제 8.4로부터 Z x 1 [n] = a nu[n] ←─→ X 1 (z) = x[ n] =nx 1 [n] 이므로 x[ n] x 1 [n] 의 1 -1 , 1 - az z -변환은 ROC : |z| > |a| 식 (8.17)으로부터 dX 1 (z) Z = na nu[n] ←─→ X( z) =- z dz az - 1 ROC : |z| > |a| = -1 2 (1-az ) - 26 - (5) 두 신호의 컨벌루션 : 만약 Z Z x 1 [n] ←─→ X 1 (z) 이고 x 2 [n] ←─→ X 2 (z) 이면 Z x[ n] = x 1 [n] * x 2 [n] ←─→ X( z) = X 1 (z) X 2 (z) ◎ z -변환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해석하는 과정 (i) 입력 신호 x[ n] 과 시스템의 임펄스 응답 h[ n] 을 z -영역에서 표현하기 위해 각각 z -변환한다. X( z) = Z {x[ n] }, 여기서, (ⅱ) z -변환된 H( z) 는 H( z) = Z {h[ n] } 시스템의 전달 함수(transfer function) X( z) 와 H( z) 을 곱한다. Y( z) = X( z) H( z) - 27 - (8.19) (iii) Y( z) 의 z -역변환을 구하여 시간 영역에서 신호를 표현하면 시스템의 출력 신호 y[ n] 이 된다. y[ n] = Z - 1 {Y( z) } ◎ 두 이산 신호 x 1 [n] 과 x 2 [n] 의 컨벌루션(식 (8.19)의 증명) ∞ x[ n] = ∑ x 1 [k] x 2 [n-k] (8.20) k =- ∞ : 식 (8.20)의 x[ n] 에 z -변환의 정의식인 식 (8.18)을 적용하면 ∞ X(z) = ∑ x[n]z -n n =- ∞ ∞ X( z) = ∑ x 1 [k] k =- ∞ { ∞ ∞ n =- ∞ k =- ∞ = ∑ { ∑ x 1 [k] x 2 [n-k] }z - n ∞ ∑ x 2 [n-k] z - n n =- ∞ ∞ } = X 2 (z) ∑ x 1 [k] z - k = X 2 (z) X 1 (z) k =- ∞ - 28 - (8.21) (8.22) [예제 8.8] 입력 신호 출력 x[ n] 과 y[ n] 을 임펄스 응답 h[ n] 이 다음과 같을 때 시스템의 z -변환을 이용하여 구하여 보자. x[ n] = {1, - 2, 1 } h[ n] = (풀이) 식 (8.18)에서부터 { 1, 0≤n≤5 0, 다른경우 x[ n] 과 h[ n] 의 z -변환을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X(z) = 1 - 2z - 1 + z - 2 H(z)= 1 +z - 1 +z - 2 +z - 3 +z - 4 +z - 5 X( z) 와 H( z) 을 곱하여 정리하면 - 29 - Y(z) = X( z) H( z) = ( 1 - 2z - 1 + z - 2 )( 1 + z - 1 + z - 2 + z - 3 + z - 4 + z - 5 ) = 1 + ( 1 - 2) z - 1 +(1-2+1) z - 2 + ( 1 - 2 + 1) z - 3 (8.23) + ( 1 - 2 + 1) z - 4 +(1-2+1) z - 5 -(-2+1) z - 6 + z - 7 = 1-z - 1-z - 6+z - 7 ◆ z -변환에서 z - n 항의 계수는 시각 n 에서 신호의 값이므로 z 의 지수항은 신호 샘플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 ◆ 식(8.23)를 시간 영역에서 다시 표현하면 y[ n] = { 1, - 1, 0, 0, 0, 0, - 1, 1 } - 30 - 8.3 Z-역변환 x[ n] = 여기서, ⌠ ⌡c 1 ⌠ X(z)z 2πj ⌡c n-1 (8.24) dz 는 폐경로(closed contour) C 를 따라 z -평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적분하는 것을 의미하며 경로 C 는 X( z) 의 수렴영역 내에서만 선택되어야 함 ◎ z -역변환을 구하는 방법 ① 식 (8.24)를 직접 계산하는 방법 ② 멱급수 전개(power series expansion)를 이용하는 방법 ③ 부분 분수 전개(partial fraction expansion)를 이용하는 방법 - 31 - 8.3.1 멱급수 전개에 의한 Z -역변환 ◎ z -변환의 정의 식인 식 (8.18)을 이용하여 멱급수 형태로 전개 ◎ 멱급수는 수렴 영역 안에서 수렴하여야 함 ∞ X(z)= ∑ c nz - n n =- ∞ ◎ 식 (8.25)와 식 (8.18)로부터 모든 n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해야 함 x[n] = c ◎ X( z) 가 n 유리 함수일 경우 : 장제법(long division)을 이용하여 멱급수로 전개된 형태를 찾음 - 32 - (8.25) [예제 8.9] 다음 z -변환의 역변환을 구하여라. 1 X(z) = 1- (a) 수렴영역 : 3 -1 1 z + z-2 2 2 (b) 수렴영역 : |z| > 1 |z| < 0.5 (풀이) (a) 수렴 영역이 원의 외부이므로 x[ n] 이 인과 신호라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전개하려는 멱급수에서는 z 에 대한 지수항이 음(-)이 되도록 만들어야 한다. X( z) 를 다시 쓰면 z2 X( z) = 3 1 z 2 - z+ 2 2 이 되고 분자를 분모로 나누면 - 33 - (8.26) 1+ z2- 3 1 z+ 2 2 3 -1 7 15 - 3 31 - 4 z + z-2+ z + z +⋯ 2 4 8 16 )z 2 z 2- 3 1 z+ 2 2 3 1 z2 2 3 9 3 z- + z-1 2 4 4 7 3 - z-1 4 4 7 21 - 1 7 z + z-2 4 8 8 15 - 1 7 - 2 z - z 8 8 15 - 1 45 - 2 15 - 3 z z + z 8 16 16 31 - 2 15 - 3 z z 16 16 - 34 - X( z) 를 아래의 멱급수 형태로 다시 쓰면 X( z) = 1 + 3 -1 7 15 - 3 31 - 4 z + z-2+ z + z +⋯ 2 4 8 16 (8.27) z 의 지수항은 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식 (8.26)의 z -역변환을 다음과 같이 쉽게 구할 수 있음 x[ n] = { 1, 3 , 2 7 , 4 15 , 8 31 , ⋯ 16 } (b) 이 경우는 수렴 영역이 원의 내부이며 신호는 비인과 신호이다. 비인과 신호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z 의 지수항이 양(+)이 되어야 한다. 장제법을 사용하여 식 (8.26)의 분자를 분모로 나누면 - 35 - 2z 2 + 6z 3 + 14z 4 + 30z 5 + 62z 6 + ⋯ 1 -2 3 z - z-1+1 2 2 )1 1 - 3z + 2z 2 3z - 2z 2 3z - 9z 2 + 6z 3 7z 2 -6z 3 7z 2 - 21z 3 + 14z 4 15z 3 -14z 4 15z 3 - 45z 4 + 30z 5 31z 3 -30z 4 1 X( z) = 1- 3 -1 1 z + z-2 2 2 식 (8.18)과 비교해 보면 = 2z 2 + 6z 3 + 14z 4 + 30z 5 + 62z 6 + ⋯ x[ n] 이 다음과 같이 됨을 알 수 있음 x[ n] ={ ⋯, 62, 30, 14, 6, 2, 0, 0} ↑ - 36 - 8.3.2 부분 분수 전개에 의한 Z -역변환 ◎ X( z) 를 다음과 같이 분해한 후 X 1 (z), ⋯,X K (z) 의 역변환 x 1 [n], ⋯,x K [n] 을 표에서 찾는 방법 ◎ X( z) 가 X( z) =α 1X 1 (z) + α 2X 2 (z) + ⋯ + α KX K (z) (8.28) x[ n] =α 1x 1 [n] + α 2x 2 [n] + ⋯ + α Kx K [n] (8.29) 다음과 같이 유리 함수의 형태로 주어졌을 때 유효하게 사용되며 부분 분수 전개에 의한 z -역변환이라고 부름 b 0 + b 1z - 1 + ⋯ + b M z - M N( z) X(z) = = D( z) 1+a 1z - 1 +⋯+a Nz - N - 37 - (8.30) [예제 8.10] 다음 z -변환의 역변환을 부분 분수 전개에 의한 방법으로 구하여라. X( z) = (풀이) 먼저 분모와 분자에 1 1 - 1.5z - 1 + 0.5z - 2 z2 을 곱해서 z의 , |z| > 1 지수항이 양의 값이 되도록 한다. z2 X( z) = 2 z -1.5z+0.5 X( z) 의 극점(pole)을 찾으면 p 1 = 1과 p 2 = 0.5이다. 따라서 부분 분수로 전개하면 A 1z A 2z z2 X( z) = = + (z-1)(z-0.5) z-1 z - 0.5 - 38 - (8.31) 이 되고, A 1과 A 2 를 구하기 위해 식 (8.31)의 양변에 ( z - 1)( z - 0 .5)를 곱하면 z 2 = ( z - 0.5) A 1z + ( z - 1) A 2z 가 되고 (8.32) A 2 가 포함된 항을 없애기 위해 식 (8.32)에 z = 1을 삽입하면 1 = ( 1 - 0.5) A 1 이 되어 A 1 =2을 얻게 된다. 다시 식 (8.32)에서 z = 0.5을 삽입하면 A 1 이 포함된 항이 없어지게 되고 0.5 2 = (0.5-1) A 2 (0.5) 가 되어 A 2 =- 1의 값을 얻게된다. 따라서 부분 분수 전개한 결과는 - 39 - X( z) = 2z z z-1 z - 0.5 이 된다. 이제 주어진 수렴영역 |z| > 1에 대하여 표 8.1에서 식 (8.33)의 각항에 대한 역변환을 찾으면 된다. x[ n] =2u[ n] - ( 0.5) n u[n] - 40 - (8.33) 표 8.1 주요 신호의 z -변환 x[ n], n≥0 X( z) 수렴영역 | z| > R 1 0 1. δ [ n] 2. δ [ n - m] z 3. u[ n] z z-1 -m z ( z - 1) 4. u 5. n 2 6. a n 7. n a n 0 1 2 1 z(z+1) ( z - 1) 3 1 z z-a |a| az ( z - a) - 41 - 2 |a| 표 8.1 주요 신호의 z -변환(계속) x[ n], 8. ( n + 1) a n≥0 수렴영역 | z| > R X( z) z2 (z-a) n |a| 2 z m+1 (z-a) m + 1 |a| 10. cos ω 0n z( z - cos ω 0 ) z 2 -2z cos ω 0 +1 1 11. sin ω 0n z sin ω 0 z 2 -2z cos ω 0 +1 1 9. ( n + 1)( n + 2 )⋯( n + m) a m! 12. a n 13. a n n cos ω 0n z(z-a cos ω 0 ) z 2 -2za cos ω 0 + a sin ω 0n za sin ω 0 z 2 -2za cos ω 0 + a 2 - 42 - 2 |a| |a| 표 8.1 주요 신호의 z -변환(계속) x[ n], X( z) 수렴영역 | z| > R z z - exp [ - aT] | exp [ - aT]| Tz ( z - 1) 1 n≥0 14. exp [ - anT] 15. nT 16. nT exp [ - anT] 17. cos nω 0T 18. sin nω 0T 2 Tz exp [ - aT] [ z - exp [ - aT]] 2 z( z - cos ω 0 T) z 2 -2z cos ω 0 T+1 z sin ω 0 T z 2 -2z cos ω 0 T+1 | exp [ - aT]| 1 1 19. exp [ - anT] cos nω 0T z[z-exp [-aT] cos ω 0 T] z 2 -2z exp [-aT] cos ω 0 T+exp [-2aT] | exp [ - aT]| 20. exp [ - anT] sin nω 0T z[ z-exp [-aT] sin ω 0 T] z 2 -2z exp [-aT] cos ω 0 T+exp [-2aT] | exp [ - aT]| - 43 - 8.4 단방향 Z-변환 ◎ n≥0 경우에만 신호가 존재하는 경우의 z -변환 방법 ∞ + X (z) = ∑ x[n]z - n (8.34) n=0 ◎ 양방향 z -변환과 구분하기 위해 + Z {x[ n] } 또는 X + (z)의 기호를 사용 Z+ x[ n] ←──→ X + (z) 8.4.1 단방향 Z -변환의 성질 ◎ 식 (8.34)를 보면 x[ n] 에 대하여 음(-)의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인과 신호에 대해서만 유일하게 존재 ◎ x[ n]u[ n] 의 양방향 z -변환과 동일한 값을 갖음 ◎ x[ n]u[ n] 이 인과 신호이므로 X + (z) 의 수렴영역은 복소평면에서 반드시 원의 외부가 되므로 수렴 영역을 특별히 언급할 필요가 없음 - 44 - [예제 8.11] 다음 신호의 단방향 z -변환을 구하여라. (풀이) 식 (8.34)의 정의로부터 (a) z+ x 1 [n] = { 1, 2, 3, 4, 0, 2 } ←─ -1 → X+ + 3z - 2 + 4z - 3 + 2z - 5 1 (z) = 1 +2z ↑ + z [n] = { 1, 2, 3, 4, 0, 2 } x -1 2 (b) ←──→ X + + 2z - 3 2 (z) = 3 + 4z ↑ + z [n] = { 7, 8, 3, 4, 0, 2 } x -1 -3 (c) 3 ←──→ X + (z) = 3 + 4z + 2z 3 ↑ (d) x 4 [n] = δ [ n - k], z+ -k k > 0 ←──→ X + 4 (z) = z (e) x 5 [n] = δ [ n + k], z+ k > 0 ←──→ X + 5 (z) = 0 - 45 - (1) 시간 이동성(Shifting Property) (i) 시간 지연(Time Delay) + Z ◎ 만약 x[ n] ←──→ X + (z)이면 k Z+ -k + x[ n - k] ←──→ z X (z) + ∑ x[-n]z n { n=1 } k>0 (8.35) ◎ 만약 x[ n]이 인과 신호일 경우 Z+ x[ n - k] ←──→ z - kX + (z) ◎ z -변환 성질의 증명 ∞ + Z {x[ n - k] } = ∑ x[n-k]z n=0 =z -k { ∞ ∑ x[l]z l=0 -l -n ∞ = ∑ x[l]z - ( k + l) n =- k -1 + ∑ x[l]z l =- k - 46 - -l } =z -k { + k X (z) + ∑ x[-n]z n n=1 } ◎ 단방향 z -변환의 시간 이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식 (8.35)를 다시쓰면 z + {x[ n - k] } = (8.36) { x[ - k] + x[ - k + 1]z - 1 + ⋯ + x[ - 1]z -k+1 } + z - kX + (z) k>0 즉, x[ n]으로부터 x[ n - k]를 얻기 위해서는 x[ n]을 k 샘플만큼 오른쪽으로 이동하여야 하며 k 개의 새로운 샘플, x[ - k],x[ - k + 1],⋯,x[ - 1]이 양(+)의 시간을 채우게 된다. 식 (8.36)의 처음 항들이 바로 이 성분들을 의미한다. (ii) 시간 선행(Time Advance) + Z 만약 x[ n] ←──→ X + (z) 이면 k-1 Z+ k + x[ n + k] ←──→ z X (z) - ∑ x[n]z - n { n=0 - 47 - } k>0 (8.37) 8.4.2 단방향 Z -변환을 이용한 차분 방정식의 풀이 [예제 8.12] 다음 차분 방정식으로 표현되는 이산 시스템이 있다. 시스템의 출력 y[ n] - y[ n] 을 구해 보자. 1 y[ n - 1] = δ [ n], 2 (풀이) 주어진 차분 방정식의 출력 y[ n] 은 y [ - 1] = 3 (8.38) 3장에서 배운 차분 방정식의 풀이법을 이용해도 구할 수 있으나 z -변환을 이용하여 차분 방정식을 풀어 보면 { Z + y[ n] - 1 y[ n - 1] = Z + {δ [ n] } 2 } (8.39) 식 (8.39)의 좌변에 z -변환의 선형성과 시간 이동성을 적용하면 Y + (z) - 1 -1 z { Y + (z) + y[ - 1]z } = 1 2 - 48 - (8.40) 식 (8.40)에 주어진 초기 조건을 삽입하고 다시 정렬하면 5 2 5 z Y + (z) = = 1 2 1 1- z-1 z2 2 표 8.1로부터 Y + (z) 의 역변환을 찾으면 y[ n] = 5 1 n ( ) , 2 2 n≥0 이 결과는 물론 차분 방정식의 풀이법을 이용하였을 때와 같은 결과이다. - 49 - [예제 8.13] 다음 차분 방정식을 풀어라. y[ n + 2] - y[n + 1] + 2 y[ n] = u[ n], 9 y[ 1] = 1, y[ 0] = 1 (8.41) (풀이) 식 (8.37)의 시간 선행 성질을 이용하여 식 (8.41)의 양변에 단방향 z -변환을 취하면 z 2 { Y + (z) - y[ 0]- y[ 1]z - 1 } - z { Y + (z) - y[ 0] } + 표 8.1로부터 X + (z) = ( z 이므로 주어진 초기 조건을 이용하면 ( z - 1) 2 z -z+ Y + (z) = 9 2 ) 2 + Y (z) = X + (z) 9 ( z +z2 = z z-1 ) - 50 - ( z 2 -z+ 1 z-1 ) 다시 정렬하면 + Y (z) = z { z 2 -z+ 1 1 2 ( z - 1) z z3 3 ( )( ) } 부분 분수 전개에 의한 역변환 방법을 이용하면 Y + (z) = z { 9 2 + ( z - 1) 7 2 ( z- 1 3 ) - 7 ( z- 2 3 ) 다시 표 8.1을 이용하면 9 7 y[ n] = u[ n] + 2 2 1 3 ( ) - 51 - n 2 u[n] - 7 3 n ( ) u[n] } 8.5 Z-영역에서의 선형 시불변 시스템의 특성 ◎ 이산 선형 시불변(LTI) 시스템의 전달 함수 : 임펄스 응답 h[ n] 의 z -변환 : 이산 LTI 시스템의 출력은 시스템의 임펄스 응답 h[ n] 과 입력 x[ n] 의 컨벌루션 합으로 표현됨 y[ n] = x[ n] * h[ n] (8.42) : z -변환의 컨벌루션 성질을 이용하여 식 (8.42)의 양변에 z -변환을 취하면 Y( z) = X( z)H( z) ◎ 전달함수 H( z) : 입력과 출력 신호의 z -변환의 비율 H( z) = - 52 - Y( z) X( z) (8.43) 8.5.1 전달 함수와 차분 방정식과의 관계 ◎ 입력 신호 x[ n]과 출력 신호 y[ n]을 갖는 선형 시불변 시스템의 입출력 관계식을 N 차 차분 방정식으로 표현하면 N M k=1 k=0 y[ n] =- ∑ a ky[n-k] + ∑ b kx[n-k] (8.44) ◎ 식 (8.44)의 양변에 z -변환을 취하고 시간 이동 성질을 이용하여 전달 함수를 구하면(단, 시스템의 초기 조건을 0 이라고 가정) { N ∑ a kz k=0 -k } { M } Y( z) = ∑ b kz - k X( z) H( z) = { k=0 N ∑ b kz - k k=0 M ∑ a kz - k k=0 - 53 - } (8.45) [예제8.14] 다음 전달 함수를 갖는 시스템의 차분 방정식을 구하여라. H( z) = 5z + 2 z 2 + 3z + 2 (풀이) H( z)를 z - 1의 다항식의 비로 다시 표현하면 5z - 1 +2z - 2 H(z)= 1+3z - 1 +2z - 2 식 (8.44)와 식 (8.45)를 참조하여 시스템의 차분 방정식을 구하면 y[ n] + 3y[ n - 1] + 2y[ n - 2]= 5x[ n - 1] + 2x[ n - 2] - 54 - 8.5.2 시스템의 안정도와 인과성 ◎ 선형 시불변 시스템이 인과적이면 임펄스 응답은 다음 조건을 만족 h[ n] = 0 , n < 0 : 임펄스 응답의 z -변환인 선형 시불변 시스템의 전달 함수의 수렴 영역이 반지름 r < ∞인 원의 외부가 된다면 그 시스템은 반드시 인과적이 됨 : 인과적 시스템의 전달 함수는 그 수렴 영역이 원의 외부가 되어야 함 ◎ 선형 시불변 시스템의 안정도 : 입력이 유한할 때 출력도 유한하다면 이 때 시스템은 BIBO 안정이라고 함 : 모든 n에 대하여 유한한 M x와 M y가 존재하고 다음 식을 만족하면 시스템은 BIBO 안정하다고 함 |x[ n]|≤M x < ∞ , - 55 - |y[ n]|≤M y < ∞ (8.46) : 식 (8.46)의 BIBO안정도 조건을 시스템의 임펄스 응답에 대한 조건으로 바꾸기 위해서 시스템의 입출력 관계를 컨벌루션 합의 형태로 표현하면 ∞ y[ n] = ∑ h[k]x[ n - k] k =- ∞ : 이 방정식의 양변에 절대값을 취하면 |y[ n]| = | ∞ | ∞ ∞ k =- ∞ k =- ∞ ∑ h[k]x[ n - k] ≤ ∑ |h[k]||x[n - k]|≤M x ∑ |h[k]| (8.47) k =- ∞ ◎ 시스템의 임펄스 응답에 대한 조건 : 출력이 유한한 값을 가지게 될 조건 : 선형 시불변 시스템이 BIBO 안정하기 위한 필요 충분 조건 : 이 조건은 H( z) 가 단위원을 수렴영역 안에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 ∞ ∑ |h[k]| < ∞ k =- ∞ - 56 - (8.48) : z -변환의 정의로부터 ∞ H(z)= ∑ h[n]z - n n =- ∞ : 양변에 절대값을 취하면 ∞ |H( z)|≤ ∑ |h[n]z -n n =- ∞ ∞ | = ∑ |h[n]||z - n| n =- ∞ : 식 (8.49)을 복소 평면의 단위원(즉, |z| = 1 ) ∞ 상에서 구하면 |H( z)|≤ ∑ |h[n]| n =- ∞ - 57 - (8.49) ◎ 선형 시불변 시스템이 BIBO 안정하기 위한 필요 충분 조건 : 시스템의 전달 함수 H( z) 의 수렴 영역 안에 반드시 단위원이 포함되어야 함 : 시스템이 인과적이며 동시에 안정하다면 전달 함수의 수렴 영역은 원의 외부이면서 단위원을 포함하여야 함(그림 8.5(a)) : 반면에 인과적이지만 안정하지 못한 경우는 수렴 영역이 원의 외부이면서 단위원을 포함하지 않아야 함(그림 8.5(b)) - 58 - (a) 안정 인과적 시스템 (b) 비안정 인과적 시스템 그림 8.5 연속 및 이산 시스템의 성질과 수렴 영역과의 관계 - 59 -
© Copyright 2024